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heer Heart Attack)] ||<-2><#000> '''{{{#c90000,#ff3636 {{{+1 Now I'm He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PHTKePwzUw,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1974년]] [[10월 11일]](싱글)[br][[1974년]] [[11월 8일]](앨범)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Sheer Heart Attack|'''{{{#c90000,#ff3636 Sheer Heart Attack}}}''']]}}} || || '''싱글 B면''' ||[[Lily of the Valley]] || || '''작사/작곡''' ||[[브라이언 메이]] || || '''러닝 타임''' ||4:12 || || '''장르''' ||[[하드 록]] || || '''프로듀서''' ||로이 토마스 베이커, [[퀸(밴드)|퀸]]|| || '''레이블''' ||[[EMI]]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파일:나우아임히어.jp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5년]] [[1월 17일]] 발매된 [[퀸(밴드)|퀸]]의 노래. 3집 [[Sheer Heart Attack]]의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어 독일 25위, 영국 11위 등 [[Killer Queen]]에 이어 다시금 히트를 기록했다. [[브라이언 메이]]가 작사작곡했으며, 퀸 멤버들이 선호하는 락 넘버여서 후기 매직 투어까지 꾸준히 연주되었다.[* 프레디는 이 곡을 두고 "[[퀸(밴드)|우리]] 음악의 뿌리가 로큰롤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트랙이라고 생각한다."라는 의견을 보인 바 있다.] 퀸이 라이브에서 가장 많이 연주한 곡 중 하나이며, 곡 자체도 라이브를 염두에 둔 듯한 구성을 띠고 있다. 곡 중간에 나오는 'Hoople'의 정체는 퀸이 오프닝밴드로 섰던 영국의 밴드 'Mott the Hoople'로,[* [[데이빗 보위]]가 작곡한 [[https://www.youtube.com/watch?v=yNHdPPJGowY|All the Young Dudes]]로 유명하다.] 멤버들은 이 공연들에 크게 만족해 가사에 넣었다고 밝혔다. 또한 프레디 사후 추모 콘서트에서 [[데프 레파드]]가 불렀다. == 가사 == ||<#000> ---- '''{{{+2 {{{#c90000,#ff3636 Now I'm Here}}}}}}''' ---- Here I stand 여기 내가 있어 Look around around around around around 주위를, 주위를, 주위를, 주위를, 주위를 둘러봐 But you won't see me 하지만 넌 나를 보지 못하겠지 Now I'm here 이제 내가 여기에 있어 Now I'm there 이제 내가 저기에 있어 I'm just a 나는 그저 Just a new man 그저 새로운 남자일 뿐이야 Yes, you made me live again 그래, 네가 나를 새사람으로 만든 거야 A baby I was when you took my hand 나는 어린아이였지, 네가 내 손을 잡았을 때 And the light of the night burned bright 그리고 밤의 불빛은 밝게 빛났어 The people all stared didn't understand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한 채 바라보았지만 But you knew my name on sight 너는 한눈에 나를 알아봤지 Ooh, whatever came of you and me 우, 너와 나에게 무슨 일이 닥치든 America's new bride to be 아메리카의 새로운 신부가 된다 해도 Ooh, don't worry baby I'm safe and sound 우, 걱정하지 마, 자기야, 나는 안전하고 무사하니까 Down in the dungeon just peaches and me 지하 감옥에는 피치와 나만이 있네 Don't I love her so 얼마나 내가 그녀를 사랑하는지 Yes she made me live again, yeah 그래, 그녀가 나를 새사람으로 만든 거야 A thin moon me in a smoke-screen sky 연기가 가린 하늘의 초승달 Where the beams of your love light chase 네 사랑의 불빛이 쫓아가던 그곳에서 Don't move, don't speak, don't feel no pain 움직이지 마, 말하지 마, 고통스러워 하지 마 With the rain running down my face 빗방울이 내 얼굴을 타고 흐르지 Your matches still light up the sky 네 성냥불은 아직도 하늘을 비추고 And many a tear lives on in my eye 내 눈에는 눈물이 가득 살고 있어 Down in the city just Hoople and me 도시에는 후플과 나만이 있네 Don't I love him so 내가 그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Ooh don't I love him so 우, 내가 그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 ''(기타 솔로)'' ---- Whatever comes of you and me 너와 나에게 무슨 일이 닥치든 I love to leave my memory 그저 추억만을 남기고 싶어 With you 너와 함께 Now I'm here 이제 내가 여기에 있어 Think I'll stay around around around around around around 이 부근, 부근, 부근, 부근, 부근에만 머무를 것 같아 Down in the city just a-you and me 도시에는 너와 나만이 있네 Don't I love you so 내가 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Go, go, go, little queenie 가라, 가라, 가라, 작은 퀴니여 ---- [[퀸(밴드)|[[파일:Queen logo.png|width=100]]]] || == 여담 == 곡의 뮤직비디오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 있는 것은 사실 [[Live at the Rainbow '74]]의 라이브 영상으로, 음원 역시 원곡이 아닌 당시 라이브의 음원이다. 일부 팬들 사이에는 이 버전이 더 낫다는 팬들도 있는데, 앞서 서술하였듯이 라이브를 염두에 둔 듯한 구성 덕분에 라이브 버전이 앨범 버전보다 더 낫다는 팬들이 많다. [youtube(d2M8FdUaXHQ)] 사실상의 뮤직비디오인 1974년 Top of the Pops 영상. 라이브에서는 1974년 10월 30일 3집 투어에서 초연된 이후[* 이때는 3집 앨범도 발매되기 전이었고, [[Killer Queen]] 싱글만이 발매된 상태였기 때문에 당시 세트리스트에 수록된 신곡들은 관객들이 아예 모르는 상태에서 연주되었다.] 모든 투어에서 세트리스트에 빠진 적이 없고 매직 투어까지 꾸준히 연주되었다. 곡이 연주되는 순서도 투어마다 달랐는데, 3집 투어에서는 두 번째 곡으로 연주되다가 4집 투어부터 앙코르 전 본공연 마지막 곡으로 연주되었고, 1978년 7집 투어부터 라이브의 중반에 부르면서 중간에 스캣을 넣어 보컬 대결을 시작했다. 또 1980년 8집 투어부터 중간에 'Dragon Attack'을 끼워 연주하였고, 1984년 11집 투어부터 그냥 공연 중반에 연주하였다.[* Dragon Attack은 이 곡 전에 연주하였다.] 현재는 초기처럼 라이브의 오프닝 곡으로 연주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heer Heart Attack,version=112)][[분류:Sheer Heart Attack]][[분류:퀸/노래 목록]] [[분류:1974년 노래]][[분류:1974년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