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No.]] [include(틀:No.)]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설명 == || [[파일:No.41 泥睡魔獣バグースカ(DBVS).jpg|width=100%]] || [[파일:Number41BagooskatheTerriblyTiredTapir-AC18-EN-UR-1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및 게임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명칭=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 일어판명칭=No.(ナンバーズ)41 泥睡魔獣(ていすいまじゅう)バグースカ, 영어판명칭=Number 41: Bagooska the Terribly Tired Tapir, 속성=땅, 레벨=4, 공격력=21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소재=레벨 4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한다. 제거할 수 없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한\, 이 카드는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상대는 이 카드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한\,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는 수비 표시가 되고\, 수비 표시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는 무효화된다.)] >'''깊게 잠을 자는 마수.''' >'''업어가도 모르게 곯아떨어졌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의 [[플레이버 텍스트]].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2017]]에서부터 등장한 OCG 오리지널 [[No.|넘버즈]] 카드이다. 이 카드는 전체적으로 수비 위주의 덱에 특화된 효과를 갖고 있으며, 수비 위주 역할로 제작된 몬스터 카드인데도 수비력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좋지 않은 수비력이라는 결점을 막강한 효과로 만회하는 카드이다. 모든 효과는 엑시즈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효과라 묘지에서 되살려도 효과를 온전히 쓸 수 있으며, 지속 효과이기 때문에 퍼미션으로 막는 것도 쉽지 않다. 대신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은 [[효과 외 텍스트]]이기에 이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①의 효과는 공격 표시일 때 대상 지정 효과 및 파괴 내성을 갖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내성 자체는 훌륭하지만 공격력이 애매해서 내성을 살리지도 못하고 전투로 터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대의 견제를 피해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뽑는 등의 상황이 아니라면 2번 효과를 중점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②의 효과는 수비 표시일때 필드에 있는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강제로 고정시키고, 수비 표시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무효화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이다. 피아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스텀블링 덱의 주축인 [[드림 삐에로]]나 블레이드 래빗의 효과를 쓸 수 없으며, [[스킬 드레인]]과는 다르게 수비 표시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하기 때문에 코스트로 자기 자신을 릴리스 하는 등으로 필드에서 벗어나도 효과는 무효화된다. [[링크 몬스터]]는 수비 표시라는 개념이 없기에 이 카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링크 몬스터 덱 중에서도 [[샐러맨그레이트]]처럼 메인몬스터가 필드가 아닌 패, 혹은 묘지에서 효과를 주로 발동하는 덱과 궁합이 좋다.[* 필드에서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는 주로 이 카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링크몬스터들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수비 표시일 때는 효과 내성이 없어 효과에 제거되기 쉽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마법 / 함정 효과는 막지 못하니 [[무한포영]], [[금지된 일적]] 같은 범용 마법 / 함정 카드 역시 언제나 경계해야 한다. 또한 이 카드가 무효화하는 것은 발동하는 효과뿐이므로 이 카드와 같이 지속 효과를 가진 카드, 예를 들어 [[초중무사]] 같은 몬스터에게는 허무하게 당한다. 때문에 수비력 락 위주의 덱에 채용하는 것이 좋다. 이 카드는 랭크 4 [[엑시즈 소환]] 덱에 필수적으로 투입해도 좋을 만한 강력한 몬스터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링크 몬스터에게는 적용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필드 몬스터 효과를 한번도 쓰지 않고는 이 카드를 전투 및 효과로 제거할 정도의 능력을 가진 링크 몬스터를 아예 꺼낼 수 없는 덱도 상당히 많기 때문. 이 카드가 수비 표시로 있는 것만으로도 아예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덱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 정도다. 