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항공병기)] [[파일:PAK-DA.jpg]] [[파일:PAKDA1.jpg]] [[러시아어]]: '''Перспектив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дальней авиации, ПАК ДА''' [[로마자]]: ''Perspektivnyi Aviatsionnyi Kompleks Dalney Aviatsy, PAK DA'' [[영어]]: Prospective aviation complex for long-range aviation [목차] == 개요 == [youtube(sZTxkcbHqnY)] PAK-DA는 2008년 러시아 공군이 차세대 폭격기의 개발 요청에 따라 러시아 투폴레프(Tupolev) 사가 개발 중인 차세대 스텔스 폭격기로 2025~2030년부터 배치될(첫 기체 인도는 2020년이라고 한다. 아마 시제기인 듯하다.)예정이라고 한다. 이름이 비슷한 [[PAK-FA]]와 일부 부품이 호환된다. 아직은 알려진 정보가 그리 많지 않다. 2021년 8월 2일, [[타스 통신]]에서 PAK-DA 프로토타입 모델은 2023년에 공개 할 것이라 밝혔다. [[https://tass.ru/armiya-i-opk/1203751|#]] == 공식 공개전 여러 유사설 == 최근 PAK-DA의 3D 이미지(문서 상단의 3D 이미지)가 공개되면서 밑의 내용들은 전부 쓸모없어졌다. 그래도 B-2 유사설의 이미지랑 모습이 살짝 비슷하기는 하다. === [[B-2]] 유사설 === [[파일:attachment/PAK-DA-2013.gif]] 가장 처음 등장한 것으로 현재 유일한 스텔스 폭격기인 [[B-2]]에 큰 영향을 받은 듯하다. 아무래도 누구나 고정관념이 생기기 마련이니 '스텔스기=전익기'의 영향인 듯하다. B-2와의 차이점을 굳이 뽑으라면 공기 흡입구가 아래를 향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면 피탐면적 늘어나는 거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데 이 주장에는 폭탄 투하가 아닌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쏘는 것으로 되어있다. 한때 여기에 필받은 미 공군이 B-2로 [[KEPD 350|타우러스]]를 투하했다는 도시전설도 간간히 있었는데 거짓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JASSM|솔직히 자기네들 미사일]] 두고 유럽제 쓴다는 것부터가 이상하다. 2019년 8월 현재 러시아 국방부 유튜브에 [[S-70 아호트니크]]이라고 이름붙인, 러시아형 단발 추진기를 제외하고는 F-117과 유사한 모습의 무인기가 공개되었다. B-2와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https://youtu.be/boUaHTI6JxE ] [[Su-57]] 항목에도 나와 있듯 Su-57을 보조해주는 정찰기라고 한다. === 스텔스형 [[Tu-22M]] 설 === [[파일:attachment/pakda18964.gif]] [[Tu-22M]]을 스텔스형으로 개수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러시아 국방부에서 [[Tu-160]]을 베이스로 한다고 주장하는 바람에 바로 묻혔다. 그런데 PAK-DA의 예상 도면을 보면 기수 형상 등에서 왠지 Tu-160과 Tu-22M을 섞은 것 같아 보인다. === 풍동시험모델 공개? ===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30811035344.jpg]] PAK-DA의 풍동시험 모델이 공개되었다며 널리 퍼진 사진인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사진은 포토샵으로 조작된 것이다. 원본은 아래. [[파일:attachment/pakda468.jpg]] 기수 형태가 일반적인 항공기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난 점, 스텔스 기체라면 사용할 리가 없는 익면 하부 터보팬 엔진을 끼고 있는 점 등을 보면 적어도 이 풍동시험 모델 자체가 절대로 PAK-DA의 기본틀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예측에 혼선을 주기 위한 것이든, 아니면 누군가가 '혹시 이런 모양이 아닐까?'하는 식으로 추측해서 만들었든 간에 위의 사진은 확실히 PAK-DA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폭격기]] [[분류:항공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