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RMS_Queen_Elizabeth.jpg]] [목차] '''[[RMS]] Queen elizabeth''' (1940 ~ 1972) == 개요 == [[영국]] 존 브라운 앤드 컴퍼니[*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참전의 직접적인 원인이였던 [[루시타니아 호|RMS 루시타니아]]와 [[비스마르크 추격전]]에서 격침당한 전함 HMS 후드를 건조했었던 회사.]에서 건조하고 영국 [[큐나드 라인]]에서 운영했었던 [[대서양]] 정기 여객선. 모항은 [[리버풀]]이고 자매선으로 1934년에 건조된 [[RMS 퀸 메리]]가 있다. '''20세기 세계 최대의 여객선'''이었지만, 불의의 사고로 인해 침몰하는 운명을 맞이했다. === 생애 === 1936년 12월 4일 스코틀랜드의 존 브라운 조선소에서 착공되었고 1938년 9월 27일에 진수, 1940년 3월 3일에 취역하고 1940년 4월 24일 처녀항해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RMS 퀸 메리와 같이 병력수송선으로 징발된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1년 후, 1946년에 자매선인 RMS 퀸 메리와 같이 정기 여객선이라는 본연의 임무로 복귀하였고 1950년대에 갑판에 [[수영장]]을 추가하고, 1965년에는 대대적으로 보수공사에 들어갔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1960년대 후반 [[보잉 707]], [[보잉 747]] 등 본격적인 제트 여객기들이 등장하면서 대서양 정기 여객선의 자리를 밀어내자, 막대한 유지비와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RMS 퀸 메리가 1967년에 퇴역, RMS 퀸 엘리자베스도 1년 뒤인 1968년 10월에 퇴역한다. 퇴역하고 난 뒤 2달 동안 뉴욕항에 정박해 있다가 1968년 12월 에버글레이즈항으로 옮겨진다. == 제원 == * '''기공''': 1936년 12월 4일 * '''진수''': 1938년 9월 27일 * '''취역''': 1940년 3월 2일 * '''처녀항해''': 1946년 10월 16일 * '''퇴역''' : 1968년 12월 8일 * '''만재 [[배수량]]''': 83,000[[톤]] * '''총톤수''' : 83,673[[톤]] * '''전장''': 1,031[[피트]] (314.2 m) * '''전폭''': 118피트 (36 m) * '''높이''': 233피트 (71.0 m) * '''[[흘수선|흘수]]''': 39피트 (11.9 m) * '''갑판''': 10층 * '''주기관''': 12 x Yarrow [[보일러]], 200,000[[마력]] (150,000 kW) * '''추친체계''': 파슨스 싱글 기어드 [[증기 터빈]], 4축 추진 * '''순항속도''': 28.5노트 (52.8 km/h, 32.8 mph) * '''승객''': 2,283명 * '''승무원''': 1,000명 * '''무선[[호출 부호]]''': GBSS * '''침몰''': 1972년 1월 9일 * '''침몰 당시 선령''': 34년[* 자매선 퀸메리 처럼 현재까지 침몰 하지 않거나 해체되지 않고 보존되어 있었으면 무려 선령이 [age(1938-09-27)]년 된 선박이 된다.] == 침몰 == [[파일:rms queen elizabeth wreck.jpg]] 원래 퀸 엘리자베스도 RMS 퀸 메리처럼 플로리다에서 해상호텔로 사용할 계획이 있었지만 무산되고 그 이후 미국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항에 정박하였다가 1970년에 한 중국인이 홍콩의 해상대학교로 활용하기 위해서 매입하자, 1971년에 홍콩으로 이동했다. 이후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도색[* 이와 동시에 굴뚝도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도색했다.] 및 선체수리를 하고 Queen elizabeth에서 seawise university로 이름을 바꾸어 1972년 4월에 항해를 다시 시작하려고 했지만 같은 해 1월 9일 선체 수리를 하던 도중, 화재가 발생했는데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9/Queen_Elizabeth_on_fire_as_Seawise_University.gif|불길이 잡히지 않고 폭발음까지 들리며 선체가 붕괴]] 되면서 좌초하고 만다. 8만 톤이 넘는 고철덩어리를 인양하기에는 그 당시 기술로는 부족해서 몇 년 동안 잔해가 홍콩바다 한복판에 방치되어 있다가 1974년부터 선체의 일부는 절단해서 폐기처분하거나 재활용했다. 