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Sabin Sound Star의 수록곡, rd1=Please Please Me(Sabin Sound Star))]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비틀즈의 동명의 곡, rd1=Please Please Me(노래))] [include(틀:비틀즈)] ||<-5><#000> '''{{{#fff 비틀즈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 ''밴드 결성 [* 1집이 나오기 전에 [[My Bonnie]]라는 앨범을 다른 예명으로 낸 적이 있긴 하다]'' || → ||<#745D43> {{{#fdf300 {{{-2 1963년 3월 22일}}}[br]{{{-2 1집}}} [[Please Please Me|{{{#fdf300 '''Please Please Me'''}}}]]}}} || → ||<#000000> {{{#ffffff {{{-2 1963년 11월 22일}}}[br]{{{-2 2집}}} [[With the Beatles|{{{#ffffff '''With the Beatles'''}}}]]}}} || ||<-5><#745D43> '''{{{#fdf300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오피셜 앨범 차트 1위 음반, 전번_앨범=Summer Holiday, 전번_아티스트=클리프 리차드, 이번_앨범=Please Please Me, 이번_아티스트=비틀즈, 1위_기간=30주 연속, 후번_앨범=With the Beatles, 후번_아티스트=비틀즈)]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 올타임 명반, 순위=47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9)][* 2020년 리스트에서는 순위에 들지 못했다. 이는 2012년 명반 리스트와 2020년 개정판을 대비했을 때 가장 순위가 크게 하락한 음반이다.]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64)]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33, 연도=1998, 순위2=622, 연도2=2000)] ---- [include(틀: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순위=312)]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0대 최고의 데뷔 앨범)]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음악사를 바꾼 데뷔 명반, 선정자=Mark Blake)] }}} || ||<-2><#745D43> '''{{{#fdf300 {{{+1 Please Please 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riginal_599n.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스테레오반 커버 ▼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PleasePleaseMe_1.jpg|width=96%]][br][* 1987년 발매된 모노 CD는 stereo/mono 자리에 아무것도 적혀있지 않다. [[2009년]] 발매된 [[The Beatles in Mono]] 박스 세트에 수록된 CD의 경우는 LP 미니어처 형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LP와 동일하게 'mono' 라고 적혀있다.]}}}}}}}}} || || '''발매일'''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 [[1963년]] [[3월 22일]] (모노)[br][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 [[1963년]] [[4월 26일]] (스테레오)|| || '''녹음''' ||[[1962년]] [[9월 11일]] - [[1963년]] [[2월 20일]] || || '''장르''' ||[[로큰롤]], [[팝 록]], [[R&B]][* 브리티쉬 R&B로도 불린다.] || || '''재생 시간''' ||32:15 || || '''곡 수''' ||14곡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 || '''사용 악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45D43; font-size: .9em" [[존 레논|{{{#fdf300 '''존 레논'''}}}]]}}} 리드 보컬, 백그라운드 보컬, 리듬 기타, 어쿠스틱 기타, 하모니카, 박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45D43; font-size: .9em" [[폴 매카트니|{{{#fdf300 '''폴 매카트니'''}}}]]}}} 리드 보컬, 백그라운드 보컬, 베이스 기타, 박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45D43; font-size: .9em" [[조지 해리슨|{{{#fdf300 '''조지 해리슨'''}}}]]}}} 리드 보컬, 백그라운드 보컬, 리드 기타, 어쿠스틱 기타, 박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45D43; font-size: .9em" [[링고 스타|{{{#fdf300 '''링고 스타'''}}}]]}}} 리드 보컬, 드럼, 탬버린, 마라카스, 박수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3년 3월 22일 발매된 록밴드, [[비틀즈]]의 첫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자 기념비적인 데뷔 음반이다. == 상세 == 총 14곡 중 8곡은 자작곡이고 6곡은 커버곡이다. 레코딩은 '''불과 16시간동안 진행되었다.''' 인터넷이 발달하지 못했던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는 가장 빨리 녹음한 앨범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레코드사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절반을 리메이크곡으로 채웠다." 같은 잘못된 정보가 퍼지기도 하였지만 녹음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1960년대 초반, 비틀즈와 같은 신인 뮤지션들은 비싼 스튜디오 대여비를 아끼기 위하여 하루에 모든 앨범의 녹음을 끝마치는 것이 보통이었다. 