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잭 스나이더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넷플릭스|{{{#ffffff '''NETFLIX'''}}}]]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영화#s-2.2|{{{#ffffff '''영화'''}}}]][br]{{{#dddddd '''{{{+1 Rebel Moon - 파트 1: 불의 아이}}}''' (2023)[br]Rebel Moon - Part One: A Child of Fi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ebel Moon - Part One Poster.jpg|width=100%]]}}} || || '''장르''' ||[[스페이스 오페라]], [[모험]], [[액션]] || || '''감독''' ||<|2>[[잭 스나이더]] || || '''촬영''' || || '''원안''' ||[[잭 스나이더]], 커트 존스태드[* [[300(영화)|300]] [[300: 제국의 부활|시리즈]], [[액트 오브 밸러]], [[아토믹 블론드]] 각본가.] || || '''각본''' ||[[잭 스나이더]], 커트 존스태드, 셰이 해튼[* [[아미 오브 더 데드]], [[아미 오브 더 데드: 도둑들|시리즈]], [[존 윅 3: 파라벨룸|존 윅 3편]], [[존 윅 4|4편]] 각본가.] || || '''제작''' ||[[잭 스나이더]], 데보라 스나이더, 웨슬리 콜러, 에릭 뉴먼 || || '''출연''' ||[[소피아 부텔라]], [[찰리 허냄]], [[레이 피셔]] 외 || || '''편집''' ||도비 돈 || || '''미술''' ||스테판 데샹, 스티븐 스웨인 || || '''음악''' ||[[Junkie XL|정키 XL]] || || '''촬영 기간''' ||[[2022년]] [[4월 19일]] ~ [[2022년]] [[12월 2일]]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스톤 쿼리[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그랜드 일렉트릭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넷플릭스]] || || '''공개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22일]] || || '''화면비''' ||2.39 : 1 || || '''상영 시간''' ||148분 (2시간 28분) || || '''제작비''' ||'''1억 6,600만 달러'''[* 동시 촬영한 파트 1과 파트 2의 총 제작비.[[https://www.vanityfair.com/hollywood/2023/06/zack-snyder-exclusive-first-look-rebel-moon|#]]] || ||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kr/title/81464239|▶]]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13 로고.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잭 스나이더]] 감독의 2023년작 [[넷플릭스 오리지널|넷플릭스]] [[영화]]이자 [[레벨 문]]의 첫 작품. [[스타워즈]]와 [[구로사와 아키라]] 영화들에 영감을 받은 오리지널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제작되는 [[스페이스 오페라]] 영화라고 한다. 원래는 잭 스나이더 감독이 스타워즈의 스핀오프 영화로 구상했으며, 디즈니에 인수되기 전인 루카스필름에 피치 했던 아이디어라고 한다.[[https://screenrant.com/rebel-moon-movie-lightsabers-image/|#]]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bel Moon-Pos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bel Moon Part I.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1차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bel Moon - Part One Pos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벨 문-특별 포스터.jpg|width=100%]]}}} || ||<-2> '''특별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RPzFzohfGk)]}}}|| || {{{#dddddd '''▲ 비하인드 컷'''}}}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_gdElditg4)]}}}|| || {{{#dddddd '''▲ 공식 티저'''}}}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소피아 부텔라]] - 코라 역 * 미힐 하위스만 - 군나르 역 * [[찰리 허냄]] - 카이 역 * 스타즈 네어 - 타라크 데시무스 역 * [[배두나]] - 네메시스 역 * [[자이먼 혼수]] - 타이투스 장군 역 * 클레오파트라 콜먼 - 데브라 블러드엑스 역 * [[레이 피셔]] - 다리안 블러드엑스 역 * [[캐리 얼웨즈]] - 시해된 왕 역 * [[프라 피]] - 발리사리우스 섭정 역 * [[에드 스크레인]] - 애티쿠스 노블 역 * [[안소니 홉킨스]] - 지미 역 * [[코리 스톨]] - 신드리 역 * [[지나 말론]] - 하마다 역 == 설정 == * [[레벨 문]] 문서의 [[레벨 문#설정|설정]] 문단 참조.