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77|{{{+1 '''NGC 277'''}}}]][br]고래자리의 렌즈형은하 ||<:> {{{+1 ←}}} ||<:> {{{#000000 {{{+1 ''' NGC 278'''}}}[br] }}}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중간나선은하||<:> {{{+1 →}}} ||<:> [[NGC 279|{{{+1 '''NGC 279'''}}}]][br]고래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3 '''NGC 278'''}}}}}} || ||<-3> [[파일:NGC 278 2.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0h 52m 04.3s || || {{{#FFFFFF 적위}}} || +47° 33′ 02″ || || {{{#FFFFFF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3366aa 카시오페이아자리}}}]]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1.5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SA(s)d형 [[정상나선은하|{{{#3366aa 정상나선은하}}}]] || ||<-2> {{{#FFFFFF '''거리'''}}} || 4,170만 [[광년|{{{#3366aa 광년}}}]][br]1,280만 [[파섹|{{{#3366aa 파섹}}}]] || ||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627±1 km/s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2′.1 × 2′.0 || ||<-2> {{{#FFFFFF '''지름'''}}} || 23,000 [[광년|{{{#3366aa 광년}}}]]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278, [[UGC 목록|UGC]] 528, PGC 3051 || [목차] == 개요 == {{{+3 NGC 278}}} NGC 278은 [[카시오페이아자리]]방향으로 약 3,9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중간나선은하]]이다. == 상세 == 1786년 12월 11일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크기는 약 23,000 광년으로 [[대마젤란 은하]]와 거의 일치하다. 은하 중심에 있는 [[전리수소영역]]을 포함해 중심에서 6,500 광년 이내의 범위에서만 폭발적인 항성생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은하들을 이른바 핵 고리 은하라고 부르는데 대부분의 핵 고리 은하는 [[렌즈형은하]]나 [[타원은하]]에서만 발견되기 때문에 [[나선은하]]인 NGC 278은 매우 특이한 사례라고 한다.] 은하 나선팔 바깥에는 중성수소가스가 100,000 광년의 범위로 넓게 퍼져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과거에 일어난 은하간 합병 때문이라고 추정된다고 한다.[* 크기가 작은 대신 가스가 매우 많이 있는 은하와 충돌하면서 중력 퍼텐셜 에너지가 갑자기 증가되거나 감소되면서 핵 고리 형태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심원천체]]들이 [[성단]]이나 [[성운]]인 것에 비해 거의 유일하다시피한 [[은하]]로 주변에서 발견된 은하들이 없기 때문에 [[처녀자리 초은하단]]에서 고립된 지역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찾는 방법 == [[파일:NGC 278.png]]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지만 W 모양보다 훨씬 남쪽에 있어 오히려 [[안드로메다자리]]에 가깝기 때문에 [[안드로메다자리]]를 기준으로 찾는게 훨씬 더 쉽다. 우선 [[안드로메다은하]]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면 4.22등급으로 빛나고 있는 안드로메다자리 피가 보일 것이다. 안드로메다자리 피에서 북동쪽으로 약 3도정도 이동하면 4.44등급의 안드로메다자리 오미크론이 보이고 거기서 남서쪽으로 약 1도정도 이동하면 6.72등급으로 빛나고 있는 HD 4701이 위치하고 있다. 거기서 다시 남서쪽으로 0.5도 만큼만 이동하면 8.75등급의 HD 4950이 위치하고 있고 그 별 바로 밑에 NGC 278이 위치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카시오페이아자리]] *[[중간나선은하]] *[[허셜 400 천체 목록]] [[분류:NGC]][[분류:은하]][[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