[include(틀:다른 뜻1,other1=해당 단어의 다른 뜻,rd1=리커버리)] [include(틀:에미넴 디스코그래피)]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20b0b, #0f0f0f 40%, #0f0f0f 60%, #820b0b)" '''[[에미넴|[[파일:EminemShop.png|height=50]]]][br]에미넴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0a1010> '''[[Relapse|{{{#fff {{{-2 {{{#!html2009년 5월 19일}}}}}}}}}[br]{{{#fff {{{#!html6집}}}}}} {{{#fff {{{#!htmlRelapse}}}}}}]]''' || →||<#b3c2d8> '''[[Recovery|{{{#fff {{{-2 2010년 {{{#red 6}}}월 18일}}}}}}[br]{{{#fff 7집}}} {{{#fff Rec{{{#red o}}}very}}}]]''' || → ||<#bbb4a7> '''[[The Marshall Mathers LP2|{{{#000 {{{-2 2013년 11월 5{{{#c9151e 일}}}}}}}}}[br]{{{#000 8}}}{{{#c9151e 집}}} {{{#000 The Marshall Mathers LP{{{#c9151e 2}}}}}}]]''' || ||<-5><#b3c2d8> '''{{{#fff Rec{{{#red o}}}very 주요 수{{{#red 상}}} 및 성과}}}'''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2000년 - 2019년))] ---- ||<-5><#fff,#191919> '''{{{+1 [[그래미 어워드|[[파일:Grammy.svg|width=20]] {{{#000,#fff 그래미 베스트 랩 앨범}}}]]}}}''' || || 2009 || || '''2010''' || || 2011 || || ''[[Relapse]]'' {{{-2 [[에미넴|{{{#8086a0 Emimem}}}]]}}} || {{{+1 →}}} || ''' ''Recovery''[br]{{{-2 [[에미넴|{{{#8086a0 Eminem}}}]]}}}''' || {{{+1 →}}} ||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2 [[카녜 웨스트|{{{#8086a0 Kanye West}}}]]}}}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8)]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Recovery)] ---- ||<-5><#fff,#191919>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Thank Me Later]]'' {{{-2 [[Drake|{{{#8086a0 Drake}}}]]}}} || {{{+1 →}}} || ''' ''Recovery'' ^^{{{#8086a0 5주}}}^^[br]{{{-2 [[에미넴|{{{#8086a0 Eminem}}}]]}}}''' || {{{+1 →}}} || ''Nightmare'' {{{-2 {{{#8086a0 Avanged Sevenfold}}}}}} || || ''[[The Suburbs]]'' {{{-2 [[아케이드 파이어|{{{#8086a0 Arcade Fire}}}]]}}} || {{{+1 →}}} || ''' ''Recovery'' ^^{{{#8086a0 2주}}}^^[br]{{{-2 [[에미넴|{{{#8086a0 Eminem}}}]]}}}''' || {{{+1 →}}} || ''[[Teenage Dream]]'' {{{-2 [[케이티 페리|{{{#8086a0 Katy Perry}}}]]}}} || ---- }}} || ||<-2><#b3c2d8> '''{{{+1 ''Rec{{{#c9151e o}}}very''}}}[br]리{{{#c9151e 커}}}버리'''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MRecovery.jpg|width=100%]]}}} || ||||<#505055> {{{#fff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얼터너티브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리커버리얼터.jpg|width=96%]]}}}}}}}}}}}}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얼터너티브 앨범 아트 2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ERecoveryAlt2.png|width=96%]]}}}}}}}}} || || '''아티스트''' || [[에미넴]] || || '''발매''' || [[2010년]] [[6월 18일]] || || '''녹음''' || [[2009년]] ~ 2010년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팝 랩]], [[붐뱁]], [[트랩(음악)|트랩]] || || '''길이''' || 76:56 + 9:18 ^^디럭스^^ || || '''트랙''' || 17 + 3 ^^디럭스^^ || || '''총괄[br]프로듀서''' || [[Dr. Dre]] (also exec.) Eminem || || '''레이블''' || Aftermath, Shady, [[Interscope]] || [목차][clearfix] == 개요 == 2010년 6월 18일 발매된 [[에미넴]]의 7집 정규 음반. == 상세 == 원래 Relapse 2라는 이름으로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후에 Recovery로 이름이 바뀌었다.[* [[50 센트]]가 언급하길, Relapse 2는 따로 만들어 둔 게 있는데 비평가들 때문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유튜브에서 유출된 트랙들을 일부 찾을 수 있다.] 2009년, 5년 간의 공백을 깨고 야심차게 내놓았던 [[Relapse]]가 예상보다 저조한 성적과 평가를 받자 다른 방식으로 이 앨범을 계획하게 된다.[* 하지만 Relapse는 시간이 지나며 점점 평가가 나아지고 있다. 