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Red Velvet]][[분류:2019년 노래]][[분류:한국 노래]] [include(틀:Red Velvet)]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9년 최고의 K-POP)] [include(틀:멜론 선정 K-POP 명곡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1d937d" '''{{{+3 Psycho}}}'''[br] [['The ReVe Festival' Finale|[[파일:'The ReVe Festival' Finale 로고.png|width=4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5 'The ReVe Festival' Finale.jpg|width=100%]]}}} || ||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19년]] [[12월 23일]] || || '''러닝타임''' ||<-2> 3:30 || || '''작사''' ||<-2> [[KENZIE]] || || '''작곡''' ||<-2> Andrew Scott , Cazzi Opeia , EJAE || || '''편곡''' ||<-2> Druski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가수''' ||<-2> [[Red Velvet|[[파일:Red Velvet 로고.svg|height=20]]]] || || '''장르''' ||<-2> 댄스 || || '''수록 앨범''' ||<-2> [['The ReVe Festival' Finale]] || [목차] [clearfix] == 개요 == [[Red Velvet]]의 '[[The ReVe Festival]]' [[3부작]] 시리즈의 마지막 앨범 [['The ReVe Festival' Finale]]의 타이틀곡 == 가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yyT5tHbOLw,width=100%)]}}} || ||'''{{{+3 Psycho}}} {{{-1 01}}}'''[br]3' 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caad0; background-color: #fcaad0; color: #f5f5f5; font-size: 0.6em;" '''TITLE'''}}}[br][br]'''{{{#fcaad0 레드벨벳의 능수능란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보컬이 어우러진 업 템포 어반 팝 곡으로, 변화무쌍한 멜로디 위로 중독성 있게 펼쳐지는 훅이 돋보이며, 가사에는 남들이 보기에는 'Psycho'처럼 별나 보여도, 결국 서로뿐임을 인정하는 연인의 쿨한 메시지를 담았다.}}}'''[br][br] || ||<^|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가사 보기 ] ^^'''ALL {{{#fe3e5f 아이린}}} {{{#ffba00 슬기}}} {{{#0074cb 웬디}}} {{{#00a250 조이}}} {{{#9f00c5 예리}}}'''^^ {{{#ffba00 Woo~}}} {{{#0074cb Hey yeah}}} {{{#ffba00 Umm~}}} {{{#00a250 Ya, Psycho}}} {{{#fe3e5f 널 어쩌면 좋을까 이런 맘은 또 첨이라}}} {{{#ffba00 Up & Down이 좀 심해 조절이 자꾸 잘 안돼 하나 확실한 건 I don’t play the game}}} {{{#9f00c5 우리 진짜 별나대 그냥 내가 너무 좋아해}}} {{{#00a250 넌 그걸 너무 잘 알고 날 쥐락펴락해 나도 마찬가지인걸}}} {{{#0074cb 우린 참 별나고 이상한 사이야 서로를 부서지게}}} {{{#ffba00 (부서지게)}}} {{{#0074cb 그리곤 또 껴안아}}} {{{#00a250 (그리곤 또 껴안아)}}} You got me feeling like a psycho psycho 우릴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붙어 다니니 말야 이해가 안 간대 웃기지도 않대 맞아 Psycho {{{#ffba00 (Psycho)}}} psycho {{{#ffba00 (Psycho) }}} 서로 좋아 죽는 바보 {{{#ffba00 (바보)}}} 바보 {{{#ffba00 (바보)}}} 너 없인 어지럽고 슬퍼져 기운도 막 없어요 둘이 잘 만났대 Hey now we’ll be ok {{{#fe3e5f Hey trouble 경고 따윈 없이 오는 너 I’m original visual 우린 원래 이랬어 Yeah}}} {{{#9f00c5 두렵지는 않아 (흥미로울 뿐) It’s hot! Let me just hop}}} {{{#ffba00 어떻게 널 다룰까? Ooh}}} {{{#00a250 어쩔 줄을 몰라 너를 달래고 매섭게 발로 차도}}} {{{#0074cb 가끔 내게 미소 짓는 널 어떻게 놓겠어 Ooh}}} {{{#ffba00 우린 아름답고 참 슬픈 사이야 서로를 빛나게 해}}} {{{#00a250 (Tell me now)}}} {{{#ffba00 마치 달과 강처럼}}} {{{#0074cb 그리곤 또 껴안아}}} You got me feeling like a psycho psycho 우릴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붙어 다니니 말야 이해가 안 간대 웃기지도 않대 맞아 Psycho psycho {{{#0074cb (맞아 Psycho psycho)}}} 서로 좋아 죽는 바보 바보 {{{#0074cb (바보 바보)}}} 너 없인 어지럽고 슬퍼져 기운도 막 없어요 둘이 잘 만났대 Hey now we’ll be ok {{{#00a250 Don’t look back 그렇게 우리답게 가보자}}} {{{#ffba00 난 온몸으로 널 느끼고 있어 Everything will be ok}}} {{{#0074cb (You got me feeling like a psycho)}}} Like a psycho psycho 우릴 보고 말해 자꾸 자꾸 {{{#0074cb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0074cb (Hoo~)}}} 붙어 다니니 말야 둘이 잘 만났대 Hey now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9f00c5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9f00c5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9f00c5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9f00c5 (we’ll be ok)}}} It’s alright {{{#fe3e5f (It’s alright)}}} {{{#ffba00 (Oh~)}}} It’s alright {{{#ffba00 (Ho~ oh~ oh~)}}} Hey now we’ll be ok {{{#00a250 (Okay)}}} Hey now we’ll be ok {{{#00a250 (Okay Yeah)}}} Hey now we’ll be ok {{{#00a250 (ay)}}} Hey now we’ll be ok {{{#00a250 (Okay)}}} It’s alright {{{#0074cb ooh~}}} It’s alright {{{#0074cb 우린 좀 이상해}}} {{{#fe3e5f Psycho}}} }}}}}}}}} || == 뮤직비디오 == || {{{#fcaad0 {{{+1 '''Psycho'''}}}[br]'''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R8Mrt1IpXg)]}}}|| ---- || {{{#fcaad0 {{{+1 '''Psycho'''}}}[br]'''Performance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7yNvMzz2zg)]}}}|| == 라이브 영상 == || {{{#fcaad0 {{{+2 '''Psycho'''}}}[br]'''라이브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g7nBHXQCCA)]}}}|| === 유튜브 조회수/좋아요 기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드벨벳 사이코 1억뷰.gif|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체이미지 2022-03-20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드벨벳 사이코 3억뷰.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체이미지 2022-03-20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체이미지 2022-03-20 (1).jpg|width=100%]]}}}|| || '''1억뷰 달성'''[br]{{{-2 2020.03.26}}} || '''2억뷰 달성'''[br]{{{-2 2020.11.17}}} || '''3억뷰 달성'''[br]{{{-2 2021.09.09}}} || '''4억뷰 달성'''[br]{{{-2 YYYY.MM.DD}}} || '''5억뷰 달성'''[br]{{{-2 YYYY.MM.DD}}} || ==== 유튜브 조회 수 추이 ==== ||<-7> {{{#fcaad0 ''' YouTube 조회 수 추이'''}}} || ||<-7> {{{#!folding 1억 돌파 추이 || {{{#fcaad0 '''연도'''}}}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2> 2019년 || '''1000만''' || 12월 24일^^(발매 2일차)^^ || 22시간 || '''2000만''' || 12월 26일^^(발매 4일차)^^ || 2일 || || '''3000만''' || 12월 29일^^(발매 7일차)^^ || 3일 || || || || ||<|4> 2020년 || || || || '''4000만''' || 1월 4일^^(발매 13일차)^^ || 6일 || || '''5000만''' || 1월 12일^^(발매 21일차)^^ || 8일 || '''6000만''' || 1월 22일^^(발매 31일차)^^ || 10일 || || '''7000만''' || 2월 4일^^(발매 44일차)^^ || 13일 || '''8000만''' || 2월 19일^^(발매 59일차)^^ || 15일 || || '''9000만''' || 3월 7일^^(발매 76일차)^^ || 17일 || '''1억''' || 3월 26일^^(발매 95일차)^^ || 19일 || }}} || ||<-7> {{{#!folding 2억 돌파 추이 || {{{#fcaad0 '''연도'''}}}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5> 2020년 || '''1억 1000만''' || 4월 16일^^(발매 116일차)^^ || 21일 || '''1억 2000만''' || 5월 11일^^(발매 141일차)^^ || 25일 || || '''1억 3000만''' || 6월 4일^^(발매 165일차)^^ || 24일 || '''1억 4000만''' || 6월 29일^^(발매 190일차)^^ || 25일 || || '''1억 5000만''' || 7월 19일^^(발매 210일차)^^ || 20일 || '''1억 6000만''' || 8월 12일^^(발매 234일차)^^ || 24일 || || '''1억 7000만''' || 9월 4일^^(발매 257일차)^^ || 23일 || '''1억 8000만''' || 9월 30일^^(발매 283일차)^^ || 26일 || || '''1억 9000만''' || 10월 24일^^(발매 307일차)^^ || 24일 || '''2억''' || 11월 17일^^(발매 331일차)^^ || 24일 || }}} || ||<-7> {{{#!folding 3억 돌파 추이 || {{{#fcaad0 '''연도'''}}}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1> 2020년 || '''2억 1000만''' || 12월 11일^^(발매 355일차)^^ || 24일 || || || || ||<|5> 2021년 || || || || '''2억 2000만''' || 1월 3일^^(발매 378일차)^^ || 23일 || || '''2억 3000만''' || 1월 25일^^(발매 400일차)^^ || 22일 || '''2억 4000만''' || 2월 17일^^(발매 423일차)^^ || 23일 || || '''2억 5000만''' || 3월 15일^^(발매 448일차)^^ || 25일 || '''2억 6000만''' || 4월 10일^^(발매 474일차)^^ || 26일 || || '''2억 7000만''' || 5월 11일^^(발매 505일차)^^ || 31일 || '''2억 8000만''' || 6월 15일^^(발매 541일차)^^ || 35일 || || '''2억 9000만''' || 7월 27일^^(발매 583일차)^^ || 42일 || '''3억''' || 9월 9일^^(발매 627일차)^^ || 43일 || }}} || || {{{#fcaad0 '''연도'''}}}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fcaad0 '''조회수'''}}} || {{{#fcaad0 '''날짜'''}}} || {{{#fcaad0 '''간격'''}}} || ||<|6> 2021년 || '''3억 1000만''' || 11월 8일^^(발매 687일차)^^ || 60일 || '''3억 2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 '''3억 3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3억 4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 '''3억 5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3억 6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 '''3억 7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3억 8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 '''3억 9000만''' || 월 일^^(발매 일차)^^ || 일 || '''4억''' || 월 일^^(발매 일차)^^ || 일 || * 첫 24시간 조회수는 '''10,737,676회'''로, 기존 1위였던 짐살라빔의 기록을 큰 차이로 넘어섰다. * 12월 29일 오후 7시, 발매 일주일만에 [['The ReVe Festival' Day 2|직전 앨범]]의 타이틀곡 '''음파음파'''의 조회수를 넘어섰다. * 이전까지 최고 기록이었던 [[Bad Boy(Red Velvet)|Bad Boy]]의 27일차 5000만 뷰를 넘어서 최고 기록을 세웠다. * 2020년 3월 26일 오전 1시 10분경,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1억'''을 돌파했다. 발매 94일 7시간만에 1억 뷰를 달성하면서 기존 [[Bad Boy(Red Velvet)|Bad Boy]]의 118일 1억 뷰 기록을 24일이나 앞당겼다. 이로써 Psycho는 레드벨벳의 7번째 1억 뷰 돌파 뮤직비디오가 되었고, 레드벨벳은 1억 뷰 뮤비 7개를 보유한 8번째 한국 가수가 되었다. * 2020년 10월, 지난 2년 간 레드벨벳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 수 2,3위를 차지하던 [[Perfect Velvet|피카부]]와 [[Russian Roulette|러시안 룰렛]]의 조회 수 기록을 넘기면서 새로운 2위에 등극했다. * 2020년 11월 17일 정오,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2억'''을 돌파했다. [[Bad Boy(Red Velvet)|Bad Boy]]에 이은 레드벨벳의 두 번째 2억 뷰 돌파 뮤직비디오로, 발매 11개월만에 2억 뷰를 넘어서면서 기존 Bad Boy의 14개월 2억 뷰 기록을 3개월 앞당겼다.[*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중 [[소녀시대]], [[EXO]]에 이어 세 번째로 2억 뷰 뮤직비디오 2개를 보유한 가수가 되었으며, 10개월차 2억 뷰를 달성한 엑소의 [[LOVE SHOT]]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2억 뷰 돌파 기록이다.] * 2021년 9월 9일 정오,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3억'''을 달성했다. 레드벨벳의 두 번째 3억 뷰 돌파 뮤직비디오로, 발매 21개월만에 달성하면서 [[Bad Boy(Red Velvet)|Bad Boy]]의 36개월차 3억 뷰 기록을 크게 앞당겼다.[* 다만, [[EXO]]의 [[LOVE SHOT]]이 세운 616일차 3억 뷰 기록은 11일 차이로 넘어서지 못하면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최단 기록 경신에는 실패했다.] 이로써 레드벨벳은 3억 뷰 뮤직비디오 2개 이상을 보유한 7번째 한국 가수가 되었다. * 2021년 10월 15일, 퍼포먼스 비디오가 유튜브 조회 수 '''1억'''을 달성했다. [['The ReVe Festival' Day 1|짐살라빔]], [['The ReVe Festival' Day 2|음파음파]] 같은 타이틀곡조차도 조회 수가 정체된 가운데 퍼포먼스 비디오가 먼저 1억 뷰를 달성하면서, 기존 곡들에 비해 Psycho가 얼마나 많은 인기를 얻었는지를 반증하는 사례가 되었다. === 티저 === || {{{#fcaad0 {{{+1 '''Psycho'''}}}[br]'''MV Teas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ZG5NbC8VMI)]}}}|| == 평가 == >'짐살라빔'과 '음파음파'의 화려한 축제는 달콤 쌉싸름한 'Psycho'로 결말을 맺는다. < The Red >와 < Rookie >의 신비로운 동화 콘셉트와 'Bad boy'의 그루브를 조합해 비상식적일 수밖에 없는 사랑의 오묘함을 어색하지 않게 풀어낸다. 언뜻 건조하게 들렸던 'Bad boy'의 확실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크리스마스 시즌과 연말을 의식해 더욱 풍성한 베이스의 트랩 비트 위 멤버들의 코러스가 소리의 빈틈을 효과적으로 채운다. 파트 배분도 훨씬 자연스러운데 특히 곡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는 웬디와 후렴부 합창을 리드하는 슬기의 목소리가 만족스럽다. > >좋은 곡이다. 훌륭한 선율, 흥미로운 테마, 그를 풀어내는 퍼포먼스 모두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했다. 잠시 주춤할 때도 있지만,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더라도 결국 이와 같은 모범적인 노래를 만들어내며 끊임없이 가치를 증명해 보이는 것이 SM 시스템이다. 올 한 해 'The ReVe Festival'의 레드 벨벳도 그 경로를 그대로 밟았다. 돌이켜보면 '참 별나고 이상한 사이'였다. '짐살라빔'으로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음파음파'와 'Psycho'로 결국 '붙어 다니'게 되었으니. >---- >대중음악 평론가 김도헌 >‘레드’와 ‘벨벳’의 유산을 고루 배합해낸 결정체. 