1978년 남은 선체일부를 인양작업을 하던 도중 젤리그나이트 폭약이 터져 잠수부 한 명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그 이후로 선체 인양 작업은 중지가 되었고, 선체 일부는 아직까지 인양을 못하고 깊은 바닷속에 남아있다. == 후계선 == 자세한 것은 [[RMS 퀸 엘리자베스 2]] 문서 참조. == 기타 == * 이름인 퀸 엘리자베스는 [[엘리자베스 1세]]가 아닌 [[엘리자베스 2세]]의 모후인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에서 온 명칭이다. 여왕이나 왕비나 둘다 영어로는 Queen이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 RMS 퀸 메리와 동일한 경우[* 이쪽도 [[메리 1세]]가 아닌, [[엘리자베스 2세]]의 조모인 [[테크의 메리]]에서 온 명칭.][* 반면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이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확실히 [[엘리자베스 1세]]의 이름에서 딴 명칭이 맞다.] * 21세기 세계 최대 크루즈 1위가 [[원더 오브 더 시즈]]이다. 20세기 세계 최대 크루즈 1위가 바로 이 RMS 퀸 엘리자베스이다. * 침몰 20년 이후인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존재했던 여객선들 중 규모 1위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1996년 카니발 크루즈에서 10만 톤급 크루즈선이 등장하고 난 이후 여러 선사들이 초대형 크루즈선들을 진수하게 되어 밀려나게 된다. * 홍콩에서 화재로 침몰하기 전에 정박했었던 미국 에버글레이즈 항에서도 엔진이랑 관련된 여러 장치들이 고장 난 상태로 방치되고 있어서 화재 위험이 있었다고 한다. * [[파나마 운하]]를 최초로 통과한 여객선이다. * 1965년 야외 [[수영장|풀장]]을 갑판에 설치했다 그래서 자매선인 [[RMS 퀸 메리]]랑은 다르게 야외수영장이 있다. * 계승선인 RMS 퀸 엘리자베스 2보다도 더 크다. * RMS 퀸 엘리자베스가 침몰한 이후, 세계에서 가장 큰 여객선 타이틀은 [[https://en.wikipedia.org/wiki/SS_France_(1960)|SS 프랑스]]가 물려받게 된다. * 2차 대전 중 징발될 때 RMS 퀸메리와 같이 활동했는데, RMS 퀸메리는 잠수함보다도 빨라서 [* 2차 대전 당시 잠수함들은 속력이 매우 느린 편이라 아무리 빨리 움직여도 퀸메리의 순항속도의 반도 안 된다.] 그레이고스트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매선인 RMS 퀸엘리자베스는 6년 늦게 건조되어 신기술이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퀸메리보다 속도가 2노트가 느리다. 퀸엘리자베스도 건조된 해인 1940년 퀸메리랑 같이 징용됐지만 이 배는 그레이고스트라는 호칭을 받지 못했다. * RMS 퀸 메리의 설계도를 수정해서 만든 게 이 RMS 퀸 엘리자베스이다. [* 외관상으로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RMS 퀸메리는 3개의 연돌을 가지고 있지만 엘리자베스는 연돌이 1개 줄어 2개의 연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마디로 RMS 퀸 메리의 개선형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퀸 메리보다 엔진, 객실, 놀이시설, 여가시설, 구명정 등 모든 게 더 좋았고 더 화려하고 최신식으로 돼있었고, 엔진 마력수도 퀸 메리보다 높아 힘도 더 좋았다. * 이 배가 화재로 침몰하거나 해체되지 않았었으면, 누군가 구입해서 RMS 퀸 메리처럼 해상호텔, 박물관 등으로 사용됐을지도 모른다. [* 현재로부터 82년 전에 건조된 선체인데도 불구하고 야외풀장까지 있어서 사람들이 퀸메리보다 더 많이 찾았을 수도 있다.] * 영화 [[007 황금총을 가진 사나이]]에서도 등장하는데 영화에서는 당시 화재로 침몰한 선체 내부를 MI-6의 홍콩지부 비밀기지로 쓰고 있다는 설정이다. [* 당시 홍콩이 영국 식민지 시절이었으니 그다지 이상할 것도 없다.] == 관련 문서 == * [[선박 관련 정보]] * [[선박]] * [[여객선]] == 둘러보기 == [include(틀: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분류: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분류:여객선]][[분류:난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