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라시의 22번째 싱글, rd1=One Love(아라시), other2=몬스타엑스의 곡, rd2=One Love(몬스타엑스), other3=Nas의 곡, rd3=One Love (Illmatic))] [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cthemax1stalbum.jpg|width=60%&align=center]]}}} || ||<-6><#a4d74a> '''[[M.C The Max!|{{{#3a1011 M.C The Max! 2CD}}}]]''' || ||<:> {{{#3a1011 트랙}}} || {{{#3a1011 곡명}}} || {{{#3a1011 러닝타임}}} || {{{#3a1011 작사}}} || {{{#3a1011 작곡}}} || {{{#3a1011 편곡}}} |||| || 3 || '''One Love''' || 4:21 ||<-2> [[이수(가수)|이수]] || -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cTheMaxCurtainCall.png|width=60%&align=center]]}}} || ||<-6><#e5348f> '''[[Curtain Call|{{{#ffffff Curtain Call}}}]]'''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8 || '''One Love''' || 4:31 ||<-2> [[이수(가수)|이수]] || -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EREMONIA.jpg|width=60%&align=center]]}}} || ||<-6><#f9f3ec> '''[[CEREMONIA|{{{#964c38 CEREMONIA}}}]]''' || ||<:> {{{#964c38 트랙}}} || {{{#964c38 곡명}}} || {{{#964c38 러닝타임}}} || {{{#964c38 작사}}} || {{{#964c38 작곡}}} || {{{#964c38 편곡}}} || || 2 || '''One Love (20th Edition)''' || 3:55 ||<-2> [[이수(가수)|이수]] || 권영찬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EREMONIA_Complete.jpg|width=60%&align=center]]}}} || ||<-6><#f9f3ec> '''[[CEREMONIA|{{{#964c38 CEREMONIA 1CD}}}]]''' || ||<:> {{{#964c38 트랙}}} || {{{#964c38 곡명}}} || {{{#964c38 러닝타임}}} || {{{#964c38 작사}}} || {{{#964c38 작곡}}} || {{{#964c38 편곡}}} || || 10 || '''One Love (20th Edition)''' || 3:55 ||<-2> [[이수(가수)|이수]] || 권영찬 || ==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0Bc1lmn5fA,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hKLBvkp0VQ,width=100%,align=center)]}}} || || '''▲ [[M.C The Max!|1집]] 수록 음원''' || '''▲ Curtain Call 앨범(2007) 수록 음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3RlZyls9k,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nlO2oJpyXY,width=100%,align=center)]}}} || || '''▲ [[CEREMONIA]] 수록 음원''' || '''▲ 2006년 [[세종대학교]] 축제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D7wjM_h5b0,start=13,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5k93AigSmw,width=100%,align=center)]}}} || || '''▲ 2013년 3월 16일 콘서트 라이브''' || '''▲ 2016년 [[딩고 뮤직|딩고]] 회식라이브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rYqGsicQSc,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hLzbku4YzM,width=100%,align=center)]}}} || || '''▲ 2017년 6월 18일 소극장 콘서트 라이브''' || '''▲ 2023년 1월 14일 콘서트 라이브''' || == 가사 == ||