통통 튀는 피치카토 위를 부드럽게 가로지르는 마이너 스케일의 멜로디, 풍성하게 울리는 드럼패드 위에서 널뛰는 싸이킥한 전자음, 장난스러운 가사와 대비되는 다소 처연한 가창까지. “둘이 잘 만났대”라는 구절이 다름 아닌 ‘레드’와 ‘벨벳’을 지칭하는 것처럼 들린다면 과한 감상일까. >---- >IDOLOGY 에디터 스큅 공개된 이후 호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난해하다는 평을 받았던 짐살라빔이나 무난하기만 했던 음파음파를 뒤로 하고 벨벳 컨셉 특유의 실험적인 면은 살리면서도 대중성을 잡은 곡이라는 것. 그것을 증명하듯 지난 웬디의 부상으로 모든 음악방송에 불참했지만 1위를 9회 차지했다.[* 심지어 자그마치 '''무활동 지상파 3사 트리플크라운'''이다.] 또한 1월 21일 기준 음원 순위가 발매 한 달이 다 되가는 시점에서도 최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평단의 호평을 받았던 벨벳 컨셉의 곡들인 [[Peek-A-Boo|피카부]], [[Bad Boy(Red Velvet)|Bad Boy]]와 대중적인 중독성을 강조했던 [[Rookie(Red Velvet)|Rookie]]가 섞인 느낌이라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빨간 맛]]과 더불어 레드벨벳 최고의 히트송으로 평가받으며 타팬들도 고개를 끄덕이는 케이팝 절대명곡으로 인정받고있다. == 성적 == === 음원 === ||<-11> {{{#fcaad0 ''' 주간 음원 성적'''}}} [*기간 멜론 : ~2020년 12월 6일(일)[br] 가온 : ~ 2021년 3월 13일(토)] || ||<|3> '''주차''' ||<-2><|2> '''멜론 주간[br]TOP 100''' ||<-8> '''가온 주간 차트''' || ||<-4> '''디지털 종합''' [* 스트리밍, 다운로드, BGM 판매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집계 후 가온지수를 발표한다.] ||<-2> '''다운로드''' ||<-2> '''스트리밍''' || || '''순위''' || '''변동''' || '''순위''' || '''변동''' || '''가온지수''' || '''누적[br]가온지수''' || '''순위''' || '''변동''' || '''순위''' || '''변동''' || || '''1주차''' || '''2위''' || {{{#green,#7fff7f NEW}}} || '''2위''' || {{{#green,#7fff7f NEW}}} || '''44,549,166''' || 44,549,166 || {{{#red,#ff0000 '''1위'''}}} || {{{#green,#7fff7f NEW}}} || 3위 || {{{#green,#7fff7f NEW}}} || || '''2주차''' || '''2위''' || ― || '''2위''' || ― || 40,815,548 || 85,364,714 || {{{#red,#ff0000 '''1위'''}}} || ― || '''2위''' || {{{#red,#ff0000 ▲1}}} || || '''3주차''' || '''2위''' || ― || '''2위''' || ― || 37,182,868 || 122,547,582 || 3위 || {{{#blue,#0000ff ▼2}}} || '''2위''' || ― || || '''4주차''' || 3위 || {{{#blue,#0000ff ▼1}}} || 3위 || {{{#blue,#0000ff ▼1}}} || 35,682,688 || 158,230,270 || 5위 || {{{#blue,#0000ff ▼2}}} || 3위 || {{{#blue,#0000ff ▼1}}} || || '''5주차''' || 3위 || ― || 3위 || ― || 33,241,199 || 191,471,469 || 6위 || {{{#blue,#0000ff ▼1}}} || 3위 || ― || || '''6주차''' || 3위 || ― || 3위 || ― || 31,273,764 || 222,745,233 || 3위 || {{{#red,#ff0000 ▲3}}} || 3위 || ― || || '''7주차''' || 3위 || ― || 3위 || ― || 29,752,982 || 252,498,215 || 5위 || {{{#blue,#0000ff ▼2}}} || 3위 || ― || || '''8주차''' || 4위 || {{{#blue,#0000ff ▼1}}} || 4위 || {{{#blue,#0000ff ▼1}}} || 28,013,599 || 280,511,814 || 8위 || {{{#blue,#0000ff ▼3}}} || 4위 || {{{#blue,#0000ff ▼1}}} || || '''9주차''' || 7위 || {{{#blue,#0000ff ▼3}}} || 7위 || {{{#blue,#0000ff ▼3}}} || 23,841,539 || 304,353,353 || 35위 || {{{#blue,#0000ff ▼27}}} || 5위 || {{{#blue,#0000ff ▼1}}} || || '''10주차''' || 7위 || ― || 7위 || ― || 18,498,851 || 322,852,204 || 25위 || {{{#red,#ff0000 ▲10}}} || 6위 || {{{#blue,#0000ff ▼1}}} || || '''11주차''' || 9위 || {{{#blue,#0000ff ▼2}}} || 7위 || ― || 17,405,318 || 340,257,522 || 17위 || {{{#red,#ff0000 ▲8}}} || 6위 || ― || || '''12주차''' || 12위 || {{{#blue,#0000ff ▼3}}} || 13위 || {{{#blue,#0000ff ▼6}}} || 15,714,650 || 355,972,172 || 28위 || {{{#blue,#0000ff ▼11}}} || 10위 || {{{#blue,#0000ff ▼4}}} || || '''13주차''' || 13위 || {{{#blue,#0000ff ▼1}}} || 13위 || ― || 14,770,252 || 370,742,424 || 29위 || {{{#blue,#0000ff ▼1}}} || 13위 || {{{#blue,#0000ff ▼3}}} || || '''14주차''' || 15위 || {{{#blue,#0000ff ▼2}}} || 15위 || {{{#blue,#0000ff ▼2}}} || 14,261,091 || 385,003,515 || 27위 || {{{#red,#ff0000 ▲2}}} || 14위 || {{{#blue,#0000ff ▼1}}} || || '''15주차''' || 17위 || {{{#blue,#0000ff ▼2}}} || 15위 || ― || 14,031,378 || 399,034,893 || 34위 || {{{#blue,#0000ff ▼7}}} || 14위 || ― || || '''16주차''' || 17위 || ― || 18위 || {{{#blue,#0000ff ▼3}}} || 13,526,192 || 412,561,085 || 26위 || {{{#red,#ff0000 ▲8}}} || 15위 || {{{#blue,#0000ff ▼1}}} || || '''17주차''' || 19위 || {{{#blue,#0000ff ▼2}}} || 16위 || {{{#red,#ff0000 ▲2}}} || 13,134,428 || 425,695,513 || 28위 || {{{#blue,#0000ff ▼2}}} || 16위 || {{{#blue,#0000ff ▼1}}} || ||<-11> {{{#fcaad0 ''' 월간 음원 성적'''}}} || ||<|3> '''기간''' ||<-2><|2> '''멜론 월간[br]TOP 100''' ||<-8> '''가온 월간 차트''' || ||<-4> '''디지털 종합''' [* 스트리밍, 다운로드, BGM 판매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집계 후 가온지수를 발표한다.] ||<-2> '''다운로드''' ||<-2> '''스트리밍''' || || '''순위''' || '''변동''' || '''순위''' || '''변동''' || '''가온지수''' || '''누적[br]가온지수''' || '''순위''' || '''변동''' || '''순위''' || '''변동''' || || '''2019년 12월''' || 42위 || {{{#green,#7fff7f NEW}}} || 31위 || {{{#green,#7fff7f NEW}}} || 62,691,579 || 62,691,579 || 8위 || {{{#green,#7fff7f NEW}}} || 38위 || {{{#green,#7fff7f NEW}}} || || '''2020년 01월''' || '''3위''' || {{{#red,#ff0000 ▲39}}} || '''3위''' || {{{#red,#ff0000 ▲28}}} || '''155,924,111''' || 218,615,690 || '''3위''' || {{{#red,#ff0000 ▲5}}} || '''3위''' || {{{#red,#ff0000 ▲35}}} || || '''2020년 02월''' || '''3위''' || ― || '''3위''' || ― || 104,236,514 || 322,852,204 || 13위 || {{{#blue,#0000ff ▼10}}} || '''3위''' || ― || || '''2020년 03월''' || 12위 || {{{#blue,#0000ff ▼9}}} || 12위 || {{{#blue,#0000ff ▼9}}} || 68,170,737 || 391,022,941 || 23위 || {{{#blue,#0000ff ▼10}}} || 12위 || {{{#blue,#0000ff ▼9}}} || || '''2020년 04월''' || 18위 || {{{#blue,#0000ff ▼6}}} || 16위 || {{{#blue,#0000ff ▼4}}} || 56,978,911 || 448,001,852 || 33위 || {{{#blue,#0000ff ▼10}}} || 16위 || {{{#blue,#0000ff ▼4}}} || || '''2020년 05월''' || 29위 || {{{#blue,#0000ff ▼11}}} || 30위 || {{{#blue,#0000ff ▼14}}} || 53,309,068 || 501,310,920 || 34위 || {{{#blue,#0000ff ▼1}}} || 29위 || {{{#blue,#0000ff ▼13}}} || || '''2020년 06월''' || 36위 || {{{#blue,#0000ff ▼7}}} || 34위 || {{{#blue,#0000ff ▼4}}} || 46,772,501 || 548,083,421 || 35위 || {{{#blue,#0000ff ▼1}}} || 32위 || {{{#blue,#0000ff ▼3}}} || || '''2020년 07월''' || 41위 || {{{#blue,#0000ff ▼5}}} || 35위 || {{{#blue,#0000ff ▼1}}} || 47,550,090 || 595,633,511 || 36위 || {{{#blue,#0000ff ▼1}}} || 34위 || {{{#blue,#0000ff ▼2}}} || || '''2020년 08월''' || 48위 || {{{#blue,#0000ff ▼7}}} || 43위 || {{{#blue,#0000ff ▼8}}} || 43,505,304 || 639,138,815 || 47위 || {{{#blue,#0000ff ▼11}}} || 43위 || {{{#blue,#0000ff ▼9}}} || || '''2020년 09월''' || 54위 || {{{#blue,#0000ff ▼6}}} || 49위 || {{{#blue,#0000ff ▼6}}} || 36,672,115 || 675,810,930 || 47위 || ㅡ || 51위 || {{{#blue,#0000ff ▼8}}} || || '''2020년 10월''' || 61위 || {{{#blue,#0000ff ▼7}}} || 56위 || {{{#blue,#0000ff ▼7}}} || 34,652,834 || 710,463,764 || 59위 || {{{#blue,#0000ff ▼12}}} || 58위 || {{{#blue,#0000ff ▼7}}} || || '''2020년 11월''' || 84위 || {{{#blue,#0000ff ▼23}}} || 77위 || {{{#blue,#0000ff ▼21}}} || 28,166,027 || 738,629,791 || 86위 || {{{#blue,#0000ff ▼27}}} || 79위 || {{{#blue,#0000ff ▼21}}} || || '''2020년 12월''' || OUT || ㅡ || 107위 || {{{#blue,#0000ff ▼30}}} || 17,972,145 || 756,601,936 || 67위 || {{{#red,#ff0000 ▲19}}} || 118위 || {{{#blue,#0000ff ▼39}}} || || '''2021년 01월''' || || || 125위 || {{{#blue,#0000ff ▼18}}} || 11,559,206 || 768,161,142 || OUT || ㅡ || 119위 || {{{#blue,#0000ff ▼1}}} || || '''2021년 02월''' || || || 136위 || {{{#blue,#0000ff ▼11}}} || 9,725,424 || 777,886,566 || || || 123위 || {{{#blue,#0000ff ▼4}}} || * '''2020년 가온 연간차트 9위, 멜론 연간차트 10위''' *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2019년 12월) 부문''' 수상 * 2019년 발매 걸그룹 곡 중 유일한 '''모든 음원 차트 올킬(AK)''',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일간 1위 곡 * [[TWICE]]의 [[FANCY YOU|FANCY]] 이후 8개월 만의 걸그룹 실시간 1위 곡 * [[Power Up]] 이후 16개월 만의 걸그룹 지붕킥 달성 곡 멜론 차트에서 19시 5위로 진입, 20시와 21시에 각각 3위와 2위로 상승한 후 2위에서 머무르며 [[창모]]의 와 접전을 벌이다 자정에 드디어 실시간 차트 1위를 달성했다. [[Summer Magic|Power Up]] 이후로 내놓은 앨범들이 멜론에서 크게 부진을 겪었지만 이번엔 극적으로 아주 오랜만에 '''걸그룹 멜론 지붕킥'''을 달성했다. 이로써 Power Up 이후 첫 번째 걸그룹 지붕킥이 되었다. 즉, 이는 2019년 걸그룹 발매 곡 중에서 '''최초'''이니 굉장히 의미있는 셈. 전작들의 흥행 실패에도 불구하고 좋은 퀄리티의 타이틀 곡으로 차트 PK에 성공하며 레드벨벳의 입지를 다시금 확인하게 해주었다. 또한 자정에 멜론 차트에서도 실시간 1위를 달성함으로써 '''모든 음원 차트 1위 올킬'''을 달성하였다. '''2019년 걸그룹으로서는 최초''', 남녀 그룹 통틀어서 두 번째 기록이다. 더불어 아이튠즈 앨범 차트 1위도 달성했는데, 이는 레드벨벳의 세 번째 1위 기록이며 한국 걸그룹 최초 및 최다 기록이다. 멜론 기준 24시간 이용자 수는 '''733,196'''명이며 최고 이용자 수는 발매 27시간째에 달성한 768,399명이다. 지니에서는 2019년 발매 아이돌 음악 중 방탄소년단의 작은 것들을 위한 시를 제치고 최장기간 TOP 5를 기록했다. 발매 다음 날인 24일 저녁부터 캐롤들과 크리스마스 송들이 차트에 올라오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캐롤 및 크리스마스 송들의 스트리밍 지수가 작년에 비해 적어졌고, 여전히 스트리밍 화력이 죽지 않아서 굳건히 1위를 지켰다. 심지어 12시 실시간 예측에서는 창모의 와 [[머라이어 캐리]]의 가 2•3위를 놓고 피 튀기는 전쟁을 벌이는 와중 레드벨벳의 그래프는 흔들림 없이 높이 솟아있었다. 12월 25일, 멜론 차트에서 '''일간 1위'''를 달성했다! 이는 2019년 걸그룹 최초 일간 1위 기록이다.[* 발라드 강세의 차트+음원 사재기가 많아서 걸그룹이 빛을 보기 힘들었던 2019년 끝자락의 기록이여서 더욱 더 의미가 깊다.] 하지만 [[FLO]]에서 Psycho가 [[아리아나 그란데]]의 에게 1위를 내주었지만 25일 오후 3시 FLO에서 다시 1위로 올라서며 PK를 달성했다!! 이후 계속 PK를 유지 중이다. 12월 26일과 27일에도 멜론 일간 1위를 달성하였다. 12월 27일, 멜론은 20시에 창모에게 1위를 내주었다. 나머지 음원사이트는 모두 1위를 유지하고 있다. 1월 7일 기준 멜론에서는 실시간과 일간 모두 2위로 상대가 역대급 추이를 보이는 창모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선방하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에서 발매 2주 만에 스트리밍 2,000만 건을 달성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발매 20일 차에 접어든 1월 11일 기준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2,500만 건을 돌파했다. 또한 [[지니뮤직]]에서 스트리밍 1,000만 건을 가장 단기간에 돌파한 걸그룹 노래가 되었다. 음원 성적이 꽤나 탄탄한 덕분에 현재 거의 모든 음방에 불참 중인 상황에서도 쉽게 음방 1위를 휩쓰는 중이다. 이대로 10위권 내에서 롱런한다면 10관왕 이상도 노려볼 수 있을 듯. 발매 4주 차에 접어들면서 [[백예린]], [[지코]], [[태연]] 등 음원 강자들의 신곡이 쏟아지면서 잠시 주춤했으나, 이후 다시 실시간과 일간 차트 모두 3위로 복귀하면서 롱런의 조짐을 보이다. 발매 24일 차인 1월 15일에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3,000만 건을 돌파하였다. [[짐살라빔]]이 발매 7개월 가까이 되는 시점에서 3,000만 스트리밍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전작들보다 상당히 흥행하고 있다. 또한 이번 앨범의 발매로 K-pop 아이돌 중 [[방탄소년단]], [[BLACKPINK]]에 이어 세 번째로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가 500만 명 이상을 돌파한 그룹이 되었다. 17일 [[방탄소년단]]의 디지털 싱글 발매로 수록곡들이 올라와 실시간 차트 순위가 10위까지 하락하였다. 일간 순위도 4위로 내려갔으나, 이후 다시 3위로 복귀하였다. 다만 실시간 차트는 아직 5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후 새벽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최상위권~상위권에 머무르는 중. 발매 29일 차인 1월 20일 기준 지니뮤직에서는 스트리밍 1,600만 건을 상회하고 있다. 발매된 지 한 달을 넘긴 1월 21일, [[폴킴]]과 [[청하]]의 듀엣곡이 발매되면서 차트 순위에서 밀려났으나 다음 날에 다시 실시간 차트 복귀에 성공하였다. 2020년 3주 차까지의 성적으로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2019년 12월) 부문'''의 수상을 확정 지었다. 레드벨벳에는 [[Summer Magic|Power Up]]에 이어 두 번째 수상이다. 발매한 지 한 달이 넘은 1월 25일 현재 멜론, 지니뮤직, 플로에서 실시간 차트 3위를 기록하는 중이다. 발매 35일 차인 1월 26일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4,000만 건을 돌파하였다. 2020년 1월 멜론과 지니뮤직 월간 차트에서 3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지니뮤직에서 스트리밍 2,200만 건을 넘어섰다. 3대 음원사이트인 멜론과 지니뮤직, 플로의 점유율 차를 고려했을 때 누적 스트리밍은 5,000만 건을 훌쩍 넘어섰을 것으로 보인다. 