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50]] || ||<-5><:> [[칸 영화제/그랑프리|{{{#E5D85C '''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 해당 상은 1967년부터 1988년까지 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 (Grand Prix Spécial du Jury)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현재의 [[칸 영화제/그랑프리|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 ''' 제28회 [br] ([[1975년]]) ''' ||<:> {{{+1 → }}} ||<:> ''' 제29회 [br] ([[1976년]]) ''' ||<:> {{{+1 → }}} ||<:> ''' 제30회 [br] ([[1977년]]) ''' || ||<:>[[하늘은 스스로 돌보는 자를 돌보지 않는다]] ||<:> {{{+1 → }}} ||<:>'''O 후작 부인'''[br]까마귀 기르기 ||<:> {{{+1 → }}} ||<:>수상작 없음 || ||<-5> || ||<-2>
{{{#000000 '''{{{+1 O 후작 부인}}}''' (1976)[br]Die Marquise von 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6 O 후작 부인 오리지널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시대극]], [[역사]] || || '''감독''' ||<|2>[[에릭 로메르]] || || '''각본''' || || '''원작'''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 소설 《O 후작 부인》 || || '''제작''' ||바벳 슈로더, 클라우스 헬비그 || || '''주연''' ||에디스 클레버, [[브루노 간츠]] || || '''촬영''' ||네스토르 알멘드로스 || || '''편집''' ||세실 드쿠지 || || '''미술''' ||번하드 프레이, 에르베 그랑사르, 롤프 카덴, 로저 폰 몰렌도르프 || || '''의상''' ||모이델 비켈 || ||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고몽(영화 제작사)|고몽]], Les Films du Losange[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야누스 필름 프로덕션, Hessischer Rundfunk (HR) || ||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고몽(영화 제작사)|고몽]][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야누스 필름 || ||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76년 5월 17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76년 5월 19일[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1976년 5월 28일 || || '''화면비''' ||1.37 : 1 || || '''상영 시간''' ||1시간 42분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릭 로메르]] 감독 및 각본, 에디스 클레버, [[브루노 간츠]] 주연의 서독-프랑스 합작 영화. 로메르 감독의 첫 [[시대극]] 영화로, [[나폴레옹 전쟁]] 시기를 다룬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이 작품 외에는 [[미하엘 콜하스의 선택]]이 영화화 된 바 있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제29회 [[칸 영화제]]에서 [[칸 영화제/그랑프리|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를 수상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Gh3slt0jzo)]}}}|| || {{{#000000,#dddddd '''▲ 예고편'''}}} || == 시놉시스 == > 러시아군이 북 이탈리아를 침공할 당시 O 후작 부인은 가족들과 함께 폭격을 피해 대피한다. 러시아 군인들은 그녀를 욕보이려 하고 마침 그곳을 지나던 러시아 장교가 위기에서 그녀를 구한다. 우연히 막사를 지나치던 그는 악몽을 꾸는 그녀의 모습을 보고 매혹에 빠진다. 얼마 후 O 후작 부인은 마술처럼 자신이 임신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당혹해 한다. == 등장인물 == * 에디스 클레버 - O 후작 부인 역 * [[브루노 간츠]] - 백작 역 * 에다 세이펠 * 오토 샌더 * 에두아르 링커스 == 설정 ==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marquise-of-o, critic=85, user=X.X)]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marquise_of_o, tomato=86, popcorn=74)]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74870, user=7.0)]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marquise-of-o, user=3.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66576, presse=X.X, spectateurs=3.1)]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lamarchesavon, MYMOVIES=4.00, CRITICA=X.XX, PUBBLICO=3.22)]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23884, user=6.9)]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6448, user=3.9)]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293264, user=7.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mnAxW,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3404, light=XX.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31562, user=7.0)] [include(틀:평가/MRQE, code=die-marquise-von-o-m100051904, user=XX)] [include(틀:평가/TMDB, code=48205-die-marquise-von-o, user=66)]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die-marquise-von-o, user=5.9)]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 흥행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29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그랑프리|심사위원특별그랑프리]] '''수상''' * 1977년 [[BAFTA]] 의상상 '''수상''' * 1977년 전미비평가협회상 감독상, 촬영상 후보 * 1977년 뮌헨 영화제 여우주연상 (에디스 클레버) '''수상''' == 기타 == * [[에릭 로메르]] 감독 본인이 극중 러시아 병사 중 하나로 카메오 출연하기도 했다. * 극 중 젊은 백작이 바라보는 후작 부인의 잠자는 모습은 미술에 꿈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화가 요한 카스파르 퓌슬리의 <악몽>이라는 그림에서 영감을 얻어 묘사 된 장면이다. [[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역사 영화]][[분류:독일의 드라마 영화]][[분류:독일의 역사 영화]][[분류:1976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