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더 폴리스]][[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1978년 음반]][[분류:뉴 웨이브]][[분류:팝 록]][[분류:레게 록]] [include(틀:더 폴리스)] ||<-2><#000> '''{{{#fff {{{+1 Outlandos d'Amou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ages.rapgenius.com/e0d428ad1372cca192209bfde4a6eba2.1000x1000x1.jpg|width=100%]]}}} || || '''발매일''' ||[[1978년]] [[11월 2일]] || || '''녹음일''' ||[[1978년]] [[1월]] - [[6월]] || || '''장르''' ||[[뉴웨이브(음악)|뉴 웨이브]], [[팝 록]], [[레게 록]] || || '''재생 시간''' ||38:14 || || '''곡 수''' ||10곡 || || '''프로듀서''' ||[[더 폴리스]] || || '''스튜디오''' ||서레이 사운드(레더헤드) || || '''레이블''' ||A&M 레코드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428)]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438, 연도=1998, 순위2=375, 연도2=2000)]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1)]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8년 발매된 [[더 폴리스]]의 1집. 'Outlandos d'Amour'[* Outlaws of Love를 대충 프랑스식으로 옮긴 것. 올바른 번역은 아니다]를 발매하며 메이저씬에 데뷔한 폴리스는 UK차트 6위, 프랑스 차트 2위라는 성과를 거둔다. 1978년 [[더 폴리스]]가 A&M레코드과 계약한 후 만든 앨범으로 코플랜드의 형인 마일스가 준 1,500파운드로 만들게 되었다. 앨범 발매 전 싱글로 나온 Roxanne와 Can't Stand Losing You의 성적이 저조했지만, 이후 발매된 싱글 So Lonely가 입소문이 나는 등의 호조와 미국에서 DJ들이 라디오에서 Roxanne를 틀기 시작하면서 점점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이에 힘입어 [[BBC]]1의 Top of Pops에 출연하고 이게 대중들의 관심을 끌어 Roxanne가 UK 싱글차트 12위에 자리한다. 이후 Can't Stand Losing You가 재발매 되었을 때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한다. 이후 1집은 1984년에 백만장 이상의 판매로 플래티넘 인증을 받는다. == 트랙 리스트 == ||<:><#000000>'''{{{#FF0033 사이드1}}}'''||<:><#000000>'''{{{#FF0033 곡 제목}}}'''||<:><#000000>'''{{{#FF0033 길이}}}'''|| ||<:>1||Next to You||<:>2:55|| ||<:>2||So Lonely||<:>4:55|| ||<:>3||Roxanne||<:>3:12|| ||<:>4||Hole in My Life||<:>4:55|| ||<:>5||Peanuts||<:>4:02|| ||<:><#000000>'''{{{#FF0033 사이드2}}}'''||<:><#000000>'''{{{#FF0033 곡 제목}}}'''||<:><#000000>'''{{{#FF0033 길이}}}'''|| ||<:>6||Can't Stand Losing You||<:>2:59|| ||<:>7||True Hits Everybody||<:>2:55|| ||<:>8||Born in the 50's||<:>3:45|| ||<:>9||Be My Girl, Sally||<:>3:24|| ||<:>10||Masoko Tanga||<:>5:42|| 작곡가 표기가 없는 곡은 [[스팅(가수)|스팅]] 단독으로 작곡한 곡이며 곡의 설명은 all music의 곡 설명을 참고하였다.[* https://www.allmusic.com/album/outlandos-damour-mw000065064] === Side 1 === ==== ''' Next to you''' ==== [[레게]]의 영향을 받은 1집에서 레게 느낌이 없는 곡. 멀리 떠난 그녀의 곁으로 간다는 내용이며, 스팅과 앤디 서머스,스튜어트 코플랜드의 조화가 드러나는 곡이다. ==== ''' So Lonely''' ==== [[레게]]와 뉴웨이브의 색깔이 묻어나는 곡으로 앨범 세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폴리스가 유명세를 타게 해준 곡 중 하나. 신나는 노래와 반대로 이별한 남자가 아무렇지도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너무 외롭다는 슬픈 내용이다. ==== '''[[Roxanne]]''' ==== [[Roxanne|문서 참고]] ==== '''Hole in My Life''' ==== 마음에 생긴 구멍이 자신을 괴롭힌다는 내용의 곡. 라이브에서 많이 연주 되었다. ==== '''Peanuts(스팅, 스튜어트 코플랜드)''' ==== 제목만 보면 땅콩과 관련된 내용 같지만, 로드 스튜어트를 까는 내용이다. 앤디와 스튜어트의 빠른 연주와 달리 가사 내용은 시궁창이다. === Side 2 === ==== '''[[Can't Stand Losing You]]''' ==== 앨범에서 두 번째로 발매된 싱글. Roxanne와 같이 폴리스를 대표하며, 노래를 들었을 때 [[레게]] 느낌이 물씬 드러난다. 가사 내용은 이별한 그녀를 떠나보낼 수 없다는 슬픈 내용이다. ==== ''' True Hits Everybody''' ==== 이 곡도 Next to You처럼 [[레게]]의 느낌이 잘 드러나지 않는 곡이며, 빠른 템포의 리듬을 가지고 있다. ==== '''Born in 50's''' ==== 50년대에 태어난 스팅이 당시의 시대상을 묘사한 내용의 곡. 펑크록의 영향을 받았다. ==== '''Be My Girl, Sally(스팅, 앤디 서머스)''' ==== 샐리라는 여자에게 고백하는 내용의 곡으로 기타리스트인 앤디가 작곡에 참여해서인지 기타 소리가 인상적인 곡이다. ==== '''Masoko Tanga''' ==== Masoko Tanga라는 이름에 걸맞게 가사 내용이 수수께끼와 같은 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