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No.]] [[유희왕]]의 캐릭터이자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갤럭시(유희왕))] [include(틀:No.)] [[파일:Number83GalaxyQueen-JP-ZX-NC.png]] [목차] == 원작 == === 캐릭터 === [[유희왕 ZEXAL]] 세계관의 [[가공의 작품|가상의 TV 특촬 히어로물]] '''이차원 에스퍼 로빈'''에 등장하는 악의 여간부. 암흑대왕 데드맥스의 부하로 지팡이에서 "데드맥스의 저주"라고 부르는 빛을 뿜어 상대의 행동을 봉인하는 힘을 가진 강적이다.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이 설명하기를 "로빈에게 마법을 걸어서 조종하는 강적"이라고 한다. 에스퍼 로빈 방영 도중에 로빈의 친모가 아니냐는 떡밥이 제기된다. 실제로 로빈의 역을 맡고 있는 [[오쿠다이라 후야]]의 어머니하고 똑같이 생겼다. 목소리도 톤이 약간 다를 뿐이지 똑같다. 관찰력이 뛰어난 아스트랄도 후야의 어머니를 보고 갤럭시 퀸이라고 할 정도다. 한국판은 성우가 [[이미나(성우)|이미나]]로 같다. 작중 내용에서는 결국 에스퍼 로빈의 포옹에 지팡이를 떨어뜨리고 옷이 하얀색으로 변하면서 정신을 되찾는다. === 카드 === [[파일:attachment/No.83 갤럭시 퀸/Example.Example.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No.83 갤럭시 퀸'''|| || 일어판 명칭 ||<-4>'''[ruby(No., ruby=ナンバーズ)]83 ギャラクシー・クィーン'''|| || 영어판 명칭 ||<-4>'''Number 83: Galaxy Queen'''|| ||<-5> [[엑시즈 소환|엑시즈]] / 효과 몬스터 || || 랭크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 500 || 500 || ||<-5>레벨 1 몬스터 × 3[br]이 카드는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는 전부, 다음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까지 전투 및 마법 / 함정 / 몬스터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파일:attachment/GalaxyQueenSeal.png|width=100%]]|| || 뉴트럴체 || ||[[파일:Number83GalaxyQueen-JP-Anime-ZX-NC.png|width=100%]]||[[파일:a19ad2aa.jpg|width=100%]]|| ||<-2> 변형 후 형태 || 위의 캐릭터를 모티브로 한 엑시즈 몬스터. 어머니에게서 에스퍼 로빈으로 살 것을 철저히 강요받은 [[오쿠다이라 후야]]의 마음 속 어둠이 우연히 주운 이 카드 때문에 극도로 증폭되어 후야에게 자신이 에스퍼 로빈이라고 생각하도록 만든다. 이후 후야는 [[츠쿠모 유마]]의 듀얼에서 레벨 1 [[삼련성의 트리온]] 3장을 소재로 수비 표시로 [[엑시즈 소환]]한다. 소환되자마자 표시 형식 변경과 전투 파괴를 막아주는 장착 마법 데드맥스의 저주를 장착한 뒤 자신의 효과로 [[야수전사 퓨먼]]과 [[이차원 에스퍼 스타 로빈]]에게 관통 효과를 부여해 유마에게 큰 대미지를 주며 이후로도 효과를 사용하여 괴롭혔다. 결과적으로 데드맥스의 저주가 파괴되고 공격 표시로 돌아가 공격력 5000의 [[No.39 유토피아]]에게 공격받을 위기에 처하나 후야가 이 카드를 지키기 위해 "스타 로빈이여 영원히!"로 스타 로빈이 대신 공격을 맞게 하고 패배한다.[* 이럴 것 없이 전 턴에 공격 표시가 된 갤럭시 퀸을 메인 페이즈 2에 수비 표시로 돌리고 효과를 썼다면 후야가 지지는 않았다.] 직후 조용히 웃으면서 사라진다. 이 카드가 1번 문단의 이름과 모습을 취하는 건 '''후야의 내면에 존재하는 어둠'''을 구현한 모습이기 때문이고 넘버즈의 특성상 1번 항목의 '로빈을 마법을 걸어 조종한다'는 설정과도 일치한다. 카드로 구현된 스타 로빈이 검은색인 이유는 그 때문인 듯 하다. 사람형 넘버즈라 그런지 '''사람의 말을 할 수 있다.''' 소환 시에 모빌의 형태에서 [[세일러 문]] 마냥 사람형으로 변신한다. 수비 표시에서 공격 표시가 되면 옷이 하얀색으로 변한다. 번호의 위치는 가슴의 V 라인. 효과 사용시에는 "자, 내가 직접 너희들에게 힘을 나눠 주겠노라!"라는 대사와 함께 오버레이 유닛을 지팡이에 흡수한 뒤 지팡이로 자기 몬스터들에게 빛을 비춘다. 이외에도 후야에게 여러가지로 명령을 하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넘버즈 자신이 떠들어대는 것 같다. 그러나 갤럭시 퀸 이외의 후야가 쓰는 다른 카드들은 그냥 팬 서비스용 [[음성지원]]이다... === 아스트랄이 되찾은 기억 === 이 카드가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에게 돌려준 기억은 '''아스트랄이 태어난 순간.''' == [[유희왕/OCG|OCG]] == || [[파일:No.83 ギャラクシー・クィーン.jpg|width=100%]] || [[파일:attachment/No.83 갤럭시 퀸/Number83GalaxyQueen-DP12-KR-R-UE.jp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명칭=No.83 갤럭시 퀸, 일어판명칭=No.