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358|{{{+1 '''NGC 2358'''}}}]][br]큰개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NGC 2359'''}}}[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1 →}}} ||<:> [[NGC 2360|{{{+1 '''NGC 2360'''}}}]][br]큰개자리의 산개성단 || ||<:> [[NGC 2360|{{{+1 '''NGC 2360'''}}}]][br]큰개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NGC 2361'''}}}[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1 →}}} ||<:> [[NGC 2362|{{{+1 '''NGC 2362'''}}}]][br]큰개자리의 산개성단 || ||||<-3><:> {{{#FFFFFF '''NGC 2359'''[br]{{{+3 '''토르의 투구 성운'''}}}[br]Thor's Helmet }}} || ||<-3> [[파일:토르의 투구 성운.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7h 18m 30s || || {{{#FFFFFF 적위}}} || −13° 13.8′ || || {{{#FFFFFF 별자리}}} || [[큰개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전리수소영역|{{{#3366aa 전리수소영역}}}]] || ||<-2> {{{#FFFFFF '''거리'''}}} || 11,960 [[광년|{{{#3366aa 광년}}}]][br] 3,67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1.45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8' X 8' || ||<-2> {{{#FFFFFF '''지름'''}}} || 약 30광년 || ||<-3> {{{#FFFFFF '''명칭'''}}} || ||<-3> 토르의 투구 성운, [[NGC|{{{#3366aa NGC}}}]] 2359, [[Gum]] 4, LBN 227.66-00.09, [[Sh2]]-298, GRS 227.80 -00.20, LBN 1041, [[RCW]] 5 || [목차] == 개요 == {{{+1 토르의 투구 성운/NGC 2359}}} 토르의 투구 성운 또는 NGC 2359는 [[큰개자리]] 방향으로 약 12,000 광년 떨어진 [[전리수소영역]]또는 [[발광성운]]이다. == 상세 == [[윌리엄 허셜]]이 1785년 1월 31일에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위쪽으로 뿔같이 생긴 성운 2개가 있고 중앙에는 구 형태의 성운이 있는 것이 마치 [[토르]]의 투구같이 생겨서 토르의 투구 성운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마치 [[초승달 성운]]처럼 중앙에는 WR7으로 명명된 [[볼프-레이에별]]이 있다. 이 별은 볼프-레이에별중에서는 몸집이 가장 작은 편에 속하지만 밝기는 229,000 태양 광도일 정도로 매우 밝고 뜨거운 항성인데다 1,545km/s이라는 무지막지한 속도로 매년 지구질량의 130배에 달하는 질량을 잃고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WR7이 78,500~236,000년전쯤에 대폭발을 한번 겪으면서 [[볼프-레이에별]]이 되었을 때 방출된 가스들과 주변에 있던 성간가스 및 분자구름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동시에 이온화되었기 때문에 성운의 매우 복잡한 필라멘트가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총 질량은 태양질량의 수백배라고 한다. WR7이 대폭발 전에 [[O형 주계열성]]에서 진화한 [[적색초거성]]인지 [[청색 낙오성]]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이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았다고 한다. 참고로 NGC 2361은 NGC 2359의 세부 성운이며 토르의 투구 본체를 담당하는 구 모양의 성운 위쪽에 있는 어두운 가스구름이다. 주로 검은색이나 붉은색으로 표현되는 편이다. == 찾는 방법 == [[파일:ngc 2359.jpg]] [[시리우스]]에서 북동쪽으로 약 8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캐롤라인의 성단]] 북쪽으로 약 2도정도 이동하면 된다. 8인치 이상의 반사망원경으로 성운이 흐릿하게 보이며 성운의 뿔 부분도 희미하게 보인다고는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엔 그냥 먼지덩어리로 보인다. == 다른 천체 목록 == [include(틀:Gum 천체 목록)] ||
'''{{{#fff NGC 2359의 다른 천체 목록 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297|{{{+1 '''Sh2-297'''}}}]][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298'''}}}[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299|{{{+1 '''Sh2-299'''}}}]][br]고물자리의 발광성운 || ||<-5><:> [[RCW 목록|{{{#FFFFFF '''RCW 천체'''}}}]] || ||<:> [[RCW 4|{{{+1 '''RCW 4'''}}}]][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RCW 5'''}}}[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1 →}}} ||<:> [[RCW 6|{{{+1 '''RCW 6'''}}}]][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5><:> [[Gum 목록|{{{#FFFFFF '''Gum 천체'''}}}]] || ||<:> [[Gum 3|{{{+1 '''Gum 3'''}}}]][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Gum 4'''}}}[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1 →}}} ||<:> [[Gum 5|{{{+1 '''Gum 5'''}}}]][br]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 == 관련 문서 == *[[큰개자리]] *[[전리수소영역]] *[[NGC]] [[분류:성운]][[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