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Rare Atom)] [include(틀:CS 프로게임단)] ||<-2> [[파일:1200px-Rare_Atom_allmode_full.png|width=230]] || ||<-2> '''{{{+1 레어 어텀}}}''' || ||<-2> '''{{{#ffffff {{{+1 Rare Atom}}}}}}''' || || '''창단''' ||[[2016년]] [[3월 6일]]|| || '''활동 지역''' ||[[파일:아시아 위치.svg|width=20]] [[아시아]]|| || '''팀명''' ||VG.CyberZen(2016.3~2017.2) [[Vici Gaming]](2017.2~2018.4) VG.FlashGaming(2018.4~2018.8) ViCi Gaming(2018.8~2022.2) '''Rare Atom(2022.2~)'''|| || '''설립자''' ||[include(틀:국기,국명=중국,출력= )] 딩준|| || '''매니저''' |||| || '''코치''' ||[include(틀:국기,국명=핀란드,출력= )] 슬라바 라사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04ec4; font-size: 1.0em" {{{#fff Twista}}}}}}|| || '''수석 코치&분석가''' ||[include(틀:국기,국명=핀란드,출력= )] 페테리 야콜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04ec4; font-size: 1.0em" {{{#fff peku}}}}}}|| || '''약칭''' ||'''{{{#ffffff {{{+1 RA}}}}}}'''|| ||<-2> [[https://twitter.com/rare_atom|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https://weibo.com/7736530902?refer_flag=1001030103_|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2> '''{{{#ffffff 로스터}}}'''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3> '''ACTIVE''' || || || || || || || || ||}}}}}}}}}}}} || ||<-2> '''{{{#ffffff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팀 컬러''' || ||<-2> {{{+5 {{{#b04ec4 ■}}} {{{#000000 ■}}} {{{#ffffff ■}}}}}} ||}}}}}}}}}}}} || [include(틀:Rare Atom)]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38px-Vici_Gaming_CyberZen_Squad.jpg]] VG.CyberZen 시절. [[파일:external/pbs.twimg.com/C4nh4YJWAAA8QfC.jpg]] 팀 분리 이후. 2016년 3월 6일에 CyberZen팀을 인수해 창단했다. 팀 태그는 ''''VG.CyberZen''''으로 활동한다. == 행적 == === ViCi Gaming === 참고로 tb와 Savage는 1.6시절 [[TYLOO]]에서 대활약했던 전설적인 인물들이다. 1.6 시절 타이루가 [[wNv.cn]]에 가려 그 기량에 비해 빛을 보지 못했던 시절과 마찬가지로 현재는 타이루에게 밀려 그 자리를 대신 맡고 있는(...) 비운의 중국 [[콩라인]]이다. 하지만 타이루나 TheMongolz와 같은 아시아 최상위의 막강한 팀 상대로도 전혀 꿀리지 않는 게임을 펼치는 매우 강한 팀이며, 아시아 내에 다섯 손가락에 꼽는 수준에 자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성적을 보면 아시아 내에서 거의 모든 경기를 승리하고 있고 [[오스트레일리아|호주]] 팀들과도 대등하게 경기를 치루는 등 엄청난 전투력을 선보이고 있으나, 중요한 고지마다 넘사벽인 타이루에게 매번 격퇴당하고 있다... [[http://www.hltv.org/?pageid=188&teamid=6773|#]] 2016년 9월 5일 hltv.org 상위랭킹 30위 중 29위에 오르는 명예를 안게 되었다. [[http://www.hltv.org/news/18599-team-ranking-august-2016|#]] 호주팀 상대로도 앞서는 승률을 보이며 ~~그 놈의 타이루만 제외하면~~ 아시아 최강팀 중 하나라는 모습을 유감 없이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꾸준히 점수를 쌓은 것이 유효한 듯 하다. 2016년 9월 현재 [[Star Ladder]] i-League Starseries 시즌 2에 중국대표로 참가하고 있다. 중국 예선에서 준우승하여 [[TYLOO]]랑 [[MVP Project]]와 함께 상위 3팀으로 최종 진출을 확정지었다. 