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 토쿠마루 슈고의 곡, rd1=Parachute)] [include(틀:콜드플레이)] [include(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2000년~2019년))] ||<-2><#000000> '''{{{+1 Parachut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ldplay.jpg|width=100%]]}}} || || '''발매일''' ||[[2000년]] [[7월 10일]] || || '''녹음 기간''' ||[[1999년]] [[11월]] ~[[2000년]] [[5월]] || || '''장르''' ||[[포스트 브릿팝]], [[팝 록]] || || '''재생 시간''' ||41:29 || || '''프로듀서''' ||크리스 앨리슨, '''[[콜드플레이]]''', 켄 넬슨 || || '''레이블''' ||[[워너 뮤직 그룹#s-2.3.1|팔로폰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콜드플레이]]의 첫번째 정규 앨범. [[라디오헤드]]를 비롯한 [[트래비스]], [[제프 버클리]]등 영국 록 밴드 선배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 받는다. 침체된 영국 록 음악 장르의 대안이 되는 밴드로 떠오르며, 초기에는 기존의 록 음악 팬들이 콜드플레이 음악을 함께 듣기 시작하면서 콜드플레이가 유명해지기도 하였다. Parachutes 앨범은 발매 후 전세계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 되었다. 당시 [[콜드플레이]] 멤버들의 젊은 나이에 비해서 주목할만한 깊이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영국의 가디언지는 '그 해의 가장 놀라운 앨범'이라고 하며, "우아한 곡들, 클래식 기타와 멋진 노래가 어우러져 있다."고 평가했다.[* "Ashcroft and Coldplay nominated for Mercury Music Prize". The Guardian. 25 July 2000. Retrieved 15 September 2008.] 젊은 락 음악 밴드의 데뷔 앨범 치고는 굉장히 재능있고 훌륭한 완성도라고 평가받는 것이 중론이다. 데뷔 앨범 부터 엄청난 인기로 인해 [[콜드플레이]] 멤버들은 2집 앨범을 만들어가면서 부담을 느낄 정도였다. 느리고 서정적인 사운드가 주를 이루고, 기존의 영국 락 밴드들이 보여주었던 특유의 감성을 잘 담아냈다고 평가받는다. 2집이나 3집 앨범과 비교해보면 전자음 보다는 실제 악기들을 사용한 단조로운 멜로디가 특징이다. 서정적인 노래들 사이에 Yellow와 같은 밝은 분위기의 노래가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 곡은 우울한 분위기의 곡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밝은 느낌의 곡이라 다소 어색해 보이기도 하지만, 밝은 사운드로 인해 가장 사랑받은 곡이기도 하다. 또한 아직까지도 [[콜드플레이]]를 대표하는 곡이다. Yellow는 영화와 드라마를 비롯한 무수히 많은 대중매체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고, 수많은 가수들에 의해 불려지고 편곡되어져 왔다. 앨범은 [[콜드플레이]]의 음악적 성향이 많이 달라진 현재까지도 팬들이나 비평가 모두에게 여전히 명반으로 손 꼽힌다. 출시된 후 UK 앨범차트에서 1위, [[빌보드 200]]에서 51위에 오르게 되었으며, 'Yellow' 'Trouble' 'Shiver' 등의 곡들이 큰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http://www.rollingstone.com/music/lists/100-best-albums-of-the-2000s-20110718/coldplay-parachutes-20110718/|롤링 스톤지 선정 2000년대 명반 100선에서 73위]]를 기록하였다. 세계 최대의 리뷰 집계 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의 점수는 비평가 점수가 72, 유저 점수가 8.6으로 꽤 높은 편이다.[[http://www.metacritic.com/music/parachutes/coldplay | ]] 앨범 커버의 지구본은 일회용 [[코닥]]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다. 