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963|{{{+1 '''NGC 1963'''}}}]][br]비둘기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NGC 1964'''}}}[br]토끼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 {{{+1 →}}} ||<:> [[NGC 1965|{{{+1 '''NGC 1965'''}}}]][br]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3><:> {{{#FFFFFF {{{+3 '''NGC 1964'''}}}}}} || ||<-3> [[파일:NGC_1964_-_Potw1739a.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5h 33m 21.8s || || {{{#FFFFFF 적위}}} || −21° 56′ 45″ || || {{{#FFFFFF 별자리}}} || [[토끼자리|{{{#3366aa 토끼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SAB(s)b형 [[중간나선은하|{{{#3366aa 중간나선은하}}}]] || ||<-2> {{{#FFFFFF '''거리'''}}} || 6,500만 [[광년|{{{#3366aa 광년}}}]][br] 1,990만 [[파섹|{{{#3366aa 파섹}}}]] || ||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1,659 ± 3 km/s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0.8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149,000 [[광년|{{{#3366aa 광년}}}]][br] 45,800 [[파섹|{{{#3366aa 파섹}}}]] || ||<-2> {{{#FFFFFF '''겉보기 크기'''}}} || 5′.6 × 2′.1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1964, ESO 554- G 010, IRAS 05312-2158, PGC 17436 || [목차] == 개요 == {{{+1 NGC 1964}}} NGC 1964는 [[토끼자리]] 방향으로 약 6,500만 광년 떨어진 [[중간나선은하]]이다. == 상세 == 1784년 11월 20일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했으며 [[NGC 1979]], [[IC 2130]] 및 [[IC 2137]]과 함께 NGC 1964 은하군을 이루는 은하중 하나로 은하군에서 제일 밝은 은하이다. 은하 중심엔 2,500만 태양질량의 질량을 가진 [[초대질량 블랙홀]]과 내부 고리가 존재하며 고리 바깥엔 밝은 두 나선팔을 중심으로 여러 소규모 나선팔들이 위치해 있는 구조이며 내부 고리와 가까운 나선팔 부근에선 [[전리수소영역]]이 다수 발견되는 등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나선팔 바깥쪽 부분에선 [[전리수소영역]]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초신성#Ia형 초신성|Ia형 초신성]]인 SN 2021jad가 2021년 4월에 발견되었으며 최대등급은 12.9였다. == 찾는 방법 == [[토끼자리 베타]] 또는 니할에서 남서쪽으로 1도 떨어져 있다. 4인치 정도의 망원경으로는 기상이 매우 좋을 때 나선팔을 희미하게나 관측이 가능하며 8인치 이상의 망원경에선 나선팔을 확실하게 분별할 수 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토끼자리]] * [[중간나선은하]] [[분류:은하]][[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