또한 수록곡의 절반이 리메이크곡인 것도 레코드사가 비틀즈를 무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데뷔 앨범 수록곡의 절반을 자작곡으로 채우도록 승낙한 것이 이례적인 일이었다. --신의 한 수-- 프로듀서는 [[조지 마틴]], 엔지니어는 노먼 스미스이다. 비틀즈의 초대 엔지니어였던 노먼 스미스는 훗날 [[핑크 플로이드]]를 키우게 되는 인물로도 유명하다. 두번째 싱글인 "Please Please Me"의 붐을 타고 발매한 LP로 8개월 후에 25만장이 팔려나가 [[엘비스 프레슬리]]의 "Jailhouse Rock"의 23만장 기록을 갱신하고 영국 내에서 음반 최신 기록을 수립하였다. LP 차트에는 4월 6일 10위로 첫 랭크되었고, 5주째인 5월 4일부터 11월 30일까지 30주간 연속으로 1위를 유지. LP차트 100위안에 64주동안 랭크되어 있었다. "Please Please Me"의 전국적인 히트로 장래성을 인정받으며, 1963년 2월 8일 EMI 레코드사와의 단발계약에서 전속계약으로 변경되었으니 기념할만한 음반이다. 리바이벌 곡들이 상당히 많이 수록되어 있다. 미국인들은 이 음반을 '[[코러스]] (합창)'을 중심으로한 음반이라 평하였다. 이 앨범과 다음 앨범 [[With The Beatles]]는 2-Track tape 에 녹음되어있어서 리믹스를 하는 게 거의 불가능했다. [* 비슷한 사정으로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이전 [[롤링 스톤즈]] 초기작들이 있다.] 또한 스테레오 믹스가 매우 부자연스러운데, 악기는 왼쪽으로 쏠리고 보컬은 오른쪽으로 쏠려서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처음 듣는 사람은 굉장히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이는 당시 스테레오 스피커 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트랙을 양쪽으로 나눠서 믹스하는 유행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스테레오 녹음 중에서는 흔하게 볼수 있는 믹싱 방식이었으나, 1960년대 후반 모노가 사장되면서 사라진 유행이다. 그러다가 [[비틀즈: 겟 백]] 제작을 위해 상용화된 디-믹스(De-mix) 기술 덕분에 2~4트랙 스테레오 믹스나 1트랙 모노 믹스의 악기음을 분리한 리믹스 음원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1962-1966]] 2023년 확장판에 수록된 Please Please Me 앨범 음원들 역시 이 기술을 기반으로 리믹스 된 것으로, 향후 정규 카탈로그의 스테레오 리믹스 버전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CD화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 모노 버전은 1987년판과 2009년 발매된 The Beatles in Mono에 수록되어 있고 스테레오 버전은 2009년 스테레오 리마스터링 판을 통해 처음 발매되었다. 비틀즈의 초기 앨범들의 스테레오 믹싱을 조지 마틴이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Beatles for Sale까지 넉 장의 앨범은 1987년 발매시 모노로 발매되었다. == 수록곡 == [include(틀:Please Please Me)] == [[앨범 아트]] == [[Clayton Hickman]]이 복원한 앨범 커버용 사진[[https://twitter.com/claytonhickman/status/1312452942096592902|#]] {{{#!folding 【펼치기 · 접기】 [[파일:EjbE32fXcAQYI37.jpg]]}}} 앨범 자켓은 [[런던]] [[맨체스터]] 구에 위치한 비틀즈의 음반 녹음을 담당한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의 스튜디오 건물 계단에서 촬영하였다. 비틀즈 첫 광고용 사진이다. 도안한 인물은 앵거스 맥빈(Angus McBean)으로 6년 뒤 [[Let It Be|Get Back]] 앨범의 커버로 사용하려 했던 사진[* [[파일:GetBackBeatles.webp|width=50%]]]도 그가 같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같은 구도로 촬영하였다. 이 사진들은 이후 비틀즈의 컴필레이션 음반 [[1962-1966]], [[1967-1970]]에 사용된다. 여타 비틀즈의 다른 앨범들처럼 이 커버 역시 매우 상징적인 커버 중 하나로 꼽힌다. 후배 뮤지션인 [[섹스 피스톨즈]]와 [[블러(밴드)|블러]]도 [[오마주]] 격으로 같은 장소에서 같은 구도로 찍은 사진이 있다.[* 두 밴드 모두 비틀즈와 마찬가지로 EMI 소속 아티스트였다.] Please Please Me와 [[1962-1966]], [[1967-1970]] 세 장의 앨범 외에도 [[비틀즈/음반 목록/EP#s-1.3|the beatles (no.1)]]이라는 EP 앨범 커버 역시 저 셋과 같은 장소에서 같은 구도로 찍은 사진을 사용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The-Beatles-No-1.jpg]] 이로서 비틀즈는 같은 구도로 찍은 서로 다른 앨범 커버가 무려 4장이나 된다(....). || [[파일:attachment/beatles_red.jpg|width=100%]] || [[파일:attachment/beatles_blue.jpg|width=100%]] || || [[1962-1966]] [* Please Please Me와 똑같아보이지만 비교해보면 미세하게 다르다.] || [[1967-1970]] || 둘을 합성해놓은 사진도 있다.[[https://twitter.com/claytonhickman/status/1313904118046625798|#]] 그리고 해당 합성 이미지가 [[비틀즈: 겟 백]]의 공식 포스터로 사용됐다. {{{#!folding 【펼치기 · 접기】 || [[파일:6369 Beatles EMI staircase combo shot.jpg|width=100%]] || [[파일:lookingthemselves.jpg|width=100%]] ||}}} == 참여자 == * [[존 레논]] - 리듬 기타 * [[폴 매카트니]] - 베이스 기타 * [[조지 해리슨]] - 리드 기타 * [[링고 스타]] - 드럼 [[분류:Please Please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