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Image Bit-Processing''' Added presence and brilliance, greater spatial definition 풀 네임은 '''Original Image Bit Processing'''으로 DG([[도이치 그라모폰]])에서 사용하는 음질향상 기술이다.[* 데카쪽은 디지털 레코딩 반 같은 경우 '''ORIGINAL DIGITAL RECORDING'''이라고만 적혀있다.] 일종의 [[리마스터|리마스터링]] 기술. 대표적으로 [[카라얀 골드]], [[디 오리지날]]에 적용되었다.[* OIBP의 매력때문에 기존 음반을 가지고 있는 유저+CD의 수명을 걱정하는 유저들 덕에 재발매되면 꼭 사간다고 한다.] OIBP이 처음에 적용된 것은 1993년 [[카라얀 골드]]였다. OIBP이 개발된 목적은 초기 디지털 녹음 및 CD 음질에 대한 불만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원래 OIBP은 디지털 녹음, 즉 DDD음반을 대상으로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었다. 때문에 카라얀 골드로 출시된 음반은 모두 80년대 이후에 디지털로 녹음된 음반들이다. [[카라얀 골드]] 시리즈가 어느 정도 좋은 성과를 거두자 1995년 후속으로 기획된 것이 [[디 오리지날]] 시리즈다. [[디 오리지날]] 시리즈는 [[카라얀 골드]] 시리즈와 달리 대부분이 아날로그 녹음 음반들이다. 때문에 카라얀 골드에 적용된 것과 기술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이것으로 볼 때 OIBP은 리마스터링에 국한하지 않고 음질향상에 공헌을 하는 기술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 기술을 처음 사용한 지가 20년이 조금 넘었는데 곧 [[MP3]]의 등장과 함께 클래식은 물론 음반계 전체에 불황기가 찾아왔기 때문에 그런지는 몰라도 요즘 나오는 음반들 중에는 이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오리지널 마스터즈라는 시리즈가 있는데 주로 40~50년대의 녹음을 모아놓은 전집류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이 시리즈가 2000년대에 나온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 기술을 사용해도 소용없는건 아닌 것 같고, 그 결과 이 시리즈는 재복각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까이기도 한다. DG에서만 사용하는 기술이라 굉장히 대단한 것처럼 느껴지지만 LP시절의 경우 [[데카]]의 녹음기술([[ffrr]], [[ffss]])이 대단하던 터라 음질의 차이가 컸는데 아무래도 아날로그 스테레오 시절 녹음의 음질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OIBP이 적용된 [[디 오리지날]] 시리즈가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동년대 녹음을 비교해보면 OIBP를 적용하더라도 이 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데카 반의 음질이 더 좋다. 물론 음질 자체는 데카가 더 우수하다는 평이 지배적이지만 녹음장소인 예수그리스도 교회(DG)와 소피엔잘(DECCA)의 음향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음향에 대해서는 다른 평가를 내리는 이들도 있다. [[분류:소리]][[분류:기술]][[분류:유니버설 뮤직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