발매 44일 차인 2월 4일 기준 지니뮤직의 실시간 차트 5위권 이내에 랭크된 시간이 누적 1,000시간을 돌파했다. 이는 레드벨벳 그룹 자체의 커리어하이이기도 하고, 2019년에 발매된 걸그룹 곡 중 가장 높은 기록이기도 하다. 앞서 방탄소년단의 컴백으로 수록곡들이 올라왔던 것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선방한 성과. 발매 46일 차인 2월 6일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5,000만 건'''을 돌파하였다. 발매 150일 차인 5월22일 스포티파이에서 [[Bad Boy(Red Velvet)|Bad Boy]]에 이어 두번째로 스트리밍 '''1억건'''을 달성하였다. Bad Boy가 스트리밍 1억건 달성에 671일이 걸린데 비해 Psycho는 무려 521일을 앞당겨 발매 150일만에 달성하였다. 발매된 지 8개월이 다 되가는 시점에서도 멜론 일간 차트와 주간차트에서 40위대 중후반에 계속 머물고 있다. 그동안 레드벨벳이 발매한 노래 중에서도 정말 역대급 롱런을 기록하고 있다. 이 추세대로라면 2020년 멜론 연간 차트 9~10위가 예상되고 있어, 레드벨벳의 연간 차트 자체 커리어 하이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기존 커리어 하이는 [[빨간 맛]] , 21위이다.] 다양한 가수들의 곡이 쏟아지며 50위 대 중반까지 순위가 하락했지만, 다시 가을이 찾아오며 순위와 이용자 수를 점차 회복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노래 분위기가 가을, 겨울에 어울리고 그러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가온 연간차트 9위, 멜론 연간차트 10위를 차지했다.''' 그간의 레드벨벳 음원들은 애매한 컴백시기 및 부족한 뒷심으로 성공과는 별개로 연간차트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멜론 기준 무려 445일동안 차트인한 빨간맛 역시 멜론 2010년대 차트 29위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연간차트에서의 순위는 24위(2017년), 57위(2018년) 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Psycho는 적절한 컴백시기 및 꾸준한 화력으로 3세대 1군 걸그룹들 중에서 유일하게 연간 최상위권에 들지 못했던 레드벨벳한테 첫 연간 탑텐을 안겨주었다. ==== 스포티파이 ==== ||<-12>
'''[[https://kworb.net/spotify/track/3CYH422oy1cZNoo0GTG1TK.html|'Psycho' 스포티파이 국가별 순위]]''' || || '''대륙''' || '''국가''' || '''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5주차''' || '''6주차''' || '''7주차''' || '''8주차''' || '''9주차''' || '''10주차''' || ||<|9> '''아시아''' || '''일본(JP)''' || {{{#red '''미진입'''}}} || '''131위''' || '''195위''' ||<-7> {{{#red '''OUT'''}}} || || '''홍콩(HK)''' || '''16위''' || '''1위''' || '''5위''' || '''11위''' || '''14위''' || '''15위''' || '''17위''' || '''18위''' || '''23위''' || '''42위''' || || '''대만(TW)''' || '''47위''' || '''3위''' || '''10위''' || '''18위''' || '''25위''' || '''36위''' || '''36위''' || '''41위''' || '''52위''' || '''73위''' || || '''태국(TH)'''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2위''' || '''3위''' || '''5위''' || '''9위''' || '''14위''' || || '''인도네시아(ID)''' || '''11위''' || '''2위''' || '''3위''' || '''5위''' || '''6위''' || '''6위''' || '''8위''' || '''10위''' || '''13위''' || '''15위''' || || '''필리핀(PH)''' || '''48위''' || '''12위''' || '''14위''' || '''15위''' || '''24위''' || '''34위''' || '''44위''' || '''49위''' || '''48위''' || '''72위''' || || '''베트남(VN)''' || '''1위''' || '''1위''' || '''1위''' || '''3위''' || '''4위''' || '''5위''' || '''5위''' || '''7위''' || '''8위''' || '''26위''' || || '''말레이시아(MY)''' || '''12위''' || '''3위''' || '''5위''' || '''5위''' || '''7위''' || '''9위''' || '''13위''' || '''15위''' || '''17위''' || '''30위''' || || '''싱가포르(SG)''' || '''11위''' || '''2위''' || '''3위''' || '''5위''' || '''6위''' || '''7위''' || '''7위''' || '''13위''' || '''16위''' || '''21위''' || || '''북미''' || '''캐나다(CA)''' || {{{#red '''미진입'''}}} || '''156위''' ||<-8> {{{#red '''OUT'''}}} || || '''유럽''' || '''불가리아(BG)''' || {{{#red '''미진입'''}}} || '''188위''' ||<-8> {{{#red '''OUT'''}}} || * 2023년 6월 28일 4억 스트리밍을 달성했다. 이로써 단일곡으로 4억 스트리밍에 돌파한 SM 최초의 아티스트가 되었다. ||<-4> {{{#fcaad0 '''〈'The ReVe Festival' Finale〉 現 써클차트[* 2022년 7월 7일부터 가온차트에서 써클차트로 개편.] 