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364|{{{+1 '''NGC 1364'''}}}]][br]에리다누스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1365'''}}}[br]화로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1 →}}} ||<:> [[NGC 1366|{{{+1 '''NGC 1366'''}}}]][br]화로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NGC 1365[br]{{{+3 '''대막대나선은하'''}}}[br]Great Barred Spiral Galaxy}}} || ||<-3> [[파일:Portrait_of_the_Great_Barred_Spiral.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3h 33m 36.4s || || {{{#FFFFFF 적위}}} || −36° 08′ 25″ || || {{{#FFFFFF 별자리}}} || [[화로자리|{{{#3366aa 화로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R')SBb(s)b형 [[막대나선은하|{{{#3366aa 막대나선은하}}}]] || ||<-2> {{{#FFFFFF '''거리'''}}} || 5,620만 [[광년|{{{#3366aa 광년}}}]][br] 1,720만 [[파섹|{{{#3366aa 파섹}}}]] || ||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1636 ± 1 km/s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0.3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약 219,900 [[광년|{{{#3366aa 광년}}}]]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1.2′ × 6.2′ || ||<-3> {{{#FFFFFF '''명칭'''}}} || ||<-3> 대막대나선은하, [[NGC|{{{#3366aa NGC}}}]] 1365, ESO 358- G 017, VV 825, MCG -06-08-026, PGC 13179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weic2306e.jpg|width=100%]]}}} ||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중적외선 파장에서 촬영한 NGC 1365의 사진 || [목차] == 개요 == {{{+1 대막대나선은하/NGC 1365}}} NGC 1365 또는 대막대나선은하는 [[화로자리]] 방향으로 약 5,620만 광년 떨어진 [[막대나선은하]]이다. == 상세 == [[화로자리 은하단]]에 속해 있으며 길이가 10만 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나선팔로 인해 대막대나선은하라는 별칭이 생겼다. 은하 중심엔 막대구조가 존재하며 그 안엔 대각선으로 기울어진[* 이 까닭은 더 큰 막대구조보다 작은 막대구조가 더 빨리 회전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더 작은 막대구조가 1개 더 존재하며 이는 팽대부 내부에 위치한 항성들의 고유운동 불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팽대부 내부엔 활성 은하핵이 존재하며 그때문에 [[세이퍼트 은하]]로 분류된다. 그 중심엔 200만 태양질량[* 1,000만 태양질량을 가졌다는 정보도 있다,]의 질량을 가진 [[초대질량 블랙홀]]이 발견되었다. 이 블랙홀은 특이하게도 광속의 84%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데 이는 블랙홀 주변의 강착원반이 매우 두꺼운데다 블랙홀에 거의 붙어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팽대부 부근에선 2개의 초발광 자외선 소스(ULX)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1개(NGC 1365 X1)는 250 태양질량을 가지고 있는 [[중간질량 블랙홀]], 나머지 1개(NGC 1365 X2)는 340 태양질량의 [[중간질량 블랙홀]]인 것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막대나선은하의 경우 나선팔에서 별이 활발하게 형성되지 팽대부 부근에선 초대질량 블랙홀 근처를 제외하고는 거의 또는 아예 별 형성이 일어나지 않지만 NGC 1365에선 팽대부 전역에서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는 막대구조에서 항성 질량의 축적 속도가 다른 막대나선은하보다 더 높은 점, 팽대부 전 지역에서 분자운이 생성된 점[* 이는 거대한 나선팔에서 팽대부로 끌여당겨진 성간가스들이 활성 은하핵을 지나면서 가속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등의 복합적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NGC 1365의 중심부분과 팽대부와 나선팔이 만나는 부분에선 젊은 초성단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중 가장 거대한 성단[* 관련 논문에선 C,D 성단으로 명명했다..]은 성단의 추정 질량이 무려 1,000만 태양질량[*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가장 큰 성단인 다섯 쌍둥이 성단이 고작 10,000 태양질량에 불과한 질량을 가지고 있다.]에 이를 정도로 거대한 성단이라고 한다.[* 이 수치가 얼마나 크냐면 우리은하에서 수준급의 크기를 가진 [[용골자리 성운]]내부 성단의 총 질량이 90만 태양질량이며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큰 성운중 하나인 [[독거미 성운]] 내부 성단의 총 질량이 100만 태양질량이다...] 이외에도 크기가 작은편에 속하는 성단[* 관련 논문에선 E,F 성단으로 명명했다.]조차 [[우리 은하]]의 일반적인 구상성단보다 300배는 더 밝다고 한다.[* 하지만 E,F 성단은 활성 은하핵의 가스 유출등으로 인해 방해받아서 별 형성이 감소했다고 한다.] 나선팔에선 상술한 성단들 보단 덜하지만 폭발적인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나선팔 전체에서 중성수소영역과 [[전리수소영역]]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NGC]] * [[화로자리]] * [[화로자리 은하단]] [[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분류: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