싸이코틱하고 충격적인 분위기와 가사로 가득하긴 하지만 그러한 강렬한 컨셉을 완성도 있게 만들어냈고, 중독적인 비트와 플로우 때문에 오히려 Recovery보다 Relapse가 더 좋다는 반응도 있다.] Recovery에 참여했던 프로듀서 [[Just Blaze]]는 "에미넴은 이미 전작에서 자신이 어떤 실수를 했는지 잘 간파하고 있었으며, 새 앨범에서는 어떻게 나아가야 되는지 알고 있었습니다."라고 인터뷰했다. 우선 전작과 달라진 점은, 프로듀서진이 굉장히 많아졌다. 데뷔 이후 제한된 소수의 프로듀서들과 작업하던 에미넴은 이 음반에서는 당시 핫한 힙합 프로듀서 [[Just Blaze]]와 Boi-1da, [[맙 딥]]의 멤버 Havoc 등 뛰어난 실력의 프로듀서진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닥터 드레]]가 거의 모든 곡들을 프로듀싱 했던 다른 앨범들과는 다른 새로운 에미넴의 노래들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프로듀서 뿐만이 아닌 피처링 가수들 역시 [[리아나]], [[릴 웨인]], [[핑크(가수)|핑크]] 등 당시 스타급 인기를 자랑하던 가수들이기 때문에 상업적인 면에서 더더욱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또한 에미넴 노래에서의 백미라고도 평가받을 수 있는 가사 역시 전작보다 훨씬 다채로워지면서 많은 찬사를 받고 에미넴은 비로소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앨범 아트에는 ||<#b3c2d8> '''REC{{{#c9151e O}}}VƎRY'''|| 로 표기되어 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recovery,artist=eminem,critic=63,user=8.3)]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렸다. 특히 음악적 성향이 다른 [[롤링 스톤]]과 [[피치포크 미디어]]의 평가가 하늘과 땅 차이로 다른 것 역시 눈에 띈다. 롤링 스톤에서는 이 앨범을 "몇 년 동안 찾아볼 수 없는 굉장히 캐주얼한 앨범"이라는 평가와 함께 극찬을 한 반면 피치포크 미디어에서는 "에미넴 앨범 중 가장 에미넴 같지 않은 앨범"이라는 혹평과 함께 2.8점이라는 굉장히 낮은 점수를 준다.[* 이는 에미넴 앨범에서 좋지 않은 평을 듣는 ''[[Encore]]'', ''[[Revival]]''보다도 훨씬 낮은 점수이나, 피치포크가 유난히 에미넴에 관한 평가에 박한 성향을 띠기 때문에 이해하지 못 할 건 아니다.] 그래도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랩 앨범(Best Rap Album)을 수상하는 등 그 해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던 랩 앨범 중 하나였으며,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도 2위를 기록하는 등 대중적인 면에서는 상당히 성공함을 보여주면서 에미넴의 명성이 죽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던 앨범이기도 하다. == 성과 == 발매 이후 [[빌보드 200]]에서 1위를 기록하고는 5주간 1등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건재함을 알렸다. 또한 트랙 [[Not Afraid]]"와 "[[Love The Way You Lie]]"가 각각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기록, 그 중에서도 "Love The Way You Lie"는 8주 연속 1위 자리를 지키며 아직 힙합계의 최고 인기 스타는 자신임을 다시 각인시켰다. == 트랙리스트 == [include(틀:Recovery)] ||<-3><#b3c2d8> '''{{{#fff 트랙{{{#c9151e 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Cold Wind Blows[*Gold [include(틀:RIAA 골드)]] || 5:30 || || 2 || Talkin' 2 Myself[*Gold] {{{-2 (feat. Kobe)}}} || 5:00 || || 3 || On Fire || 3:33 || || 4 || Won't Back Down[*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의 홍보 음악으로 쓰였다. [[https://youtu.be/QC2xGETneh4|#]]][*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2 (feat. [[P!nk]])}}} || 4:25 || || 5 || W.T.P.[*Gold] || 3:58 || || 6 || Going Through Changes[*Gold] || 4:58 || || 7 || [[Not Afraid]][*11xPlatinum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pt=11)]] || 4:10 || || 8 || Seduction || 4:35 || || 9 || [[No Love]][*5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5)]] {{{-2 (feat. [[Lil Wayne]])}}} || 5:00 || || 10 || [[Space Bound]][*2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2)]] || 4:38 || || 11 || Cinderella Man[*2xPlatinum] || 4:39 || || 12 || 25 To Life[* 리즈 로드리게즈가 보컬로 참여하였다.][*Platinum] || 4:01 || || 13 || So Bad[*Gold] || 5:25 || || 14 || Almost Famous[* 리즈 로드리게즈가 보컬로 참여하였다.][*Gold] || 4:52 || || 15 || [[Love The Way You Lie]][*13xPlatinum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pt=13)]] {{{-2 (feat. [[Rihanna]])}}} || 4:23 || || 16 || You're Never Over || 5:05 || ||<-3><#b3c2d8> '''[[히든 트랙|{{{#fff 히{{{#c9151e 든}}} 트랙}}}]]''' || || 17 || Untitled[* D12의 음반 ''[[Devil's Night]]''의 히든 트랙과 비슷한 느낌으로 에미넴 정규 앨범 중 유일한 히든 트랙이다. 