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분류:스케치업 익스텐션]] ||<-2> '''{{{+3 OpenStudio^^®^^}}}[br]오픈스튜디오''' || || '''개발''' ||2009년 ~ || || '''링크''' ||[[https://openstudio.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openstudiocoalition.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user/NRELOpenStud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https://twitter.com/NRELOpenStudio|[[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69068214544|[[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w-yVgOvcQaA)] OpenStudio는 [[Radiance]]를 기반으로 [[스케치업]]의 모형을 [[EnergyPlus]]로 분석할 수 있는 스케치업 익스텐션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Renewable_Energy_Laboratory|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0]]]](NREL)을 중심으로 [[https://en.wikipedia.org/wiki/Argonne_National_Laboratory|아곤국립연구소[[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0]]]](ANL), [[https://en.wikipedia.org/wiki/Lawrence_Berkeley_National_Laboratory|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 , [[https://en.wikipedia.org/wiki/Oak_Ridge_National_Laboratory|오크리지국립연구소[[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0]]]](ORNL), [[https://en.wikipedia.org/wiki/Pacific_Northwest_National_Laboratory|퍼시픽노스웨스트국립연구소[[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width=20]]]](PNNL) 등의 [[미국 에너지부]] 휘하 연구소들이 개발하였으며 상표는 [[https://www.allianceforsustainableenergy.org/|지속가능에너지연합]]이 소유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gpPoRO8-OJB-RpIp3DAmqw|Helix Energy Partners LLC]]에서 한국어 자막이 지원되는 사용법 영상을 올렸으니 참고하자. [[윈도우]], [[맥]],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맥북을 구매했다가 낭패를 보는 등의 상황이 없다. 또한 [[오픈소스]]라서 무료로 설치,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학부생 수준에서 바로바로 간단하게 써먹기엔 조금 복잡한 편이다. 그럴 때는 [[DAYSIM]]으로 스케치업 모형을 수출하는 [[su2ds]] 사용을 고려해보자. 결과 요약이 단순하고 분석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사용법 자체는 간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