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J077DryC2os)] >'''Predator or prey''' >'''Knock Em Out''' [[https://youtu.be/ePv2X_CCaGg?t=5|영상 배경이 꽤나 잔인하고 폭력적]]이니 주의를 요한다.[* 얼굴이 발로 차여서 뇌가 통째로 빠져나오는 그림이 있다.] [[Bossfight]]가 [[https://youtu.be/ePv2X_CCaGg|2017년 8월 7일에 유튜브에 올린 곡]]이다.[* 뉴그라운즈에는 2018년 1월 3일(한국 시간 2018년 1월 4일) 발표되었다.] [[Geometry Dash SubZero]]의 수록곡. 훗날에 출시된 [[아스팔트 9]]에서도 사용된다. 조성은 사단조(G minor)이다. === 가사 === ||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Nock em out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Nock em out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Nock em out Eh Nock em out Eh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Nock em out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Nock em out Disturb em like- oh Nock-nock em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Nock em out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Nock em out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or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prey Nock em out Eh, eh Nock em out Eh Nock em out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predator or prey || == [[Geometry Dash SubZero]] == [include(틀:Geometry Dash/스테이지)] [include(틀:Geometry Dash/스테이지/SubZero)]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0deg, #5FBCFF, #00195A); border-bottom: 1px solid #FFFFFF; border-left: 1px solid #FFFFFF; border-radius: 24px; border-right: 1px solid #FFFFFF; border-top: 1px solid #FFFFFF;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letter-spacing: -.5px; margin-right: 12px; text-align:center; width: 100%" [[파일:GD_플레이버튼.png|width=60]] [[파일:Geometry Dash SubZero 아이콘.png|width=60]][br][[Geometry Dash/스테이지 일람|{{{-1 {{{#ffffff '''Geometry Dash SubZero의 스테이지'''}}}}}}]] ||<-3> [[파일:HardGMD.png|width=50]] '''어려움(Hard)'''[br]{{{+3 '''Nock Em'''}}}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영상 정렬, url=lkej3EXwuDo)] }}} || || '''업데이트 버전''' || '''클리어 시간''' || '''반영 버전''' || || {{{+3 '''1.0'''}}} || {{{+3 '''1분 44초'''}}} || {{{+2 '''Geometry Dash SubZero'''}}} || ||<-3> '''보상''' || ||<|2> {{{+3 '''6 [[파일:StarGMD.png|width=25]]'''}}} ||<-2> '''노말 모드''' 클리어 시 || || [[파일:큐브아이콘 144(GMD).png|width=50]] || [[파일:큐브아이콘 147(GMD).png|width=50]][br]{{{-1 '''(올코인)'''}}} || ||<-3> '''레벨 순서'''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 [[Press Start#Geometry Dash SubZero|{{{+1 {{{#000,#fff Press Start}}}}}}]] || → || 2. {{{+1 '''Nock Em''' }}} || → || 3. [[Power Trip#Geometry Dash SubZero|{{{+1 {{{#000,#fff Power Trip}}}}}}]] || }}} || }}} Reverse도 적절하게 사용하였고, Random Trigger도 처음으로 사용한 맵이다. 