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he Final Cut)] ||<-2><#000000> '''{{{#fff {{{+1 Not Now Joh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IbMK8jN93s,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1983년]] [[3월 21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The Final Cut|{{{#fff '''The Final Cut'''}}}]]}}} || || '''장르''' ||[[아트 록]], [[하드 록]] || || '''작사/작곡''' ||[[로저 워터스]] || || '''프로듀서''' ||[[로저 워터스]], 마이클 케이멘, 제임스 거스리 || || '''러닝 타임''' ||5:01 || || '''레이블''' ||하베스트, 콜럼비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jvk1CFIM1M?si=e2yurikL-SLBzIdu, height=250)]}}} || || '''뮤직 비디오''' || [[1983년]]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노래. [[The Final Cut]]의 10번째 트랙이다. 앨범에 수록된 곡중 유일하게 [[데이비드 길모어]]가 보컬을 맡은 곡이다. 여기서 John은 특정 인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친구라는 의미이다. == 가사 == ||<#000> ---- '''{{{+2 Not Now John}}}''' ---- Fuck all that, we've got to get on with these 그딴건 좆도 아니야, 우린 이걸 계속해야 해 Got to compete with the wily Japanese 교활한 일본인과 경쟁해야 해[* 70년도에 급성장한 일본을 경계하는 의미이다] There's too many home fires burning and not enough trees 집에 불이 너무 자주 나고 나무도 부족하니까 So fuck all that, we've gotta get on with these 그러니 그딴 건 엿이나 먹으라 해, 우린 이걸 계속해야 하니까 ''Can't stop, lose job[br]못 멈춰, 실직[br]Mind gone, silicon[br]마음 없는, 실리콘''[* 실리콘은 기계들을 의미하여 마음이 없는 기계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길까 멈출 수 없다는 노동자의 불안을 의미한다] ''Tsar bomb, what bomb?[br][[차르 봄바|차르 폭탄]], 무슨 폭탄?[br]Get away, pay day[br]가버려, 급여일[br]Make hay, break down[br]건초를 만들어, 무너져 버려[br]Need fix, big six[br]수리가 필요해, [[빅6|빅 식스]]''[* 노동자들이 축구를 보여 여가시간을 때운다는 의미이다] ''Click, click[br]클릭, 클릭[br]Hold on, oh no[br]잠깐만, 안돼[br]Bingo![br]빙고!'' ''Make them laugh, make them cry[br]웃게 하고, 울게 해[br]Make them dance in the aisles[br]그들이 통로에서 춤추게 하고[br]Make them pay, make them stay[br]대가를 치르게 하고 머물게 하고[br]Make them feel okay[br]그들이 괜찮다고 느끼게 해줘'' Not now John, we've got to get on with the film show 지금은 안돼, 존, 우리는 영화 쇼를 계속해야 해 Hollywood waits at the end of the rainbow [[할리우드]]가 무지개의 끝에서 기다리니깐 Who cares what it's about as long as the kids go 애들이 가는 한 누가 신경쓰겠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에 뿌리를 둔 파트로 어린이 영화 제작에 대한 당시 할리우드의 일반적인 분위기를 보여준다] So, not now John, we've gotta get on with the show 그러니 안돼 존, 지금은 쇼를 진행해야 해 ---- ''(기타 솔로)'' ---- Hang on John I've got to get on with this 잠깐 존, 난 이걸 계속해야 해 I don't know what it is, but it fits on here like- ''tsss'' 뭔진 모르겠는데, 여기에 맞네 Come at the end of the shift, we'll go and get pissed 교대 근무 끝나고, 우린 술을 진탕 마실 거야 But not now John, I've gotta get on with this 하지만 지금은 안돼 존, 난 이걸 계속해야 해 ''Hold on John, I think there's something good on[br]잠깐 존, 뭔가 좋은 게 있는 거 같아''[br]''I used to read books but..''[* [[톰과 제리]], 톰의 비명이 나온다] ''예전엔 책을 읽곤 했는데.. {{{#gray ''*중얼거림*'' }}}[br]It could be the news, or some other abuse[br]뉴스일 수도 있고 욕설일 수도 있거나[br]Could be reusable shows[br]재사용 가능한 쇼일수도 있어'' ''Fuck all that, we've gotta get on with these[br]그딴건 좆도 아니야, 우린 이걸 계속해야 해[br]Got to compete with the wily Japanese[br]교활한 [[일본]]인과 경쟁해야 하니까'' ''No need to worry about the Vietnapeace[br][[베트남]]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어''[* [[월남전]] 이후 베트남의 경제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Got to bring the Russian Bear to his knees[br][[러시아]]를 무릎 꿇게 해야 해'' ''Well, maybe not the Russian Bear, maybe the Swedes[br]음, 러시아 곰이 아닐 수도 있고, 아니라면 아마 [[스웨덴]]인이겠지[br]We showed Argentina, now let's go and show these[br]우린 [[아르헨티나]]한테 보여줬으니 이제 이걸 보여줄 차례야'' ''Make us feel tough and wouldn't Maggie be pleased?[br]우리가 힘들면 [[마가렛 대처|매기]]가 기뻐하지 않을까?[br]Na, na, na, na, na, na, na[br]나, 나, 나, 나, 나, 나, 나[br]One, two, Free Four![br]원, 투, [[Free Four|프리 포]]!'' ''S'cusi, dov'è il bar?'' ''(What?)'' ''Se parakalo, pou einai to bar?'' ''S’il vous plaît, Où est le bar?'' ''(Say it in English, fairy!)'' ''실례합니다, 바가 어디에 있나요?'' ''(영어로 말해, 호모새끼야!)''[* 위 순서대로 이탈리아어, 그리스어와 프랑스어이며 3문장 모두 같은 뜻이다][* 당시 영국 노동자계급의 외국인을 배척하던 정서와 술을 좋아하는 모습을 풍자한 의미이다] ''Oi, where's the fucking bar John?'' ''(Oh, now you're talking!)'' ''씨발 대체 바가 어디있냐고, 존?'' ''(오, 이제야 말하는구나!)'' ''Rule Britannia! Britannia rules the day'' ''[[룰 브리타니아|지배하라 브리타니아!]] [[브리타니아]]가 하루 종일 통치한다'' ''Down!'' ''아래로!'' ''Go, Maggie!'' ''가자, 매기!'' ''Hammer, Hammer, Hammer, Hammer, now!'' [[Waiting for the Worms|''망치, 망치, 망치, 망치, 지금!'']] ---- [[파일:pink-floyd-logo-white.png|width=150]] || [각주] [[분류:1983년 노래]][[분류:핑크 플로이드 노래]][[분류:로저 워터스 노래]][[분류:The Final C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