앨범 뒷면의 트랙리스트에도 해당 곡이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앨범 가사책에는 "Untitled"로 적혀있다.] || 3:14 || ||<-3><#b3c2d8> '''{{{#fff 아이튠스 {{{#c9151e 디}}}럭스 에디션}}}''' || || 18 || Ridaz || 5:00 || || 19 || Session One {{{-2 (feat. [[슬러터하우스|Slaughterhouse]])[* [[조 버든]]은 참여하지 않았다. 이유는 불분명하나 지금 에미넴과 조 버든의 관계를 미루어 보아 이 때부터 사이가 별로였을 가능성이 있다.]}}} || 4:18 || ===# 크레딧 #=== ||<-6><#b3c2d8> '''{{{#fff 트랙{{{#c9151e 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Cold Wind Blows || {{{-3 Nikki Grier}}} || {{{-3 [[Just Blaze]]}}} || {{{-3 The Gringo - Patriotic Song}}} || 5:30 || || 2 || Talkin' 2 Myself || {{{-3 Kobe}}} || {{{-3 DJ Khalil}}} || || 5:00 || || 3 || On Fire || || {{{-3 Mr. Porter}}} || {{{-3 Mandrill - Peace and Love (Amani Na Mapenzi)}}} || 3:33 || || 4 || Won't Back Down || {{{-3 [[P!nk]]}}} || {{{-3 DJ Khalil}}} ||<|2> || 4:25 || || 5 || W.T.P. ||<|4> || {{{-3 Supa Dups, Jason "JG" Gilbert, [[Eminem]]}}} || 3:58 || || 6 || Going Through Changes || {{{-3 Emile}}} || {{{-3 [[Black Sabbath]] - Changes}}} || 4:58 || || 7 || [[Not Afraid]] || {{{-3 Boi-1da, Evans, Burnett,[br] [[Eminem]]}}} ||<|2> || 4:10 || || 8 || Seduction || {{{-3 Boi-1da, Burnett}}} || 4:35 || || 9 || [[No Love]] || {{{-3 [[Lil Wayne]]}}} || {{{-3 [[Just Blaze]]}}} || {{{-3 Haddaway - What Is Love}}} || 5:00 || || 10 || [[Space Bound]] || {{{-3 Steve McEwan}}} || {{{-3 Jim Jonsin}}} ||<|5> || 4:38 || || 11 || Cinderella Man || {{{-3 Kobe}}} || {{{-3 Script Shepherd}}} || 4:39 || || 12 || 25 To Life || {{{-3 Liz Rodrigues}}} || {{{-3 DJ Khalil}}} || 4:01 || || 13 || So Bad || {{{-3 Sly Jordan}}} || {{{-3 [[Dr. Dre]], Nick Brongers}}} || 5:25 || || 14 || Almost Famous || {{{-3 Liz Rodrigues}}} || {{{-3 DJ Khalil}}} || 4:52 || || 15 || [[Love The Way You Lie]] || {{{-3 [[Rihanna]]}}} || {{{-3 Alex da Kid, Makeba Riddick}}} || {{{-3 [[Skylar Grey]] - Love the Way You Lie}}} || 4:23 || || 16 || You're Never Over || || {{{-3 [[Just Blaze]]}}} || {{{-3 Gerard McMann - Cry Little Sister}}} || 5:05 || ||<-6><#b3c2d8> '''[[히든 트랙|{{{#fff 히{{{#c9151e 든}}} 트랙}}}]]''' || || 17 || Untitled || || {{{-3 [[맙 딥#s-3.2|Havoc]], Magnedo7}}} || {{{-3 Lesley Gore - You Don't Own Me}}} || 3:14 || ||<-6><#b3c2d8> '''{{{#fff 아이튠스 {{{#c9151e 디}}}럭스 에디션}}}''' || || 18 || Ridaz || || {{{-3 [[Dr. Dre]]}}} || || 5:00 || || 19 || Session One || {{{-3 [[Slaughterhouse]]}}} || {{{-3 [[Just Blaze]]}}} || {{{-3 Charlie Murphy vs. Rick James (Part 2)[br] from Chappelle's Show}}} || 4:18 || === 싱글 === ||<-3><#b3c2d8> '''{{{#fff 싱글 {{{#c9151e 리}}}스트}}}''' || || '''제목''' || '''발매''' || '''앨범 아트''' || || [[Not Afraid]] || 2010년 4월 29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NA.jpg|width=100%]]}}}|| || [[Love The Way You Lie]] || 2010년 6월 25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inem Love The Way You Lie.jpg|width=100%]]}}}|| || [[No Love]] || 2010년 10월 5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inemNL.jpg|width=100%]]}}}|| || [[Space Bound]] || 2011년 6월 18일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MSB.jpg|width=100%]]}}}|| == [[앨범 아트]] 촬영 비하인드 == [[파일:ERecoveryDance.jpg|align=left&width=300]][clearfix] 재미로 찍은 사진이 있다.[* 사실상 재미로 찍은 사진이긴 하지만 오리지널 앨범커버가 될 뻔 했다.] --치료가 너무 잘들었나 보다-- [[분류:2010년 음반]][[분류:에미넴의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