초반에 블럭이 떨어지면서 그곳으로 들어간 후 검은부분에서 알파벳 [[RobTopGames|R, U, B]]가 랜덤하게 바뀐다. 맵 디자인은 잘 되어 있는 편이나 이전 스테이지인 [[Press Start]]가 공식맵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고퀄리티로 만들어졌고, [[Power Trip]]은 여러모로 디자인이 성의 없다고 까이고는 있지만 난이도가 좀 되는 편이라 인기가 있어서 이 맵이 상대적으로 묻히는 감이 있다.. 그래도 중후반에 벽을 부수며 진행하는 연출은 호평을 받았다. [[Dash(Geometry Dash)|Dash]]가 업데이트되기 전까지 공식맵 중 유일하게 볼 모드와 거미 모드가 하나의 맵 내에 같이 들어가있는 공식맵이었다.[* [[Fingerdash]]에서는 볼 모드가 들어가지 않았다.] 2020년 기준 난이도는 대략 hard 5☆ 정도. === 구간 === ||<-15> Nock Em 맵 구성 || ||<-1> 1번 구간 ||<-4> 2번 구간 ||<-5> 3번 구간 ||<-5> 4번 구간 || || [[파일:큐브아이콘 01(GMD).png|width=50%]][br]'''~30%'''|| [[파일:웨이브아이콘 01(GMD).png|width=100%]][br]'''30%[br]~[br]36%'''|| [[파일:배아이콘 01(GMD).png|width=80%]][br]'''36%[br]~[br]40%'''|| [[파일:웨이브아이콘 01(GMD).png|width=100%]][br]'''40%[br]~[br]45%'''|| [[파일:볼아이콘 01(GMD).png|width=100%]][br]'''45%[br]~[br]50%''' || [[파일:큐브아이콘 01(GMD).png|width=85%]][br]'''50%~[br]63%'''|| [[파일:거미아이콘 01(GMD).png|width=100%]][br]'''63%[br]~[br]68%''' || [[파일:웨이브아이콘 01(GMD).png|width=100%]][br]'''68%[br]~[br]73%'''|| [[파일:배아이콘 01(GMD).png|width=100%]][br]'''73%[br]~[br]78%'''|| [[파일:볼아이콘 01(GMD).png|width=100%]][br]'''78%[br]~[br]83%'''|| [[파일:거미아이콘 01(GMD).png|width=80%]][br]'''83%[br]~[br]85%[br]'''|| [[파일:거미아이콘 01 반전(GMD).png|width=100%]]{{{#FF0000 '''[br]85%[br]~[br]82%[br]'''}}}|| [[파일:큐브아이콘 01(GMD).png|width=100%]]{{{#FF0000 '''[br]82%[br]~[br]79%[br]'''}}}||<-2> [[파일:큐브아이콘 01(GMD).png|width=100%]][br]'''79[br]~81%,98~[br]100%'''[* End Trigger를 사용하여 %가 한번에 81%->98%(1프레임간 97%)로 바뀐다.]|| ||<-15> ^^* {{{#red 빨간색}}} 표시는 맵이 역행하고 있는 경우이다.^^ || 어려운 구간: 68% 갑툭튀 '''1번 구간''' 초반 30%대의 큐브모드 구간이다. 난이도는 굉장히 쉽다. 특히나 이 구간 큐브모드는 매우 쉬운 편. 다만 10%대 이후로 갑자기 화면이 바뀔 때를 조심하자. 구간이 훼이크가 없고 정직하여 조금만 주의하며 지나가도 넘어갈 수 있지만 초보자들은 잘 걸릴 수 있다. 특히나 20%~30%대는 방심하면 안된다. '''2번 구간''' 30% 이후 구간인데, 큐브모드에서 벽을 부수며 웨이브모드 구간으로 진입한다. [[Blast Processing]]만 클리어한 수준이어도 별다른 연습 없이 잘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쉬운 구간이다. 그 뒤 비행기 모드도 쉬우나 장애물이 계속 움직이므로 계속 가운데쯤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 후 첫 번째 웨이브파트와 별 다를 게 없는 웨이브파트가 다시 나오고, 그 뒤 볼 모드는 앞 웨이브모드보다도 쉽다. '''3번 구간''' 50%부터 나오는 암흑 일반 구간은 아이콘이 나오는 곳이 상하좌우 다 달라서 보고 피해야 하며 집중해야한다.