이 지구본은 1999년에 [[기타리스트]]인 [[조니 버클랜드]]가 [[셰필드]] WH Smith[* 유동 인구가 높은 지역에서 책, 신문, 잡지, 문구류, 오락 상품 등을 판매하는 영국의 소매 체인이다.]에서 10파운드(한화 약 15,000원)를 주고 산 것[* 참고로 조니 버클랜드는 [[UCL]]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전공했다.]인데, 이 작은 지구본은 밴드의 연습실에서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되었다. 앨범 준비 당시 앨범 커버 소재에 대해 딱히 아이디어가 없었기 때문에 그대로 연습실에 있던 지구본을 사용한 것. 이 지구본은 "Don't Panic"과 "Shiver"에 뮤직 비디오에서도 볼 수 있으며, 앨범 투어 내내 주로 피아노 같은 곳에 올려두며 똑같이 소품으로 활용되었다. 이 지구본은 2009년 연말에 밴드의 물건 처분 프로젝트에 따라 경매로 개인 구매자에게 판매되었다. 원래는 앨범 타이틀이 "Yellow"로 발매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앨범의 전체적인 분위기상 좀 더 편안한 느낌을 주는 단어가 앨범을 대표하기에 낫겠다는 생각 끝에 "Parachutes"로 변경되었다. == 평가 == ||||<-5> [[파일:Grammys.svg|width=20]] {{{+1 '''그래미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 || || 2001 || || 2002 || || 2003 || || ''[[Kid A]]'' [[라디오헤드|{{{-2 {{{#8086a0 Radiohead}}}}}}]] || {{{+1 →}}} || ''' ''Parachutes''[br]{{{-2 [[콜드플레이|{{{#8086a0 Coldplay}}}]]}}}''' || {{{+1 →}}} || ''[[A Rush of Blood to the Head]]'' [[콜드플레이|{{{-2 {{{#8086a0 Coldplay}}}}}}]]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272)]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4,순위=159,연도2=2015,순위2=107,연도3=2016,순위3=85,연도4=2017,순위4=209)]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4)] == 수록곡 목록 == * 1. [[Don't Panic]] (2:17) * 2. Shiver (4:59) 2000년 3월에 싱글로 발표되었으며, UK 싱글차트 35위에 오르는 영광을 안는다. [* 영국 차트는 40위 안에 들어야 라디오에서 에어플레이되기 때문에 싱글곡이 40위 안에 든 것은 상당한 성과다.] U2의 [[디 에지]]의 영향을 조금 받은 듯한 명랑한 기타가 일품인 곡으로, 현재까지도 불리는 몇 안되는 1집 수록곡 중 하나이다. * 3. Spies (5:18) * 4. Sparks (3:47) * 5. [[Yellow(콜드플레이)|Yellow]] (4:29) * 6. [[Trouble(콜드플레이)|Trouble]] (4:30) * 7. Parachutes (0:46) * 8. High Speed (4:14) 콜드플레이의 곡 중에서 멋진 기타 리프가 있는 노래라면 꼭 한번쯤 언급되는 곡으로 특히 라이브 버젼이 멋지다. * 9. We Never Change (4:09) * 10. Everything's Not Lost (Includes Hidden Track 'Life Is For Living') (7:15) 1집의 대표적인 떼창곡 중 하나이다. 원곡은 히든트랙을 제외하면 5분 정도의 노래이지만, 3분 18초 부터 시작되는 떼창 파트를 라이브에서는 쭉 이어가서 총 7~8분 정도 부른다. 노래가 끝나고 5분 39초 지점에서 [[히든 트랙]]인 "Life Is For Living"이 나온다. Life is For Living는 원곡과 라이브버젼이 다른데, 라이브의 경우 좀 더 사운드가 강렬하고 뒤에 추가 가사가 있다. 5집투어 때는 Everything's Not Lost와 Life Is For Living 모두 떼창곡으로 여겨진다. [[분류:콜드플레이/음반]][[분류:2000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포스트 브릿팝]][[분류:팝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