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펌프 잇 업 시리즈)] [[파일:external/ddrpl.com/47063c1d3ba9c93c4cac2e60b6371563.jpg]] [목차] == 개요 == 북미지역 전용 버전인 [[Pump It Up Pro]]의 후속작. [[2010년]] [[7월]] 출시. 전작인 펌프 잇 업 프로가 북미지역에서 DDR의 독점에 가까운 상황에서 괜찮은 실적을 내면서 펀 인 모션이 [[안다미로]]의 지원으로 개발한 북미지역 전용 두번째 버전. == 상세 == 전작과 동일하게 [[스텝매니아]] 데이터 기반으로 가동되며, 커스텀 패턴과 같은 스텝매니아 특유의 요소 역시 그대로 지원한다. USB를 통한 기기 업데이트 역시 지원. 전작과의 시스템적 차별점은 거의 없지만 대신 프로 2만의 신곡을 대거 투입, 78곡이라는 방대한 양의 다양해진 뮤지션들의 신곡을 즐기는 것을 전작보다 강화된 최고의 강점으로 내세웠다. USB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추가로 신곡이 들어갈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역시 전작인 프로와 더불어 전면부에 버튼이 들어가며, 새로 출시된 TX/CX 기종에서는 프로 2가 구동된다. 이와는 별개로 프로 2의 출시 즈음부터 프로 시리즈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32명 이상의 인원이 동시에 펌프 잇 업을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는 펌프 잇 업 프로 피트니스(Pump it up PRO Fitness) 사업을 전개중인듯(...). 역시 컬트한 쪽으로 인기를 끌어 북미쪽은 아예 전용 시리즈 개발로 결정되어 이에 유럽까지 가세해서 [[펌프 잇 업]] 시리즈는 후속작인 인피니티에서 아시아권/남미권 전용 버전인 피에스타 시리즈랑 미국, 유럽 전용 버전인 인피니티 시리즈로 시리즈가 갈라지게 되었다. 이 시리즈를 끝으로 캐나다와 멕시코 지역은 본가로 넘어갔다. 일본에서 World Game Circus 오락실을 비롯한 일부 업소들이 직수입으로 들여와서 구동하기도 했다. 이후 이들 직수입 구동 업소와 세가.남코 계열 오락실들이 프라임의 일본판인 [[Pump It Up 2015 Prime Japanese Edition]]을 정식 발매한다. 사실상 일본에 정식 출시하는데 영향을 준 버전으로 봐도 무방하다. == 수록곡 == || 곡명 || 아티스트 || 비고 || ||Accelerator||Nitro||Gauntlet 모드 전용곡|| ||[[Allegro Con Fuoco]]||[[DM Ashura]]||피에스타 EX에 이식|| ||All Of The World||API|| || ||Back In Boogie Town||Beat Bender|| || ||Bang The Bass||Wez Devine|| || ||Be Alive (Raaban Inc. Mix)||Stian K||피에스타 2에 이식|| ||Beyond the Sky||Pawel Blaszczak||Gauntlet 모드 전용곡|| ||Boom Digi Da||Bambee|| || ||Boulafacet||Nightmare||해금곡|| ||Breathing You In||Zircon Feat. Jillian Goldin|| || ||Chaotic WHITE||DM Ashura vs Enoch|| || ||Closer to Heaven||MePuma|| || ||Coalesce||On Slot|| || ||Concerto||[[sanxion7|Sanxion7]]|| || ||Cosmic Unconsciousness||When Machines Dream|| || ||Cowgirl||Bambee|| || ||Crowdpleaser (Drop the Mic Mix)||SGX||해금곡|| ||Dabbi Doo||Ni-Ni||해금곡|| ||Dawgs In Da House||CanBlaster (Miami Style)|| || ||Deadbeat Boyfriend||Lucky Princess||Disko Warp의 곡[* 피에스타 EX 1.50에 베이직 모드 한정으로 이식되었지만 저작권 문제로 의해 1.51에서 삭제, 인피니티에서 Disko Warp의 곡 전부가 삭제된 원인이 되었다.]|| ||Disco Punks on Jolt||Blue Stahli|| || ||Don't Don't Go Away||Foxxie||Disko Warp의 곡|| ||[[Dream To Nightmare]]||Nightmare||피에스타 2에 이식, 뮤직 트레인/미션 한정. 1.30에서 정식 곡으로 승격|| ||Elder God Shrine||E-Racer|| || ||Electrock||Throwdown || || ||EternuS||Sanxion7|| DDR SuperNOVA2에 수록 || ||Frozen||Celldweller|| || ||[[Gargoyle]]||Sanxion7||피에스타 EX에 이식|| ||GO! (EK Mix)||DM Ashura|| || ||Hanky Panky||Jenny Rom|| || ||Hardkore Atomic||Diclonius Kid|| || ||[[Hardkore of the North]]||Diclonius Kid||피에스타 2에 이식|| ||Haven||SGX||해금곡|| ||Hell