[* 이 부분도 유저들이 역행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는 8스테이지에서 등장한 좌우반전 모드이다. 맵을 뜯어보면 좌우반전 포탈이 숨겨져 있으며 플레이 시 진행도도 역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난이도 자체가 워낙 쉽다. 초보들은 처음에 아이콘이 나오는 위치를 외워두면 훨씬 쉽게 진행할 수 있다. 그 후 60%대 큐브모드 구간은 매우 쉽지만 뒤에 'Nock Em Out' 문구에서 뛸 때 소형화에 2단가속이므로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 그 후 60%대 거미모드는 칸이 널찍널찍해서 통과하기 쉽다. 이는 바로 뒤 웨이브, 비행기 모드, 볼모드 구간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맵 하이라이트인 만큼 난이도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니 방심은 금물. 특히 비행기 모드는 플레이어가 코앞에 있을 때 위협적으로 움직이고 볼모드는 플레이어가 근처에 와야 블럭들이 생겨나므로 꼭 침착해야 한다. '''4번 구간''' 80%대의 거미모드 구간은 칸이 널찍널찍하지만 코인루트로 가면 1칸 넓이가 되기 때문에 쉽지 않다. 그 후 마지막 큐브모드는 그냥 손쉽게 지나가주면 끝. 다만 큐브모드로 넘어갈 때 속도가 빨라지는데 당황하지 말자. 이 때 당황해서 죽으면 '''[[소고기(Geometry Dash)|빡친다]]'''. --경험담인가-- ==== 비밀 코인 ==== 2.2.12 버전 업데이트로 두 번째 코인을 얻기 위한 열쇠 획득 난이도가 너프되었고, 세 번째 코인은 숨겨져 있는 곳 표시 추가와 획득 난이도 상향, 첫 번째 코인이 숨겨져있는 곳이 표시되도록 바뀌었다. [[https://namu.wiki/w/Nock%20Em?rev=143#s-2.1.1|이전 버전까지의 코인 루트]] [[파일:Nock Em 비밀코인1.gif]] '''첫 번째 코인.''' 4% 구간에, 아래쪽에 가시가 달린 블록 옆으로 점프하면 비밀길과 코인이 나타난다. 난이도는 어렵지는 않다. 그러나 연속 동작이 필요해 실수하면 안되고 이전에 비슷한 장애물과 헷갈리지 말자. 업데이트로 벽에 붉은색 점 표시가 추가되었다. [[파일:Nock Em 비밀코인2-1.gif]] [[파일:Nock Em 비밀코인2-2.gif]] '''두 번째 코인.''' 두 번째 코인은 우선 중간 배 모드에서 위 사진처럼 열쇠를 획득해야 한다.[* [[Deadlocked]] 열쇠의 강화판이다. 차이점이라면 여기서는 둔하게 움직이는 대형 모드로 먹어야 한다.] 원래 열쇠가 천장에 거의 딱 붙어 있어 획득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지만 업데이트로 열쇠가 한 블록 정도 아래로 내려오면서 너프를 먹었다. 열쇠를 획득하면 잠금이 풀리며 열쇠와는 다르게 매우 쉽게 두 번째 코인을 얻을 수 있다. [[파일:Nock Em 비밀코인3.gif]] '''세 번째 코인.''' 거미 구간 도중, 처음엔 그냥 거미모드로 가다가 역행하면 갑자기 없던 벽이 생기는데(역행중 84%) 첫 번째 코인과 비슷하게 벽을 뚫고 지나갈 수 있게 비밀길과 코인이 나타난다. 업데이트로 벽에 점선이 생겼고 난이도도 높아졌다. 근데 업데이트 후 버전이 더 쉽다는 사람도 있다.[* 클릭 타이밍을 잡기가 더 쉬워져서 그런 듯하다] === 여담 === *10%대의 큐브 모드에서 구석에 있는 글자들, 마지막에 나오는 글자들을 보면 [[RobTop|'''RubRub''']]이라고 되어있다. *버그가 있는데, 중간 웨이브모드 직전 구간에서 타이밍 맞춰서 점프를 하면 속도 포탈을 스킵하게 된다. 이 상태로 맵을 클리어하는 것도 가능.[* 다만 이러기 위해선 두 번째 코인 루트로 가야 한다.] *되돌아간 후 81% 이후에 한번에 98%[* 사실 1프레임 동안 97%이다.]로 스킵하게 되는데, 역행 기능의 버그냐는 등의 말이 많았는데 사실 이는 2.2들어서 사용할 맵을 끝내는 "End Trigger"를 사용한 것이다.[* 잘 보면 끝나는 파티클이 없다가 파티클이 생긴다.] *클리어 타임은 1분 40초 정도로, 평균보다 살짝 길다. 영상의 0:52 부분은 본판 1~4 스테이지까지의 오마주로 보인다.[*순서대로 Stereo madness의 간단한 가시점프,back on track의 복잡한 장애물, polargeist의 초반 점프링, dry out의 중력반전 부분] [[분류:Geometry Dash/스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