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
[[파일:키이우 열병식에서의 토치카 미사일.jpg|width=100%]]|| || '''ОТР-21 «Точка» (9К79)''' || [목차] == 개요 == 소련의 [[전술 탄도 미사일]]으로 [[1976년]]에 배치됐다. 명칭을 직역하면 '''작전용 전술 미사일 체계[* Operational-Tactical Missile Complex]'''으로 번역된다. == 제원 및 상세 == 1981년 실전배치된 길이 6.4m, 직경 0.65m 정도의 1단 고체추진로켓 전술탄도탄. 자중 2톤 내외. 사정거리는 A형 70km, B형 120km, C형 185km, [[원형 공산 오차|CEP]]는 약 150m에서 C형은 70m까지 축소했다. [[이동형 미사일 발사대|발사대 차량]]으로는 BAZ-5921을 사용하며, 이는 소련제 방공미사일 시스템 [[9K33 오사]]의 플랫폼인 BAZ-5937의 개량형이다. 전체적으로 [[MGM-52 랜스]] 전술 지대지 미사일과 비슷한 제원으로, 실제 역사에서도 70년대에 미국이 핵탑재형 랜스 미사일을 유럽에 배치하자 소련도 이에 맞서 핵탑재형 토치카 미사일을 동독에 배치했다. 탄두는 중량 482kg(1,063lb)의 고폭탄두나 파편탄두 외에 화학탄 또는 100kt급 핵탄두도 탑재 가능하다. == 파생형 == === 9K79-1 토치카-U === 나토 명칭 스캐럽 B, 사정거리 120km, CEP 95m === 스캐럽 C === 사정거리 185km, CEP 70m === 화성-1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성-11)] == 실전 == === 2차 체첸 전쟁 === === 시리아 내전 === === 남오세티야 전쟁 === 러시아군이 조지아군 시설을 토치카로 파괴한 전적이 있다. === 예멘 내전 === === 돈바스 전쟁 === 우크라이나 또한 이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어서 [[돈바스 전쟁]]에서 사용하기도 했다. ===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 ===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개전 직후부터 우크라이나의 반격 수단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러시아군도 개전 이후 초반에는 칼리브르 미사일과 [[이스칸다르 미사일]] 등의 현대화된 미사일을 쓰다가 해당 미사일들과 병행해서 이 미사일을 쓰기 시작했다. * 러시아군의 토치카 한 발이 우크라이나 보병의 [[FIM-92 스팅어|스팅어 지대공미사일]]에 의해 격추되었다고 우크라이나측에서 사진을 공개했다. 해당 사진은 토치카의 부스터 부분으로 진짜 격추성공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설령 자유낙하중인 부스터 부분이라 해도 속력이 매우 빨라 스팅어 지대공 미사일의 우수성을 보여주기엔 충분하다. * 3월 19일, 러시아군이 자신들이 [[베르댠스크]] 항구 및 인근에서 격추한 우크라이나군의 토치카 미사일의 잔해를 공개했다.[[https://twitter.com/aldin_ww/status/1505180891307511813|#1]], [[https://twitter.com/aldin_ww/status/1505182917793923074|#2]] [[파일:1648728320.jpg]] * 3월 24일에는 우크라이나군이 베르댠스크 항에 정박해있던 러시아군 상륙함 대열을 토치카로 정확히 명중시켜 큰 피해([[앨리게이터급 상륙함]] 1척 격침, [[로푸카급 상륙함]] 1척 중파, 1척 소파, 하역작업중이던 탄약, 유류고까지 유폭)를 입히는 성과를 올렸다고 주장했다. 토치카 미사일의 조악한 CEP를 고려하면 엄청난 성과. 정박 중인 고정 표적이었으므로 2010년대 후반부터 개념화된 [[대함 탄도 미사일]]과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토치카-U의 공산오차반경이 '''70m'''씩이나 되는데도 정확히 함선 중앙에 직격시켰다는 것부터가 우크라이나군 전략미사일부대의 숙련도가 굉장하다는 걸 알려주는 부분이다. 자세한 사항은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참조. 이후에도 우크라이나군이 토치카를 이용해 주요 목표에 정확하게 맞추는 모습을 여러 번 보여준다. * 4월 8일, [[러시아군]]의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에 동원되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공격에 사용된 토치카 미사일(2).jpg|width=100%]]}}} || ||<#030> {{{#fff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현장에서 발견된 또다른 토치카 미사일 잔해}}} || * 4월 14일, 우크라이나군은 바다에서 넵튠으로 슬라바급 순양함 모스크바를 격침시키는 동시에 지상에선 토치카로 헤르손 공항에 대한 15번째 공격을 감행, 러시아 해군 제22군단의 탄약고를 날려버렸다. * 10월 14일에는 벨고로드로 가는 철도를 토치카로 정확히 맞추기도 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987486&page=1|#]] == 후신 == [[파일:OKA-TOCKA-ISKANDER.gif]] 러시아 내에서는 이스칸다르 미사일로 대체되고 있다. 단 제일 오른쪽 이스칸다르-K는 [[순항 미사일]]로 본 미사일과는 관련성이 거의 없다. == 모형화 == [[http://www.hobbyboss.com/index.php?g=home&m=product&a=show&id=1422|#]] 중국 [[프라모델]] 메이커 하비보스에서 1:35 모형이 나와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토치카, version=135,paragraph=5)] [각주] [[분류:전술 탄도 미사일]][[분류:지상 병기/현대전]] [[분류:소련군/장비]] [[분류:러시아군/장비]] [[분류:우크라이나군/장비]]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동원된 러시아군 장비]] [각주] [[분류:전술 탄도 미사일]][[분류:지상 병기/현대전]] [[분류:소련군/장비]] [[분류:러시아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