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너럴 모터스)] [include(틀:토요타 그룹)] [[파일:NUMMI 로고.jpg|width=700]] '''New United Motor Manufacturing, Inc.'''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와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토요타]]가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유지했던 합자 기업이었다. == 역사 == === 1984년 이전 === [[파일:GM 프리몬트 공장.jpg|width=700]] 원래 NUMMI가 위치하던 [[캘리포니아 주]] 프리몬트 공장은 [[1962년]]에 [[제너럴 모터스]]에서 지은 공장이었으며, 설립 이전에는 [[미국]]에서 가장 생산성이 낮은 공장이기도 했고 직원들의 근무 태도 역시 [[현대차 노조|이들 저리 가라 할 막장 행각들이 많아]][* 일례로 도어 패널에 빈 코카콜라 병이 발견된다던가 하는 일이 있었다. 1970년대 들어 쉐보레 베가의 생산라인을 짤 때 신입 근로자들을 고용했으나 근무조건이 너무 악조건이라 파업이 빈번하게 벌어지는 등, 1970년대부터 GM에서는 노사관계가 악화되는 조짐을 보였다.] 소비자들의 불만을 샀고, 여기에 경영진들의 몰이해까지 겹치면서 결국 [[1982년]]에 폐쇄된 이력을 가지고 있었다. === NUMMI (1984~2010) === [[파일:NUMMI 공장.jpg|width=700]] [[1984년]] 12월에 노란색 5세대 [[쉐보레 노바]]가 처음 생산되면서 시작되었다. [[제너럴 모터스]]에서는 [[토요타]]를 통해 린 생산방식을 들여오려고 했고, 토요타는 [[미국]]이 [[일본]]차에 대한 수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북미 시장에 기지를 마련하면서 자신들의 생산 방식을 [[미국]] 노동 시장에 적용하려는 [[동상이몽|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로 인해 GM의 직원들이 [[아이치 현]] [[토요타시|토요타 시]]에 위치한 타카오카 공장을 방문한 후 [[미국]]으로 돌아와 NUMMI와 여러 공장[* 일례로 [[새턴(자동차)|새턴]] 차량들을 만들었던 [[테네시 주]]의 스프링 힐 공장이라던지.]에 새로운 생산방식을 적용해 나갔다.[* 부분적으로는 잭 스미스 사장이 이 프로그램을 주도했다고 한다.] 공장의 크기는 축구장 88개와 맞먹는 규모였다고 한다. 핵심 건물은 차량의 최종 의장을 거치는 곳으로 활용되었고 이외에도 범퍼, 계기판 및 실내 패널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공장, 철제 부품 제조 공장, 차체 조립 공장, 승용차용 도장 공장 및 픽업트럭용 도장 공장을 갖추고 있었다. 직원의 경우 초반 20개월 간은 2,200명 정도였다고 추정하는데, 이 중 85%가 이 공장에서 원래 근무하는 인원이었다고 한다. [[2006년]]에는 5,500명이, 해체 직전에는 4,700명 가량이 근무하고 있었다고 한다. [[1988년]] 생산률은 58.6% 가량으로 끌어올렸고, 이후 [[1991년]]에는 흑자로 전환했으며, 차량의 불량 비율 및 근무 만족도도 [[토요타]]와 비슷한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1997년]]에는 357,809대나 되는 차량 및 픽업트럭을 생산하기도 했다. [[2006년]]에 428,633대를 생산하면서 최대치를 찍었다. 하지만 [[1998년]]에도 새로운 생산방식이 잘 적용되지 않았고, 심지어 이곳에서 근무하던 인원이 다른 GM 직원들을 만나면 왕따를 당했다는 언급 역시 존재했다. [[파일:NUMMI 마지막 GM 차.jpg|width=700]] GM이 NUMMI에서 생산한 마지막 차량 [[2009년]]부터 비용 문제가 터지면서 무료 공장 투어를 같은 해 2월을 끝으로 중단했고, 6월에 GM이 파산하면서 이를 운영하기 힘들어져 같은 해 8월 17일에 마지막으로 나온 [[폰티악 바이브]]를 끝으로 발을 뺐다. [[파일:마지막 NUMMI 생산 타코마.jpg|width=700]] 마지막 [[토요타 타코마]]. 이후 [[텍사스 주]] [[샌 안토니오]] 공장으로 이관되었다. [[파일:NUMMI 마지막 차량.jpg|width=700]] 마지막 생산 차량인 [[토요타 코롤라]] 이후 [[2010년]] 3월에 [[토요타]] 역시 공장에서 손을 떼면서 3월 26일에 마지막 타코마가, 4월 1일 오전 9시 40분에 마지막 [[토요타 코롤라]] S 사양이 생산라인을 빠져나오면서 26년 역사의 끝을 맺게 되었다.[* 마지막 생산차량은 [[일본]] [[토요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이후 [[토요타]]의 북미 생산 공장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공장과 [[미국]] [[미시시피 주]] 공장을 위주로 돌아가게 되었다. 해체 후 공구들은 주로 [[토요타]] 북미 지역 공장으로 넘어갔으며, 일부는 공장을 매각한 [[테슬라]]가 가져갔다. 해체 전까지 매주 6,000대 이상을 생산해 약 800만대에 육박하는 차량들을 찍어내기도 했다. 이후 같은 해 5월에 매각된 이후 10월부터 [[테슬라]]에서 이 공장을 활용해 [[테슬라 모델 S]]를 생산하고 있다. 여담으로, GM의 파산이 없었더라면 [[토요타]] 측에서 [[토요타 프리우스|프리우스]]를 [[배지 엔지니어링]]해 생산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이는 GM에서 [[쉐보레 볼트]]를 공개하면서 [[토요타]]에게 한 방 먹인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그랬더라면 [[쉐보레 볼트]]는 개발되지 못했을 것이고 GM의 친환경차 기술이 오히려 [[토요타]]에 종속되는 결과가 나왔을지도 모르고, [[LG화학]]이 개발한 [[리튬 이온 배터리]]는 빛을 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 생산 차종 ==== * 5세대 [[쉐보레 노바]] (1984~1988) * [[토요타 코롤라]] (1987~2010) * [[지오 프리즘|지오/쉐보레 프리즘]] (1989~2002) * [[폰티악 바이브]] (2002~2009) * [[토요타 하이럭스]] (1991~1995) * [[토요타 타코마]](1995~2010) * [[토요타 볼츠]] (2002~2004) [[분류:없어진 자동차 제조사]][[분류:제너럴 모터스]][[분류:토요타 그룹]][[분류:자동차 제조 공장]][[분류:합작법인]][[분류:미일관계]][[분류:1984년 기업]][[분류:2010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