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36|{{{+1 '''NGC 636'''}}}]][br]고래자리의 타원은하||<:> {{{+1 ←}}} ||<:> {{{#000000 {{{+1 ''' NGC 637'''}}}[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NGC 638|{{{+1 '''NGC 638'''}}}]][br]물고기자리의 타원은하 || ||||<-3><:> {{{#FFFFFF {{{+3 '''NGC 637'''}}} }}} || ||<-3> [[파일:herschel-25-NGC-637.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1h 43m 04.0s || || {{{#FFFFFF 적위}}} || +64° 02′ 24″ || || {{{#FFFFFF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7,050 [[광년|{{{#3366aa 광년}}}]][br] 2,16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8.2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4.2' || ||<-2> {{{#FFFFFF '''지름'''}}} || 9.78 [[광년|{{{#3366aa 광년}}}]]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637, [[콜린더 목록|Cr]] 17 || [목차] == 개요 == {{{+1 NGC 637}}} NGC 637은 [[카시오페이아자리]]방향으로 약 7,00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 상세 == 1787년 11월 9일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500만에서 1,00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는 어린 성단이다. 성단에서 겉보기 등급이 10등급이 넘는 별은 5개이며 그중 4개는 전부 세페우스자리 베타 변광성이라고 한다. 작은 규모의 산개성단에서 4개의 세페우스자리 베타 변광성이 발견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런 세페우스자리 변광성 이외에도 1개의 Be형 별 후보가 발견되었고 이 Be형 별은 쌍성계로 구성되어 있을수도 있다고 한다. 500만년에서 1,000만년의 세월을 지나오면서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하며 이때문에 질량분리도 일부분의 별들을 제외하고는 전부 완료되었다고 한다.[* 정확하게는 발견된 성단 내부의 별들중 99%의 질량분리가 완료되었다고 한다.] == 다른 천체 목록 == ||<-5><:> [[콜린더 목록|{{{#FFFFFF '''콜린더 천체'''}}}]] || ||<:> [[Cr 16|{{{+1 '''Cr 16'''}}}]][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Cr 17'''}}}[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Cr 18|{{{+1 '''Cr 18'''}}}]][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관련 문서 == *[[카시오페이아자리]] *[[산개성단]] *[[콜린더 목록]] [[분류:성단]][[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