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youtube(e5wipK66GX8)]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14998742, IMDb_user=5.7,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로튼토마토=rebel_moon_part_1_a_child_of_fire, 로튼토마토_tomato=23, 로튼토마토_popcorn=58,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rebel-moon, 메타크리틱_critic=32, 메타크리틱_user=5.9,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rebel-moon-part-one-a-child-of-fire, 레터박스_user=2.2,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알로시네=294352, 알로시네_presse=2.7, 알로시네_spectateurs=2.7,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2023/rebel-moon, MYmoviesit_MYMOVIES=3.50, MYmoviesit_CRITICA=2.83, MYmoviesit_PUBBLICO=1.00,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4538172, 키노포이스크_user=5.6,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 야후재팬_user=, ## 야후재팬_highlight=display, Filmarks=101625, Filmarks_user=3.5,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517441, 도우반_user=5.3,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무비스=, 무비스_user=, ## 무비스_highlight=display, 왓챠=m5NnBep, 왓챠_user=2.3,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17311, 키노라이츠_light=28.13, 키노라이츠_star=2.2,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레벨 문 파트1, 네이버영화_audience=4.65,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다음영화=167241, 다음영화_user=5.6,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rebel-moon-part-one-a-child-of-fire-m100146553,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848326-rebel-moon-part-one-a-child-of-fire, TMDB_user=65,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rebel-moon, 무비파일럿_user=5.3,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rebel-moon-film-review-2023, RogerEbertcom_user=1,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JustWatch=rebel-moon, JustWatch_user=72,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파리부시네벌스=, 파리부시네벌스_user=, ## 파리부시네벌스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rebel-moon-part-one-a-child-of-fire, 엠파이어_user=2,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rebel-moon-part-one-a-child-of-fire-review-zack-snyder-netflix-1234935678, 인디와이어_user=D-,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초기 평점은 [[잭 스나이더]]의 역대 최하 평점을 받은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와 비슷하다. 