(ナンバーズ)83 ギャラクシー・クィーン, 영어판명칭=Number 83: Galaxy Queen, 레벨=1,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500,수비력=500, 소재=레벨 1 몬스터 × 3,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는 상대 턴 종료시까지\,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 파괴 내성까지 부여하는 원작보단 하향되었지만 자신 몬스터의 전투 파괴 보호 + 관통이라는 단순하고도 좋은 효과를 지닌 몬스터. 매 턴 효과를 사용하지 않고는 금방 터질 능력치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상대 턴을 포함해서 6턴 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물론 효과 파괴는 못 막으므로 6턴 다 쓴다는 보장은 없다. 대부분의 상황에선 상대 턴에 전투 파괴를 막고 자신의 턴에 관통을 쓸 수 있지만 이 두 효과를 전부 쓸 수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관통으로 큰 이득을 볼 수 있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전투로는 파괴될 상황은 아닐 것이고 전투 파괴를 막기 위해서라면 필드엔 관통을 바라기에는 빈약한 몬스터가 있을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전투 내성을 주로 하고 관통은 덤이라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전투 파괴로만 본다면 기습적으로 쓸 수 있는 [[화목의 사자]] 등이 있어서 약간 애매하다. 효과 자체는 좋지만 [[엑시즈 소환]]의 특성상 토큰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레벨 1 몬스터를 강제적으로 3장 이상 채용해야 한다. [[기황제]]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레벨 1 몬스터는 보통 [[금화고양이]], [[레벨 스틸러]]나 [[기계 복제술]], [[동성동명동맹]], [[원 포 원]]에서 [[지옥의 폭주소환]]을 연결하는 등등 소환 방도는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노리고 소환하라면 어렵지는 않은 조건. 하지만 앞서 서술했듯이 노리고 엑시즈 소환하기엔 미묘하다. 가장 소환하기 쉬운 덱인 [[로우 레벨]]은 일단 락 걸고 툭툭 치는 덱이라서 관통을 노리는 경우가 적다는 게 문제. 로우 레벨 덱에서 비트를 노린다면 이미 직공 능력을 가진 어태커를 선정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가 애초에 엑시즈 때문에 레벨 관련 카드로 락 걸기가 상당히 애매해졌다. [[명경지수의 마음]]을 사용하면 반쯤은 '''무적.''' 결론적으로 말해 이래저래 애매한 카드. 효과가 서로 시너지가 안 되는데다가, 소환 조건이 3장인게 치명적. [[샤이니트 매지션]]처럼 소재가 2장이기만 했었어도 좀 할만했을 카드다. 그리고 3장 먹어도 성능이 좋은 [[No.54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가 있어서 이놈이 설 자리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No.10 일루미 나이트]], [[No.56 골드래트]]와 마찬가지로 초기 출시의 희생양인 셈. 그래도 [[No.56 골드래트|모 황금쥐]]보다는 낫다. OCG화된 [[No.]] 중에선 [[울트라 레어]] 이상의 레어도가 존재하지 않는 유일'''했던''' 카드. [[슈퍼 레어]]다. 이후 발매될 때마다 [[레어]], [[노멀]]로 하향테크를 타고 있다. 현재까지 공개된 넘버즈 중엔 거의 유일한 사람형 + 그것도 여성형이라는 것 덕분에 매력은 충분하지만 그 놈의 인처 속성이 발목을 잡았는지 [[픽시브]] 내 관련 짤은 드물다. 하지만 넘버즈 시청자 투표에서 '''[[No.17 레비아단 드래곤]]을 압도적으로 바르고 [[CNo.39 유토피아 레이]]와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레비아단 드래곤 '''3440표''', 갤럭시 퀸 '''8657표''', 유토피아 레이 '''8953표'''. 레비아단 드래곤을 5217표차로 따돌렸다. 유토피아 레이와의 표차는 불과 296표.] 비록 넘버즈가 별로 존재하지 않던 초반이긴 하지만 그래도 대단하다. 해외판에서는 가슴이 작아지는 [[탄압]]을 당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의 충격파]] || PHSW-KR03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유마 편-]] || DP12-KR014 || [[레어]] || 한국 ||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3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破滅の邪龍ウロボロス!!」]] || DT14-JP035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DUELISTPACK -遊馬編-]] || DP12-JP014 || [[레어]] || 일본 ||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3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Star Pack 2013 || SP13-EN028 || 노멀 / 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갤럭시 퀸즈 라이트]] === === [[이차원 에스퍼 스타 로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