헌데 이번 대회에서 중국팀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한 쪽에서는 [[Na'Vi]]를 잡더니 이 쪽에서는 [[Virtus Pro]]를 꺾는 [[http://www.hltv.org/news/18627-vgcyberzen-upset-virtuspro|대이변]]을 일으킨 것이다! 양 팀 모두 말 그대로 '''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팀 중 둘을 만나 둘 모두 격파'''해버린 것이다!! 같은 중국 대표 중 유일한 [[MVP Project|타 국가 팀]]은 처절하게 묵사발 나버린 것과는 달리, 이대로라면 멀지 않은 언젠가 정말 [[wNv]]가 중국을 세계최강으로 만들었던 2000년대 초반의 포스를 현 세대 중국팀들이 재현할 수도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라 하겠다. 승자조에선 [[Cloud9]]에게 패배하며 최종전으로 떨어진 상황이고, [[EnVyUs]]와의 경기를 앞두고 있다. 재밌게도 이번에 중국팀에게 당한 [[Na'Vi|두]] [[Virtus Pro|팀]] 모두 4강 쯤은 가볍게 올라가도 이상하지 않을 팀들이지만, 자신들도 믿을 수 없는 패배에 멘탈이 박살이 났는지 패자조에서도 살아남지 못하고 사이좋게 광탈을 찍어버렸다(...) 그 후 최종전인 [[EnVyUs]]와에 대결에서 첫 맵인 더스트2를 아쉽게 16:14로 졌고 다음 맵인 캐시에서 16:3으로 패배하여 결국 2:0으로 조별리그를 탈락하였다. 2016년 9월 19일 갱신된 hltv.org 랭킹에서 개편된 것으로 30위권까지 확장 노출이 되는데, 여기에 23위로 올라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www.hltv.org/ranking/teams/2016/september/19/|#]] [[Virtus Pro|세계 초일류팀]]을 잡아낸 것이 랭킹 상승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NRG Esports]]와 [[HellRaisers]]보다도 높은 순위에 오르는 명예를 차지하게 되었다. 2016년 10월 24일 hltv.org 랭킹에 처음으로 20위권 내에 19위로 오르게 되었고, [[TYLOO]]보다 한단계 위에 자리잡았다. [[http://www.hltv.org/ranking/teams/2016/october/24/|#]] 사실 이건 타이루가 약세를 보인 건 아니고 매치가 좀 뜸한 사이에 사이버젠이 많이 뛰어다니고 또 많이 이기고 다녀서 역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랭킹에서 앞서더니 [[PGL Regional Minor Championship]] 중국 예선을 통과하여 올라온 아시아 승자조 준결승에서 [[http://www.hltv.org/match/2306219-tyloo-vgcyberzen-pgl-regional-minor-championship-asia-eleague-major-2017|처음으로 타이루를 잡았다!]] 항상 타이루의 [[압도적인 힘으로]] 진압당하던 사이버젠에게는 이번 승리가 특히 다전제였기에 더 기분이 좋을지도 모르겠다. ~~드디어 2인자가 1인자를 정정당당한 힘대결로 이겼다!~~ 승자조 결승에서 [[Renegades]]라는 또다른 강적을 상대해야 하고, 타이루가 완전히 탈락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긴장을 풀 수는 없겠지만 타이루라는 아시아의 독보적인 최강이면서 북미 상위권에도 견줄 만한 막강한 팀에게 다전제 승리를 챙겼다는 사실은 앞으로의 사기 진작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시 요행은 두 번 바라기는 어려웠는지 레니게이즈한테는 패배하여 최종 준결승에 올라있는 상태이다. 패자조 승자와 맞붙게 되는데, 레니게이즈한테 패배해서 내려간 [[MVP Project]]와, 이미 한 번 꺾은 [[TYLOO]]와의 경기에서 승자가 올라오게 된다. 아마 타이루가 이기는 게 기정사실 같으니, 겨우 쫓아낸 괴물을 다시 맞이할 앞으로의 경기에 앞서 [[GG|행운을]] [[GL#s-11|바랄]] [[HF#s-7|뿐]](...) ~~만에 하나 MVP가 올라오는 이변이 일어난다면 정말로 행운이~~ 젖 먹던 힘까지 짜내어 1차전을 먼저 승리했지만 2차전에서 재재연장전까지 끌고 간 끝에 아쉽게 패하고 3차전을 이기지 못해서 [[ELEAGUE Major 2017|메이저]] 행 티켓을 코 앞에 두고 다시 탈락하고 말았다. 이쯤이면 [[TYLOO]]는 사이버젠에겐 웬수가 따로 없을 지경일 듯 싶다. 2017년 2월 14일 팀을 두 팀으로 나눈다고 한다. 기존 VG.CyberZen을 본래 팀명인 Vici Gaming으로 변경하는 것 같고, 또 다른 팀은 VG.Renaissance라는 팀명으로 활동한다. 2018년 사이버젠 출신들은 VG에서 나와서 다시 사이버젠으로 활동하다가 새로운 클럽과 계약하여 Panda Gaming으로 뛰고 있다. 