최근 잭 스나이더는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를 나름 범작으로 기사회생시키며 기대감을 올렸고 [[아미 오브 더 데드]] 호불호는 갈렸어도 썩토는 면한 반면, 이번 작품은 돈옵저를 능가하는 혹평을 받았다. === 호평 === 화려한 비주얼로 유명한 스나이더인만큼, 비교적 저예산으로도 전체적인 비주얼은 훌륭하게 연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그린 스크린]]에서 찍은 것이 티가 나는 구간이 곳곳에 있으며, 스나이더의 특징인 슬로우 모션도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호불호가 갈렸다. 거기다 스타워즈의 오마주가 짙었기에 가장 기대를 받았던 장면 중 하나인 [[배두나]]의 전투신도 생각보다 심심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차라리 타라크가 배누를 길들이는 장면이 더 좋은 액션을 보여줬다고 여겨진다. === 혹평 === 탑 크리틱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악평을 하고 있다. 심지어 이런 결과물로 [[스타워즈]]를 논했다는 것에 분노하는 평론가도 있을 정도. 유저 평가도 처음에는 잭 스나이더 팬덤의 영향으로 높았지만,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평론가]]들이 원래부터 스나이더의 작품에 억까가 심했기에 평론가의 평점은 믿을 수 없다라고 주장하는 팬들도 많지만, 바로 전작인 아미 오브 더 데드도 레벨 문 수준으로 평점이 바닥을 찍진 않았기 때문에 설득력은 없다. 잭 스나이더는 이미 2부작으로 나눈 본편 영화에 더해 벌써부터 소설, 그래픽 노블, RPG 등 여러 미디어 믹스 전개를 펼치며 레벨 문 IP에 엄청난 야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파트 1: 불의 아이는 영화가 아니라 레벨 문 IP의 무리한 확장을 위한 예고편 또는 아이디어만 팔아먹기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7인의 사무라이]]의 설정을 가져온 만큼, 파트 1은 주인공 코라가 벨트를 위해 싸울 전사들을 영입하는 것에 초점을 뒀는데 이를 매끄럽게 풀어내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또한 첫 시작도 어색하다. 7인의 사무라이와 흡사하게 조그만 농촌 마을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는 스토리로 진행되지만, 스나이더가 멋대로 스케일을 늘리는 과정에서 상대를 소규모 도적떼가 아닌 함선을 가진 제독으로 격상시킴으로서 기본적인 설정부터가 어색해졌다. 제독이나 되는 인물이 직접 곡물을 가지러 등장한다는 것부터가 이상하다. 다른 7인의 사무라이 리메이크처럼 마을의 규모를 늘리고 이들이 찾는 걸 [[언옵테늄|희귀 광물]] 같은 것으로 설정해 중요도를 높이든가 상대를 탈영병 무리 정도로 줄이던가 해야 이야기가 매끄러워진다[* 7인의 사무라이는 이미 헐리우드에서만도 3번은 넘게 다른 장르로 만들어졌다. [[황야의 7인]]에서는 굶주리는 도적떼가 가난한 농촌 마을을 노린다는 설정을 그대로 차용해 서부극으로 만들었는데, 등장인물 중에는 가난한 촌구석을 기를 쓰고 지키려는 거 보니 보물이 숨겨져 있는 게 아닌가 의심하는 사람도 등장한다. 이후 [[매그니피센트 7]]도 서부극 리메이크지만 여기서는 마을에 금광을 주고 적들의 규모도 늘렸다. 한편 SF로 리메이크된 우주의 7인(Battle Beyonds the Stars)에서는 농촌 행성에 숨겨진 고대의 유물을 노리고 제국이 침공해오는 이야기로 바뀌었다. 스나이더는 이런 기존 작품들을 제대로 참고하지 않은 것.]. 게다가 코라는 작중 내내 멍청하게 행동하고 스토리가 상당히 편의주의적으로 전개된다. 마을 여성을 상대로 납치 및 강간을 시도하는 임페리움의 병사들을 죽인 뒤 타이투스 장군과 블러드엑스 남매와 함께 본격적으로 투쟁하기로 결심하긴 했지만 정작 이를 실행할 구체적인 방법은 전무했다.[* 그냥 술집에서 대놓고 '타이투스 장군이 어디있는지 아는 사람?'이라고 물은게 다였고 이후 우주선을 찾아야 된다고 하는데, 정작 코라 일행은 돈도 별로 없고 줄 수 있는 댓가라고는 약간의 곡물이 전부였기 때문에 카이가 아니였더라면 무슨 수로 우주선을 구할 방도였는지도 불명이다.] 다른 행성으로 오갈 수 있게 우주선을 빌려준 것도, 타라크와 네메시스의 영입을 추천한 것도 전부 카이였다. 정작 영화 후반부에 이 모든 도움이 카이가 현상금이 높은 수배자들을 모아서 노블 제독에게 갖다바치기 위한 계략인 것이 밝혀지고 코라는 영화 내내 카이에게 놀아난 꼴이 되었다. 이 외에도 코라의 무지함은 파트 1 마지막에도 나오는데, 속 편하게 모든 게 끝난 것마냥 전사들에게 줄 보수 이야기나 하고 있다. 임페리움은 겁쟁이니까 노블 제독이 죽은 이상 돌아갈 것이라는 것이라는 그럴싸한 이유를 들긴 하는데 애초에 죽지를 않았다. 심지어 발리사리우스까지 코라의 존재를 알게 되어 그 어느 때보다도 마을이 더 위험해졌고. 