<:> {{{#3a1011 '''{{{+3 One Love}}}'''}}}|| ||<:> 이젠 내가 돌아서려 해 다신 그 사람과 네 앞에서 보이지 않게 이젠 너에겐 어떤 바램도 작은 기대조차 할 수 없는 나잖아 하지만 시간이 많이 지난 후에도 나의 숨결 나의 향기 네게 묻어 있다면 언제나 힘들던 이룰 수 없던 사랑 너에게도 너무 '''{{{#skyblue 큰}}} {{{#yellowgreen 아}}}{{{#gold 픔}}}{{{#orange 이}}}{{{#gold 었}}}{{{#skyblue 다면}}}{{{#yellowgreen ㅡ}}}''' 다시 '''{{{#skyblue 내}}}{{{#gold 게 돌}}}'''아와 너를 '''{{{#skyblue 떠}}}{{{#yellowgreen 나}}}{{{#skyblue 보}}}'''내'''{{{#skyblue 고 후}}}{{{#yellowgreen 회}}}{{{#gold 하}}}{{{#orange 고}}} {{{#gold 있}}}{{{#skyblue 는}}}''' '''{{{#skyblue 내}}}{{{#yellowgreen ㅡ게}}}''' 함께 '''{{{#skyblue 할}}} {{{#gold 수 없}}}{{{#orange 음}}}{{{#gold 이}}}{{{#yellowgreen ㅡ}}}{{{#green ㅡ}}}{{{#yellowgreen ㅡ}}}{{{#skyblue ㅡ}}}''' 나에'''{{{#skyblue 겐}}} {{{#yellowgreen 너}}}{{{#gold 무}}}{{{#yellowgreen ㅡ}}}{{{#green 도}}}{{{#yellowgreen ㅡ}}}{{{#skyblue ㅡ[br]커}}}{{{#yellowgreen 다}}}{{{#gold 란}}} {{{#orange 아}}}{{{#gold 픔}}}{{{#skyblue 인 걸}}} {{{#yellowgreen 아}}}{{{#skyblue ㅡ}}}{{{#yellowgreen 니}}}{{{#skyblue ㅡ}}}''' 언제나 힘들던 이룰 수 없던 사랑 너에게도 너무 '''{{{#skyblue 큰}}} {{{#yellowgreen 아}}}{{{#gold 픔}}}{{{#orange 이}}}{{{#gold 었}}}{{{#skyblue 다면}}}{{{#yellowgreen ㅡ}}}''' '''{{{#skyblue 돌}}}{{{#yellowgreen 아}}}{{{#skyblue 와}}} {{{#gold 줘 워}}}{{{#yellowgreen 어}}}{{{#green 워}}}{{{#yellowgreen 어}}}{{{#skyblue 어}}}''' '''{{{#skyblue 후회 없는 사랑하기}}}''' 위'''{{{#skyblue 해}}}''' '''{{{#yellowgreen 내가 택}}}'''한 '''{{{#gold 사람은 너뿐}}}{{{#yellowgreen 야}}}{{{#skyblue ㅡ}}}''' '''{{{#gold 언젠}}}{{{#orange 간}}}''' '''{{{#gold 내}}}{{{#yellowgreen 게}}}''' '''{{{#yellowgreen 돌}}}{{{#skyblue 아}}}{{{#yellowgreen 와}}}''' 줄 너'''{{{#skyblue 잖}}}{{{#gold 아}}}{{{#yellowgreen ㅡ}}}{{{#skyblue ㅡ}}}''' '''{{{#skyblue 힘든 시간 다 지}}}'''나'''{{{#skyblue 고}}} {{{#yellowgreen 오랜 간}}}'''절'''{{{#gold 함에 되찾}}}{{{#yellowgreen 은}}}{{{#skyblue ㅡ}}}''' 내 마지막'''{{{#skyblue ㅡ 사}}}{{{#gold 랑}}}{{{#skyblue 인}}}{{{#yellowgreen 걸}}}''' [* '''전조 : G → A♭'''] 다시 '''{{{#blue,#dodgerblue 내}}}{{{#orange 게 돌}}}{{{#skyblue 아와}}}''' 너'''{{{#skyblue 를}}} {{{#blue,#dodgerblue 떠}}}{{{#green 나}}}{{{#blue,#dodgerblue 보}}}{{{#skyblue 내}}}{{{#blue,#dodgerblue 고 후}}}{{{#green 회}}}{{{#orange 하}}}{{{#red 고}}} {{{#orange 있}}}{{{#blue,#dodgerblue 는 내}}}{{{#green ㅡ게}}}''' 함께 '''{{{#blue,#dodgerblue 할}}} {{{#orange 수}}} {{{#orange 없}}}{{{#red 음}}}{{{#orange 이}}}{{{#green ㅡ}}}{{{#gold ㅡ}}}{{{#green ㅡ}}}{{{#blue,#dodgerblue ㅡ}}}''' 나에'''{{{#blue,#dodgerblue 겐}}} {{{#green 너}}}{{{#orange 무}}}{{{#green ㅡ}}}{{{#gold 도}}}{{{#green ㅡ}}}{{{#blue,#dodgerblue ㅡ}}}''' '''{{{#blue,#dodgerblue 커}}}{{{#green 다}}}{{{#orange 란}}} {{{#red 아}}}{{{#orange 픔}}}{{{#skyblue 인 