음반 판매량'''}}} || ||<-2> '''기간''' ||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2> '''2019년''' || 12월 || '''104,729''' || 104,729 || || '''연간''' ||<-2> '''104,729''' || ||<-4> || ||<|4> '''2020년''' || 1월 || '''29,991''' || 134,720 || || 2월 || 7,941 || 142,661 || || 3월 || 2,194 || 144,855 || || '''연간''' ||<-2> '''40,126''' || ||<-4> || ||<|5> '''2021년''' || 1월 || 4,700 || 149,555 || || 2월 || '''24,968''' || 174,523 || || 3-6월 || 6,318 || 180,841 || || 7월 || 13,449 || 194,290 || || '''연간''' ||<-2> '''49,435''' || ||<-4> || ||<|5> '''2022년''' || 1-5월 || 74,696[* 2022년 5월 판매량은 74,697장이지만 2022년 1-5월 누적 판매량은 1장 적은 74,696장이므로 누적 판매량으로 표기.] || 268,986 || || 6-8월 || 290 || 269,276 || || 9월 || '''129,698''' || 398,974 || || 10-12월 || 281 || 399,255 || || '''연간''' ||<-2> '''204,965''' || ||<-4> || ||<-2> '''총 판매량''' ||<-2> {{{#red,#ff0000 '''399,255장'''}}} || ||<-4> '''{{{#fcaad0 〈'The ReVe Festival' Finale> 일본 오리콘 주간 앨범차트 판매량}}}''' || || '''기간''' || '''순위''' || '''판매량''' || '''누적 판매량''' || || '''1주차''' ^^(2019.12.23~12.29)^^ || '''24위''' || '''3,718''' || 3,718 || || '''2주차''' ^^(19.12.30~20.01.05)^^ || 51위 || 1,204 || 4,922 || || '''3주차''' ^^(2020.01.06~01.12)^^ || 위 || 332 || 5,254 || || '''4주차''' ^^(2020.01.13~01.19)^^ || 위 || 367 || 5,621 || || '''5주차''' ^^(2020.01.20~01.26)^^ || 위 || 482 || 6,103 || || '''6주차''' ^^(2020.01.27~02.02)^^ || 위 || 296 || 6,399 || || '''7주차''' ^^(2020.02.03~02.09)^^ || 위 || 378 || 6,777 || || '''8주차''' ^^(2020.02.10~02.16)^^ || 위 || 245 || 7,022 || || '''9주차''' ^^(2020.02.17~02.23)^^ || 위 || 181 || 7,203 || || '''10주차''' ^^(2020.02.24~03.01)^^ || 위 || 239 || 7,442 || || '''12주차''' ^^(2020.03.09~03.15)^^ || 위 || 157 || 7,599 || == 여담 == * 빨간 맛과 Power Up이 여름에 역주행을 하듯 이 노래는 겨울만 되면 순위가 상승한다. * 가사를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Psycho'같은 두 사람의 사랑을 담았으나 '눈물이 난다', '울컥한다'라는 감상평을 남기는 리스너들도 꽤 많다. 팬들은 아마 마지막에 몰아치는 곡의 구성과 'Hey now we’ll be ok (we'll be ok)'라는 가사때문이 아닐까 추측하는 편이다. * 가사의 내용때문에 창작물이나 대중매체 속 애증관계의 커플들을 보면 'Psycho 가사 같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실제 커플이긴 하지만 [[환승연애2]] 출연진 커플인 [[남희두]], [[이나연(방송인)|이나연]] 커플이 프로그램 속 보여준 관계성이 이 곡의 가사와 닮았다고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음원 발매 수일 전, 유튜브에 영어 가사로 불린 [[https://youtu.be/3hqq_IdiYYA|Psycho 데모버전 영상]]이 유출됐었다. 지금의 음원에서 악기 몇개가 빠져있고, 키도 약간 낮은 버전이다. 유출 음원의 길이는 곡의 시작부터 두 번째 후렴 뒤의 브릿지 이전까지 잘린 부분이다. * 뮤직비디오에 깔리는 음원과 음원 사이트 등에 유통되는 Psycho 음원은 사운드에 차이가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사운드 질감이 좀 더 강하며 스트링 사운드도 추가되어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의도를 아직까지는 알 수 없으나,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836065|이수만 회장이 직접 의도적으로 달리 들리도록 편곡을 지시한 것이라고 한다.]] ~~부우웅~~ 뮤직비디오에서 좀 더 극적인 청각 효과를 줌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독특하고 센 사운드의 선호도가 높은 해외 팬들, 이지 리스닝의 선호도가 높은 국내 팬들 모두를 위한 조치로 보인다. * 제목을 비롯한 가사의 일부분과 랩의 일부 구절은 데모버전의 가사를 따왔다. (I don’t play the game, I'm original visual 등) 이는 외국곡에 우리말을 입혀 작사를 하는 작업 특성상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 이 곡은 발매 2일만에 [[SBS 가요대전 웬디 추락 사건]]으로 사실상 방송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도레미 마켓|놀라운 토요일]]의 93회 받아쓰기 문제로 출제되었다. 출제 파트는 [[슬기(Red Velvet)|슬기]]와 [[조이(Red Velvet)|조이]]의 '우린 아름답고 참 슬픈 사이야 서로를 빛나게 해 (Tell me now) 마치 달과 강처럼'이다. 출연진들 모두 여느때와 같이 잘 들리지 않는다며 탄식했지만 mc인 붐은 '(슬기가) 거의 아나운서처럼 불렀다'며 칭찬했고, 최종적으로 정답을 맞힌 출연진들이 가사와 함께 다시 들어보는 과정에서 정말 잘 들린다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덕분에 슬기의 딕션이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ReVe Festival' Finale, version=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