발리사리우스의 양녀로서 왕족의 호위까지 맡았던 엘리트인 코라가 극중 전투 실력을 제외하고는 설정에 걸맞는 유능함을 보여주지 못한 것은 확실하다. == 흥행 == ||<-5> {{{#e50914 '''넷플릭스 글로벌 1위 영화''' }}}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 || [[리브 더 월드 비하인드]] || {{{#fff '''Rebel Moon - 파트 1: 불의 아이'''}}} || Rebel Moon - 파트 1: 불의 아이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2> → || 2024년 1주차 || || Rebel Moon - 파트 1: 불의 아이 || {{{#fff '''Rebel Moon - 파트 1: 불의 아이'''}}} || [[안데스 설원의 생존자들]] || ||<-5> [[https://www.netflix.com/tudum/top10/|{{{#000,#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5> '''{{{#fff 넷플릭스 공식 순위}}}''' || || '''날짜''' || '''전체 순위''' || '''영어 순위''' || '''시청 시간''' || '''시청수''' || || 2023-12-18(월) ~ 2023-12-24(일) || '''1위''' || '''1위''' || 54,100,000시간 || 23,900,000회 || || 2023-12-25(월) ~ 2023-12-31(일) || '''1위''' || '''1위''' || 77,000,000시간 || 34,000,000회 || || 2024-01-01(월) ~ 2024-01-07(일) || 3위 || 2위 || 25,100,000시간 || 11,100,000회 || || 2024-01-08(월) ~ 2024-01-14(일) || 9위 || 8위 || 8,900,000시간 || 3,900,000회 || || '''{{{#fff 누적 시청 시간}}}''' ||<-4> '''165,100,000시간''' || || '''{{{#fff 누적 시청수}}}''' ||<-4> '''72,900,000회''' || ||<-5> [[https://www.netflix.com/tudum/top10|{{{#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 '''{{{#fff 넷플릭스 주요 국가 일간 최고 순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가''' || '''최고 순위''' || '''달성 날짜'''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멕시코]]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1위''' || [[2023년]] [[12월 25일]]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 || 2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 || '''1위''' || [[2023년]] [[12월 24일]]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 || 3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스페인]]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1위''' || [[2023년]] [[12월 24일]]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아르헨티나]] || '''1위''' || [[2023년]] [[12월 23일]] || }}}}}}}}} || || '''[[플릭스패트롤|{{{#fff 플릭스{{{#60a5fa 패트롤}}}}}}]] {{{#fff 월드 순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날짜''' || '''순위''' || '''점수''' || '''1위 국가수''' || || 2023-12-22(금) - 1일 차[* 기존 넷플릭스 오리지널 공개 시간과 달리 북미 시간으로 21일 19시에 공개되면서 순위 반영 시간이 적게 집계되었고 22일이 1일 차로 적용됨] || 55위 || 12점 || 0개국 || || 2023-12-23(토) - 2일 차 || '''1위''' || 913점 || 79개국 || || 2023-12-24(일) - 3일 차 || '''1위''' || 914점 || 80개국 || || 2023-12-25(월) - 4일 차 || '''1위''' || 896점 || 70개국 || || 2023-12-26(화) - 5일 차 || '''1위''' || 922점 || 86개국 || || 2023-12-27(수) - 6일 차 || '''1위''' || 912점 || 82개국 || || 2023-12-28(목) - 7일 차 || '''1위''' || 902점 || 73개국 || || 2023-12-29(금) - 8일 차 || '''1위''' || 886점 || 61개국 || || 2023-12-30(토) - 9일 차 || '''1위''' || 877점 || 56개국 || || 2023-12-31(일) - 10일 차 || '''1위''' || 863점 || 49개국 || || 2024-01-01(월) - 11일 차 || '''1위''' || 797점 || 35개국 || || 2024-01-02(화) - 12일 차 || '''1위''' || 757점 || 24개국 || || 2024-01-03(수) - 13일 차 || '''1위''' || 690점 || 13개국 || || 2024-01-04(목) - 14일 차 || '''1위''' || 592점 || 9개국 || || 2024-01-05(금) - 15일 차 || 2위 || 458점 || 2개국 || || 2024-01-06(토) - 16일 차 || 2위 || 363점 || 1개국 || || 2024-01-07(일) - 17일 차 || 2위 || 316점 || 1개국 || || 2024-01-08(월) - 18일 차 || 3위 || 274점 || 0개국 || || 2024-01-09(화) - 19일 차 || 4위 || 205점 || 0개국 || || 2024-01-10(수) - 20일 차 || 4위 || 181점 || 0개국 || || 2024-01-11(목) - 21일 차 || 8위 || 126점 || 0개국 || || 2024-01-12(금) - 22일 차 || 8위 || 120점 || 0개국 || || 2024-01-13(토) - 23일 차 || 14위 || 66점 || 0개국 || || 2024-01-14(일) - 24일 차 || 15위 || 58점 || 0개국 || || 2024-01-15(월) - 25일 차 || 19위 || 49점 || 0개국 || || 2024-01-16(화) - 26일 차 || 21위 || 40점 || 0개국 || || 2024-01-17(수) - 27일 차 || 29위 || 29점 || 0개국 || || 2024-01-18(목) - 28일 차 || 35위 || 24점 || 0개국 || ||<-4> 출처: [[https://flixpatrol.com/|FlixPatrol]] || }}}}}}}}} || == 감독판 == 스나이더는 본래 자신이 구상했던 비전은 R 등급이였기에 감독판을 예고하며 전혀 다른 영화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https://twitter.com/DiscussingFilm/status/1737217981640298635?t=h5OpHtKwSbw9Ri-xd1ULYw&s=19|#]] 당연히 관객들의 반응은 부정적이다. 이 작품은 스트리밍 영화이고 방임주의에 가까운 넷플릭스의 방침상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이나 [[저스티스 리그(영화)|저스티스 리그]]처럼 편집권 제한이나 러닝 타임 때문에 스나이더의 편집 자율성이 침해될 상황이 아니었다. 하지만 조금이나마 넷플릭스로부터의 간섭이 있긴 했을 것이다.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서비스이기 때문에 러닝타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은 맞다. 그러나 넷플릭스는 작품들의 인기도와 러닝타임을 분석한 결과 시청자들이 2시간 이내의 러닝타임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 때문에 넷플릭스는 잭 스나이더와 상의해 첫 릴리즈의 경우 2시간 이내의 러닝타임으로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 기타 == * 파트 1과 파트 2로 나누어 제작될 예정이며, 촬영은 동시에 했다. [[https://twitter.com/SnyderNetflix/status/1489316671340830722|#]] 그리고 총 3부작으로 제작될 계획이라고.[[https://thedirect.com/article/zack-snyders-rebel-moon-trilogy-netflix|#]] * [[아미 오브 더 데드]]에 이어서 [[잭 스나이더]]가 직접 촬영감독까지 맡은 영화이다. * [[배두나]]는 [[브로커(영화)|브로커]]와 [[다음 소희]]로 [[제75회 칸 영화제]]에 초청받았음에도 레드카펫 자리에 참석하지 않았는데, 아마 이 영화 촬영 스케쥴과 겹쳐서 나오지 못한 모양으로 추측된다. * 잭 스나이더가 네메시스 캐릭터에 검은 갓을 씌운 이유는 [[킹덤(한국 드라마)|킹덤]]의 영향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역할을 연기한 배두나의 뿌리를 존중하기 위해서였다고 하며, 역사적 공부를 한 뒤 추가 디자인을 거쳐 지금의 캐릭터의 모습을 만들었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08/0000209614|#]] * 2023년 3월 19일, 잭 스나이더가 영화 기반의 게임이 이미 개발 중이라고 언급 했다.[[https://comicbook.com/gaming/news/zack-snyder-rebel-moon-video-game-netflix-new-movie/|#]] * 파트 2는 2024년 4월 19일에 공개될 예정이다. * [[아미 오브 더 데드]] 시리즈의 세계관과 공유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https://www.gamesradar.com/zack-snyder-rebel-moon-army-of-the-dead-exclusive/&utm_campaign=socialflow/|#]] * 왕좌의 게임에서 [[다리오 나하리스]]역을 맡은 에드 스크라인과 미치엘 휘스먼이 공동 출연한다. [[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스페이스 오페라]][[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미국의 모험 영화]][[분류:잭 스나이더]][[분류:202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