이처럼 강력한 락 효과를 가진 덕에 전개 도중 패트랩을 맞아 전개가 수틀리거나, [[증식의 G]]를 맞았을 때 상대에게 드로우를 최대한 주지 않으려는 상황에서 최소한의 견제를 위해 소환하는, 일명 저점 및 착지점 용도로 가치가 높다. 다만 자신 필드에도 무효화가 미치기 때문에 고점 용도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에스:피 리틀나이트]]의 발매 이후로는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리나로 인해 돌파가 쉬워졌고, 저점 역할도 리나가 잘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니코르의 네크로즈]]가 필드에 있으면 이 카드가 수비표시로 존재해도 다른 수비 표시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다. 이 카드의 효과가 기동 효과만 무효로 하기 때문에, 지속 효과인 유니코르의 네크로즈의 효과는 무효화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필드에 이미 이 카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니코르의 네크로즈가 의식 소환되었을 때에는 유니코르의 네크로즈의 효과를 먼저 적용하여 이 카드의 효과가 무효화된다. 2번 효과의 경우 '''수비 표시__인 몬스터__의 효과를 무효'''가 아니라 '''수비 표시__일 때__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범위가 더 넓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론 파이어 블로섬]]이 자기 자신을 릴리스하고 효과를 발동했다면, 코스트로서 자신을 릴리스 했음에도 발동 시에는 수비 표시였기 때문에 효과 처리시에 묘지에 존재해 표시 형식에 구애받지 않더라도 무효화가 된다. 때문에 스스로를 릴리스하고 카드를 파괴하는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에도 면역이다. 이와 비슷하면서 다르게도, [[스킬 드레인]]은 [[액세스코드 토커]]가 자기 자신을 제외하고 파괴 효과를 발동했다면 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DDD 쌍효왕 칼리 유가]]의 ①의 효과와의 관계가 상당 기간 조정중이었으나 2023년 9월, 칼리 유가는 바구스카의 효과를 무효화하여 공격 표시로 남아 있게 된다는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5&fid=24009&keyword=&tag=-1&request_locale=ja|공식 Q&A(일본어)]]가 발표되었다. 숫자가 [[41]]번이라 그런 것인지 [[4월 1일]]에 공개되었다. 41이라는 숫자는 [[일본어]]로 '요이'라고 읽을 수 있으며 酔い(취함)과 발음이 같다. 코나미식 말장난이 돋보이는 작명센스. 모티브는 [[맥(동물)|맥]][* 일본에서는 맥을 바쿠(バク)로 읽는다.]+술의 [[신]] [[바커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디오니소스]]의 [[라틴어]] 이름이다.]+드르렁거리며 푹 잘 때의 의성어인 구스카(ぐうすか). 해외 수출용 일러스트에서는 대놓고 [[술]]에 취해있는 모습을 보여주긴 어려웠는지 [[병(용기)|술병]] 대신 [[베개]]를 껴안고 있는 걸로 바뀌었다.[* 예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시절에 [[마에다 하야토]]의 아버지가 쓰던 [[밥상 뒤집기|주정뱅이 카드]]가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핫소스]]로 바뀐 적이 있다.] 잠에 취해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고 2번 효과와도 잘 어울려 나름 자연스럽게 바뀌었다는 평도 있다. 영문판 이름도 그에 맞춰 이수마수가 Terribly Tired Tapir[* 해석하면 몹시 피곤한 맥이라는 뜻. 한국어로 라임 살려보자면 매우 맥없는 맥 정도 될듯.]라는 이름으로 번안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심의 때문인지 일본어판도 내수판 일러스트가 아닌 해외판 일러스트를 사용한다. 41번이기 때문인지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2023년 [[만우절]] 이벤트로 바구스카의 프로텍터, 아이콘, 벽지를 판매했으며, 또한 타이틀 화면에도 바구스카가 추가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COLLECTORS PACK 2017]] || CP17-JP042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애니버서리 팩|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4]] || 18SP-JP406 || [[노멀]][br][[슈퍼 레어]] || 일본 || 절판 || || No. COMPLETE FILE -PIECE OF MEMORIES- || NCF1-JP04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절판 || || 덱 빌드 팩 - [[밸리언트 스매셔즈]] || DBVS-JP044 || [[노멀]][br][[패러렐 레어]] || 일본 || ||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2017]] || CP17-KR042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 || CIBR-EN097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 BLRR-EN08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Yu-Gi-Oh! Advent Calendar || AC18-EN021 || [[울트라 레어]] || 미국 || 절판 || || Maximum Gold: El Dorado || MGED-EN090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