걸}}} {{{#green 아}}}{{{#blue,#dodgerblue ㅡ}}}{{{#green 니}}}{{{#blue,#dodgerblue ㅡ}}} {{{#green 워}}}{{{#orange 어워}}}{{{#green 어}}}{{{#blue,#dodgerblue 어}}}''' || ||2옥타브 솔(G4) 구간은 '''{{{#skyblue 하늘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gold 노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red 빨간색}}}''' || == 곡 분석 == * 조성 : 사장조(G) → 내림가장조(A♭) * 최고음 : '''3옥타브 도#(C#5)''' 이 노래 역시 엠씨더맥스 노래들의 높은 난이도를 대변하는 곡이라 할 수 있다. 무려 하이라이트 직전부터 2옥타브 시(B4), 3옥타브 도(C5)가 등장하며, 마지막 후렴구에서는 안 그래도 높은 음역대가 한 키 더 올라가서 '''3옥타브 도#(C#5)'''을 찍는다. 특히 후렴구의 <함께 할 수 없'''음'''이>가 '''최고음을 어려운 발음으로 올리는 부분'''이라 부르는 사람 입장에선 상당히 고역이다. 이전까지 3옥타브 도(C5)를 연타하다가 한 키를 더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 전에도 <후회하'''고''' 있는 내게>파트에서 똑같이 어려운 발음으로 '''3옥타브 도#(C#5)'''을 찍으며, 마지막에는 이 어려운 파트가 한 번 더[* 커다란 '''아'''픔인 걸 아니] 나온다. 게다가 이 최고음이 그냥 한 번 짦게 올리는 것도 아니라, '''2옥타브 솔(G4)~ 2옥타브 시(B4)'''의 2옥타브 후반대의 고음을 연속적으로 내다가 어려운 발음으로 확 도약하기 때문에 성대가 매우 지친 상태에서 고음을 올려야 한다. 이로 인해 이 최고음을 올리기도 전에 성대가 지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어찌어찌 올렸다 하더라도 음이탈이나 삑사리가 나기도 매우 쉽다. 혹독하게 노력해서 '''3옥타브 도(C5)'''를 올렸다고 하더라도 그 다음에 바로 체력과 호흡이 깎인 상태에서 '''3옥타브 도#(C#5)'''을 내기는 미친듯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한때 엠씨더맥스 노래 중에서도 상당한 헬곡으로 꼽혔지만 7집부터 헬곡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는 바람에[* 물론 그 이전에도 그나마 낮은 노래도 2옥타브 라는 찍을 만큼 엠씨더맥스 노래 중에 쉬운 곡이라곤 하나도 없었지만.] 예전처럼 1티어로 꼽히는 난이도에서는 한 단계 내려왔다. 물론 그렇다 해도 이 곡이 절대 쉬운 건 아니고, 여전히 모든 곡을 통틀어도 '''2티어'''에 해당하는 헬곡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중간에 간주가 많고[* 1절이 끝난 이후 약 8초, 2절 중간에 15초 정도 간주가 있다.], 마지막 파트가 끝난 이후 마지막 1분 동안은 '''간주만 나온다는 것이다.''' 여기서까지 다시 가사를 추가시키고 1키를 더 전조시킨 뒤 '''3옥타브 레(D5)~3옥타브 레#(D#5)''' 진성 초고음까지 추가됐다면 [[어김없이]], [[흩어지지 않게]], [[My Way(이수)|My Way]] 등 '''3대장''' 곡들까지 모두 뛰어넘거나, 뛰어넘지 않더라도 최소한 '''1티어'''에 해당하는 최악의 헬곡 중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3절에서 +2키 전조한 처음처럼, 2곡이 합쳐지고 2절도 1절처럼 초고음 이 추가된 뒤 간주마다 가사가 땜빵 좀 된 써큘러와 함께 0티어-- == 여담 == * 엄청난 난이도로 노래방 애창곡이 된 뒤 유명해진 노래. 후에 SBS 드라마 [[때려]]의 OST로도 사용되었다. 이수의 자작곡은 보통 자아성찰을 내용으로 담고는 하는데, 이 노래가 가창력과 난이도로 유명해지면서 이수 특유의 자아성찰 가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노래방에서 선곡 번호는 TJ에서 10594 (일반) 또는 62238 (원음 MR)이고, 금영에서는 62836이다. * 몇몇 금영 기계를 사용하는 노래방에선 원키에서 2키가 낮아진 반주가 나오니 유의.[* 최고음 '''3옥타브 도♯(C♯5) → 2옥타브 시(B4), 사장조(G) → 바장조(F)'''] 원키로 부르고 싶으면 노래방 키 올리는 버튼(♯) 두 번 누르고 시작하자. 모든 금영 기계가 2키가 낮아진 반주를 송출하는 건 아니며 원키인지 알고 싶으면 반주가 G키로 나오는지 F키로 나오는지 확인하면 된다.[* 원키는 G키] TJ는 원키 반주가 송출된다. * [[더 넛츠]]가 1집에서 이 곡을 [[https://youtu.be/cAptv0KTOg0|리메이크 했다]]. 