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graaerbhetrhnetnater7uode75uo.jpg]] '''Over There (저편에)''' [목차] == 개요 == [youtube(Mt2zPZAEAJ4)] [youtube(zK3-wrvobb8)] [[파일:gfarwegaregraegraegearhgb.jpg]] 작사 및 작곡을 담당한 조지 M. 코핸(George M. Cohan, 1878~1942). 당시 [[브로드웨이]]를 주름잡던 거물 극작가로 현재 [[타임 스퀘어]]에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만들어진 미국 군가.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이 결정된지 이틀 후에 만들어진 노래로, 코헨은 이 곡을 1시간 거리의 통근열차 속에서 이 노래를 만들어냈다. 이 노래는 자유를 위해 싸우러가는 [[양키]](Yanks)로써 입대할 것을 장려하는 국뽕 범벅 노래였다. 이 노래의 악보는 무려 200만장이 팔렸고 미국은 1차 대전 동안 기간동안 약 200만명을 유럽에 보냈다. 이 노래 이외에도 코핸은 미국의 사기 진작을 위한 여러 노래들을 제작했으며, 이후 코핸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의 사기 진작에 기여한 공로로 1936년 미국에서 가장 명예로운 훈장인 [[의회 명예 황금 훈장]]을 수여받았다. 20년 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불린 이 노래는 1차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미국영화라면 약방의 감초처럼 사용된다. 1차대전 중 미군의 상징이자 '''미군 개입의 노래''' 라 보면 된다. == 가사 == [youtube(B6hRDS3LvQQ, width=50%)] [youtube(XDH91DMfX4Y, width=50%)] || 절 || 가사 || 한국어 번역 || || 1절 ||Johnny, get your gun, get your gun, get your gun[br]Take it on the run, on the run, on the run[br]Hear them calling you and me[br]Every Son of Liberty[br]Hurry right away, no delay, go today[br]Make your Daddy glad to have had such a lad[br]Tell your sweetheart not to pine,[br]To be proud her boy's in line||조니[* '''조니'''는 [[미군]]들 (불특정 다수)를 지칭하는 단어다. 그 예가 '[[조니가 행군하며 집으로 돌아올 때]]'다.] 자네 [[스프링필드 M1903|총]]을 잡게, 총을 잡게, 총을 잡게[br]서둘러서 하게, 서둘러 서둘러[br]너와 나를 [[징집소집통지서|부르는 소리]]를 들어라[br]모든 자유의 아들들아[br]오늘안에 서둘러라, 지체없이[br]아버지들이 너희 같은 자식을 가진것을 자랑스럽게 해라[br]애인에게 그리워 하지 않는다 말해라[br]애인이 [[제1차 세계대전|전선]]에 있는걸 자랑스러워 하도록|| || 1절 후렴 ||Over there, Over there[br]Send the word, send the word over there[br]That the Yanks are coming, the Yanks are coming[br]The drum's rum-tumming everywhere[br]So prepare, say a prayer,[br]Send the word, send the word to beware[br]We'll be over, we're coming over[br]And we won't come back till it's over, over there||저편에, 저편에[br]저편에 알려라, 알려라[br]지금 [[양키]]가 간다고, [[양키]]가 간다고[br]도처에 북소리 울려퍼지네[br]준비하라, 그리고 기도하라[br]저편에 알려라, 각오하라고[br]우린 저편에 간다, 우리가 [[유럽|거기]]로 간다[br]우리가 저편에 간다, 그리고 끝날때까지 돌아오지 않으리라|| || 2절 ||Johnny, get your gun, get your gun, get your gun[br]Johnny, show the "Hun" you're a son-of-a-gun[br]Hoist the flag and let her fly[br]Yankee Doodle do or die[br]Pack your little kit, show your grit, do your bit[br]Yankee to the ranks from the towns and the tanks[br]Make your Mother proud of you[br]And the old red-white-and-blue||조니, 자네 총을 잡게, 총을 잡게, 총을 잡게[br]조니, [[독일 제국군|독일놈들]]에게 자네가 얼마나 나쁜놈인지 보여주게[br]깃발을 높이 올려 휘날리게 해라[br]양키 얼간이는 죽을때까지 싸운다고[br][[군장]]을 싸게, 자네가 성장했음을 [[참호]]에서 보여주게[br]마을부터 급수역까지 양키가 정렬해있네[br]어머니께서 너희를 자랑스럽게 하라[br]그리고 [[성조기]]에게도!|| || 2절 후렴 ||Over there, Over there[br]Send the word, send the word over there[br]That the Yanks are coming, the Yanks are coming[br]The drum's rum-tumming everywhere[br]So prepare, say a prayer,[br]Send the word, send the word to beware[br]We'll be over, we're coming over[br]And we won't come back, we'll be buried over there||저편에, 저편에[br]저편에 알려라, 알려라[br]지금 양키가 간다고, 양키가 간다고[br]도처에 북소리 울려퍼지네[br]준비하라, 그리고 기도하라[br]저편에 알려라, 각오하라고[br]우린 저편에 간다, 우리가 거기로 간다[br]우리가 저편에 간다, 그리고 거기서 안돌아 오고 묻힐 것이다.|| == 리메이크 == [youtube(7bAUBEuRDbI)] 갱스터 영화로 유명한 터프가이 배우 [[제임스 캐그니]]가 출현한 1942년 작 영화 [[양키 두들 댄디]]의 OST 버전.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만들어진 이 영화는 코헨의 일생을 주제로 다룬 영화였다. [youtube(Uu4S9RTETLI)] [[도널드 트럼프]]의 대선 연설 전에 USA 프리덤 키즈(USA Freedom Kids)라는 그룹이 리메이크 된 곡을 불렀다. [youtube(9KmJf653wVs)] 허트스마일(Hurtsmile)이라는 밴드가 경쾌한 락버전으로 리메이크했다. == 기타 == [[메탈리카]]의 노래 [[One(메탈리카)|One]]의 원작인 반전소설 "조니는 총을 잡았다(Johnny Got His Gun)"의 제목은 이 노래에게서 따온 것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rnHnsusSI0)]}}} || 게임 [[아이언 하베스트]]에서 미국 모티브 세력인 [[유소니아 연방국]] 등장 트레일러로 사용되었다. [youtube(JE7oDUXh1Jw)] [[리처드 애튼버러]] 주연의 오! 멋진전쟁에서도 미국의 등장씬에 등장. 세계패권이 영국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는 상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관련 문서 == * [[군가]] * [[군가/해외]] * [[미군]] * [[제1차 세계 대전]] [[분류:미국의 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