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본래 쓰임새 == [[한국어]]의 관용구 중 하나로, 'A가 B에 무척 집착하고 열중한다'는 의미를 'A는 B밖에 모르는 바보'라는 식으로 사용했다. 노래 가사에서 '너밖에 모르는 바보'[* 리치의 '상처' 등 2004년에 발표된 곡에도 이러한 표현이 가사에 들어간 곡이 검색된다. (네이버 뮤직 기준)] 등으로도 여럿 쓰인 문구이며, 이덕무의 '간서치전(看書痴傳)'이라는 책의 한국어 번역명도 '책밖에 모르는 바보'이다.쓰임새는 대개 '바보, XX는 00(집착하는것)밖에 모르는 바보' == 유행어로서의 쓰임새 == 유행어로서의 최초의 용례에 대해서는 크게 2가지가 있다. * 첫 번째는 [[노무현]] 대통령을 '''"국민밖에 모르는 바보"'''라며 역설적인 존경을 표시한 [[캐치프레이즈]]로 추정된다. * 두 번째는 [[개그콘서트]] [[분장실의 강선생님]]의 [[강유미]]가 [[안영미]]에게 한 대사라는 설이다. 해당 표현은 많은 [[만화]]에서 더불어 인용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어떤 특정한 대상에 관심이 큰 것을 두고 약간은 농담조로 이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원래는 상대에 대한 연민과 안타까움이 섞여 있으나 개그로 쓰일 때는 그런 의미는 희석되는 편이다. * [[국내야구 갤러리]]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을 일컬어 [[OO밖에 모르는 바보|나라밖에 모르는 바보]]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넥센 히어로즈]]팬들을 중심으로, 이 팀의 [[김시진#s-4.1|제2대]] [[감독]]이었던 [[김시진]]을 [[http://job.dcinside.com/board/view/?id=sh&no=3205135|이렇게]][* '[[넥센 히어로즈|넥센]]밖에 모르는 바보', 줄여서 '[[감동님|넥모바]]'. 2013~2014년까지는 [[롯데 자이언츠]] 감독, 현재는 야인으로 지내시고 계신다, 더 자세한 설명은 [[김시진#s-4.1|항목]] 참조.] 호칭하기도 한다. * [[마음의소리]]에서 조석은 어릴 때 자신의 별명이 "산수밖에 모르는 바보"라고 했었다. '''고등학교 때까지'''. * [[이말년]]도 패러디했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36&weekday=|#]] [[분류:유행어]][[분류:X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