한 키가 낮춰져 있지만 마지막 애드립에서 음이 쭉 올라가기 때문에 최고음은 '''3옥타브 레(D5)'''로 한 키가 더 높다. * 20주년 기념 앨범 [[CEREMONIA]]에 새로운 버전으로 재녹음되었다. 원래 버전은 소위 내지르는 록발라드 느낌이 강한 반면, 새로운 버전은 한층 부드러워진 일반 발라드 느낌이 강하다. 이것으로 보아 엠씨더맥스의 음악 스타일의 변화도 같이 알 수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김경호나 버즈 같은 강렬한 록발라드가 인기가 많았던 반면, 최근에는 좀 더 부드러운 일반 발라드가 선호도가 높다. 엠씨더맥스가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스타일을 부드러운 방향으로 바꾼 것이 20년 동안 인기를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 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 20주년 에디션에서 마지막 애드립을 뺀 이유는 완전히 똑같이 하면 안 되니까 뺐다고 했다. *2022-23 겨울나기 부산콘에서 02년도의 나는 무슨 생각으로 이런 노래를 만들었는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2022-23 겨울나기 대전콘에서 본인 노래들의 저작권 수입 중 Top5 안에 드는 곡 중 한곡이 이 곡이라고 밝혔다. --여러분들이 많이 불러제껴주신 덕분입니다-- *2022-23 겨울나기 인천콘에서 이 노래를 만들던 때 절 힘들게 하던 한 연상의 누님이 있었다며 그분을 생각하며 만들었다 했다. --그 후 이 자리에 집사람이 있다고 하며 린의 눈치를 살폈다.-- * 이 노래 역시 겨울나기 셋업에서 빠지지 않는 노래중 하나이다. == 라이브 기록 == ||<:>
<#a4d74a><-4> {{{#3a1011 '''곡 발매일 : 2002/10/31'''}}} || ||<:> {{{#3a1011 '''날짜'''}}} || {{{#3a1011 '''지역'''}}} || {{{#3a1011 '''행사명'''}}} || {{{#3a1011 '''비고'''}}} || || 06XXXX || 서울 || 세종대 축제 || [* 2006년도 이전 라이브 확인 불가] || || 090613 || 서울 || 2009 엠씨더맥스 잠시만안녕 콘서트 || || || 090614 || 서울 || 2009 엠씨더맥스 잠시만안녕 콘서트 || || || 130316 || 서울 || 2013 엠씨더맥스 Minimum & Maximum 콘서트 Day-3 || || || 130331 || 서울 || 2013 엠씨더맥스 Minimum & Maximum 콘서트 Day-12 || || || 1612XX || 서울 || 딩고 술집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d5k93AigSmw&t=72s|#]][* 영상 초반 2016 연말콘서트 회식이란 언급이 있고 업로드 날짜가 12/08인걸 감안하면 12/03 대구콘서트 직후 촬영한것으로 추정] || || 170603 || 서울 || 이수 Inhale 솔로앨범 콘서트 || || || 170618 || 서울 || 이수 홍대클럽투어 콘서트 || || || 171202 || 광주 || 2017 엠씨더맥스 연말 콘서트 <겨울나기> || || || 171216 || 대전 || 2017 엠씨더맥스 연말 콘서트 <겨울나기> || || || 171223 || 서울 || 2017 엠씨더맥스 연말 콘서트 <겨울나기> || || || 171224 || 서울 || 2017 엠씨더맥스 연말 콘서트 <겨울나기> || || || 171230 || 부산 || 2017 엠씨더맥스 연말 콘서트 <겨울나기> || || || 180106 || 대구 || 2017 엠씨더맥스 연말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10 || 광주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24 || 부산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30 || 서울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31 || 서울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114 || 대구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128 || 대전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204 || 인천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분류:M.C The Max/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02년 노래]][[분류:2020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