Flame||Diclonius Kid|| || ||Ika Uka||Jenny Rom|| || ||I'm Just a DJ||[[Porter Robinson|Ekowraith]] feat. Kyrn|| || ||In The Groove||One Dollar||Gauntlet 모드 전용곡|| ||In The Night||Scandalous|| || ||I Think I Like That Sound||Kid Whatever|| || ||King of the Beats||Throwdown||해금곡|| ||Lolitabot||Lolitabot||Disko Warp의 곡|| ||Man vs Mountain||Throwdown|| || ||Maslo||Vospi|| || ||Memory||On Slot|| || ||Mind Your Matter||Bjorn Fogelberg|| || ||Mission Incredible||Bjorn Lynne|| || ||[[Necromancy]]||Zircon||피에스타 EX에 이식, 1.20 신곡|| ||Oh Oh Oh Sexy Vampire||Fright Ranger||Disko Warp의 곡, 전용 BGA 有|| ||One Step Higher||MePuma|| || ||Online||Bambee|| || ||Operator||Miss Papaya|| || ||Photosynthesis||Zircon|| || ||[[pink fuzzy bunnies]]||Wonderboy||Disko Warp의 곡|| ||Playa D' Embossa (I Feel Love)||Paul Sumpter||해금곡|| ||Poco Loco||Carlito|| || ||Power Trip||Nostra Cosa|| || ||Rainspark||Sanxion7||피에스타 2에 이식|| ||[[Rave Until The Night Is Over]]||DM Ashura feat. MC Jay and Veronica||피에스타 EX에 이식, 1.10 신곡|| ||Rave Until The Night Is Over (Cyber Trance Mix)||DM Ashura feat. MC Jay and Veronica||해금곡|| ||Right Back Up||SGX feat. Navi|| || ||Rippin' It Up||Future Funk Squad||피에스타 2에 이식|| ||[[Rockhill]]||Beltaine||폴란드, 피에스타 2에 이식, 1.10에서 정식곡으로 승격|| ||Rock Robotic -OSX Mix-||Oscillator X|| || ||Shine (Breakz Mix)||Oscillator X||해금곡|| ||Smart Optics||Damian Turnbull|| || ||[[스멜 라이크 어 초콜릿|Smells Like a Chocolate]]||Vospi||피에스타 EX에 이식, 엔딩 곡, 1.30 버전에서 정식 곡으로 승격|| ||Span||SGX|| || ||[[Star Command]]||Zircon||피에스타 2에 이식|| ||Step On It||The DNC|| || ||Supremacy||KaW|| || ||Sweet Senorita||Miss Papaya|| || ||Swing Baby Swing||The DNC|| || ||Swing the House||Elliot Simons||해금곡|| ||Switchback||Celldweller||피에스타 2에 이식|| ||Tell Me A Story (Compendium Mix)||SGX|| || ||Terminal||Sanxion7|| || ||The Game of Love||Jenny Rom|| || ||The Last Firstborn||Celldweller|| || ||The Neon Underground||Oscillator X|| || ||The Next Step||Falling Down|| || ||Tribe Attacker||Hi-G||피에스타 2에 이식[* 이 곡에서 본가 시리즈 최초의 4인 퍼포먼스가 나왔다.]|| ||UFO Catcher||Initial P||Disko Warp의 곡|| ||Unlikely (Stay With Me)||Celldweller|| || ||Wake Up||Kid Whatever||Disko Warp의 곡|| ||Wanting You||[[Porter Robinson|Ekowraith]]|| || ||We Are Loud||Dynamedion||해금곡|| ||Wham Bam Boogie||Bambee|| || ||[[What Happened]]||Throwdown||피에스타 EX에 이식|| ||While Tha Rekkid Spinz||DJ Zombie||Disko Warp의 곡|| ||X-RaVE||DM Ashura||피에스타 EX에 이식, 1.30 신곡[* 그전엔 숏 컷 전용으로만 존재.]|| ||You Bring The Rain||Oscillator X || || ||Z -The New Legend-||DM Ashura||Gauntlet 모드 전용곡, 풀 송 전용|| == 여담 == PRO2를 포함한 스핀오프 시리즈의 [[BGA]]를 보면 다른 곡일지라도 BGA가 재활용된 부분이 많고 다른 작품에 비해 퀄리티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분류:펌프 잇 업 시리즈]][[분류:2010년 아케이드 게임]][[분류:인 더 그루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