대신 [[Flash Gaming]]을 스카웃하여 'VG.Flash'라는 팀을 만들고 두 팀의 선수를 섞어가며 출전시키다가 9월 3일 다시 Vici Gaming로 복귀했다. [[CS:GO Major Championship]]의 예선 통과 방식이 개편된 [[IEM Katowice 2019]]에서 챌린저 무대에 진출했다. 메이저 첫 진출이며, 그 전 [[TYLOO/카운터 스트라이크]]를 제외한 같은 중국 및 순수 아시아 진출 사례였던 [[Flash Gaming]]은 원래 탈락했다가 TyLoo가 출전을 포기해서 차순위 진출 혜택으로 올라간 거지만, 이번엔 [[North(프로게임단)]]이라는 유럽에서도 상당한 강자를 두 번이나 꺾고 순전히 경기력만으로 진출권을 얻어냈기에 큰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챌린저 무대에 진출해서 첫 경기 상대인 [[Fnatic/카운터 스트라이크]]를 꺾는 이변을 일으켰으나 전체 통틀어 복이 지지리도 없는 최악의 대진운으로 결국 탈락했다. 경기 하나 하나만 두고 보면 이게 꼴지로 간신히 들어온 팀 맞나 싶을 정도로 매우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상대들이 전부 다 너무 강한 놈들만 얻어 걸리면서 결국 2승 3패로 아슬아슬하게 허들을 넘지 못했다. 첫 상대였던 프나틱은 예상 외로 너무 졸전을 벌이다가 싱겁게 탈락했지만 나머지 네 경기의 상대 전부 레전드에 진출했다... 이기면 이기는대로 너무 말도 안되는 상대들이었다. 하지만 위 대회에서의 맹활약을 시작으로 2019년 ViCi의 경기력이 몰라보게 급상승했다. 상하이에서 [[StarLadder]]가 개최한 Starseries i-League 대회에서 개막전 상대인 [[Na`Vi]]를 꺾어버려서 자신들이 유럽권 팀에 견줄만한 실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거기다 나비가 이 대회에서 우승까지 하면서 이번 대회 중 유일하게 나비를 이긴 팀이 되었다. 서양권 팀에게 호각으로 다투는 [[Renegades]]와 TyLoo만큼이나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아시아 3강으로 올라섰다. 그만큼 다른 아시아팀들에겐 얼마 전까진 그래도 해볼 만 했던 상대가 저렇게 강해져버려서 골칫거리가 더 늘어버렸다. === Rare Atom === 2022년 1월 30일 VG CS:GO팀이 [[Rare Atom/리그 오브 레전드|롤팀]] 처럼 팀명을 Rare Atom으로 리브랜딩 했음을 발표했다. 2023년 8월 7일 팀 리빌딩을 위해 기존 로스터 전원 방출을 발표했다.[[https://twitter.com/rare_atom/status/1688369367656906752|#]] == 멤버 == === 현 멤버 === === 전 멤버 === * 량줘/梁卓/Liang Zhuo(advent) * 앤드루 콩웽컹/Andrew Khong Weng Keong(kaze) * 양이/杨易/Yang Yi(JamYoung) * 천첸하오/陈千皓/Chen QianHao(Moseyuh) * 왕징샹/王景祥/Wang Jingxiang(Mercury) * 류즈훙/刘治宏/Liu Zhihong(aumaN) * 중웨이제/钟伟杰/Zhong Weijie(zhokiNg) * Tao Deng(Franke19) - 트라이얼 * 'WingHei Cheung(Freeman) * Bin Liu(Savage) * Huang Zhen(HZ) * BingYuan Li'(tb)[* Savage와 함께 타이루의 1.6 당시 전성기를 장식했던 전설의 주역인 플레이어이다.] * LinXiao "JeXeN" Wang * KunHua "LOVEYY" Bai * ZhiShen "zmpok" Zhang == VG.Renaissance ==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Vici_Gaming_Renascencelogo.png|width=300px]] 5월 16일 기존 멤버였던 2명은[* tb는 코치로 들어갔다.] 1팀이었던 Vici로 옮겼다. 이후 멤버 2명이 아닌 3명을 급하게 영입했는데. 3일뒤 Renaissance가 To.be.or.not.to.be라는 팀명을 가진팀에게 인수되었다. === 전 멤버 === * '''Tao "Franke19" Deng''' * '''ZhenWei "TANK" Zhou''' * '''BinJie "cate" Wang''' * '''Xin "XyGJin" Jin''' * '''SiBo "AR" Qin''' * '''Xin 'XyG' Jin''' * '''Xin "Supreme" Zhang'''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Vici Gaming, version=677)] [[분류:카운터 스트라이크/e스포츠 팀]][[분류:Rare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