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플레이)] ||<-2><#b8b8b8> '''{{{+1 Mylo Xylot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llCDCovers_coldplay_mylo_xyloto_2011_retail_cd-front.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얼터너티브 커버 ▼ [[파일:external/bffc031b459656c63aa51e8d8a399edb3053dbaeb79a360369a37f580c105b14.jpg|width=100%]]}}}}}}}}} || || '''발매일''' ||[[2011년]] [[10월 19일]] || || '''장르''' ||[[팝 록]], [[일렉트로니카]] || || '''재생 시간''' ||44:09 || || '''프로듀서''' ||[[브라이언 이노]], 마커스 드래브스, 대니얼 그린, 릭 심슨 || || '''레이블''' ||[[워너 뮤직 그룹#s-2.3.1|팔로폰 레코드]], [[캐피톨 레코즈]]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4,순위=497,연도2=2015,순위2=283,연도3=2016,순위3=335,연도4=2017,순위4=322)]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113)] 영국의 록밴드 [[콜드플레이]]의 다섯 번째 정규 음반. 앨범의 컨셉은 Mylo라는 소년과 Xyloto라는 소녀가 황량하고 무서운 도시에서 서로를 찾는다는 사랑 이야기다. 앨범이 나왔을 당시 Mylo Xyloto 코믹을 시리즈로 판매했었다. 앨범 수록곡 중 하나인 Hurts like heaven의 유튜브 뮤직비디오가 이 만화의 프리퀄. "콘크리트를 뚫고 자라는 장미" 이미지를 떠올리며 앨범 작업을 시작했고, 이는 수록곡 "Charlie Brown"의 가사로도 등장한다. (Be a bright red rose come bursting the concrete 콘크리트를 뚫고 자라는 선홍색 장미가 되자) 크리스 마틴은 1~3집이 무채색으로 느껴지며 4집 때 색채를 더하고 싶었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5집은 보다 더 화려해졌다. 네온사인, 그라피티, 2011년 마드리드 공연에서 첫 사용한 LED 팔찌 "자일로밴드"까지. 그야말로 색채의 향연이다. 제목인 Mylo Xyloto(마일로 자일로토)는 "코카콜라, 구글, 유튜브가 그러하 듯, 다른 무엇도 아닌 이 앨범만을 뜻하는 단어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팝 음악적인 분위기를 받아들였으며 신디사이저의 사용이 대폭 증가되어 사운드의 변화가 눈의 띈다. 전자음을 사용한 [[일렉트로니카]] 사운드가 주를 이루기도 한다. 콜드플레이 초기의 서정적인 [[얼터너티브 록]] 스타일은 희미해지고 화려하고 밝은 사운드가 돋보인다. 발매한 2011년 10월부터 이듬해인 2012년 10월까지 1년간 누적판매량은 약 800만 장으로 상업적으로 굉장히 성공한 앨범이다. 대한민국에선 가온 차트 기준 8,102장이 팔렸다. UK 차트와 [[빌보드 200]]을 합쳐 약 21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적 밴드로서의 상업적 성공을 거둔다. 비록 전작인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의 대성공에는 못 미치지만 2012 그래미 어워즈 최고 록 퍼포먼스부문, 2013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락 앨범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는 등 나름대로의 성공은 거두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 album=mylo-xyloto, artist=coldplay, critic=65, user=7.3)] 세계 최대 리뷰 집계 사이트 [[메타크리틱]] 점수는 전작들에 비해 눈에 띄게 낮다. 비평가 점수가 65, 유저 점수가 7.3이다.[[http://www.metacritic.com/music/mylo-xyloto/coldplay | ]] 이에 대해선 여러 의견이 존재하는데, 전체적으로 하향평준화된 평을 받았던 3집과 전체적으로 상향평준화된 평을 받았던 4집과 비교했을 때 5집은 평이 비교적 갈리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평은 '''컨셉은 좋은데 곡이 별로고 너무 산만하다''' 라는 것을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서, 앨범의 컨셉을 우선적으로 보는 쪽은 긍정적인 반응을, 앨범은 아무리 그래도 곡이 좋아야지!하는 쪽은 부정적인 반응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힙스터들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피치포크'는 마일로에 콜플 역대 앨범 중 가장 높은 평을 줬다.[* 물론 7점이라 딱히 높은 건 아니지만 피치포크는 자타공인 최고의 명반인 2집에 5.5점을 때리는 대표적인 콜플까 사이트라는 걸 고려하면 상당히 긍정적인 평을 줬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위에서 언급한 '컨셉을 우선적으로 본다'라는 사이트의 대표가 피치포크이기도 하고, 피치포크의 성향이 새로운 시도에 호의적이기도 하며, 일단 브라이언 이노가 꼈다는 것만으로도 점수가 좀 올라갔다(...) ] == 수록곡 목록 == * 01 Mylo Xyloto (0:43) 전작의 'Life in Technicolor'처럼 앨범의 컨셉을 보여주는 인트로격인 곡이다. * 02 Hurts Like Heaven (4:02) ('''싱글''') 다섯 번째로 싱글컷된 곡으로 1번 트랙에서 이어지는 곡. 특히 [[조니 버클랜드]]가 작곡에 상당히 몰두했다. * 03 [[Paradise(콜드플레이)|Paradise]] (4:37) ('''싱글''') * 04 [[Charlie Brown]] (4:45) ('''싱글''') * 05 Us Against the World (3:59) 통기타 보컬 곡 * 06 M.M.I.X (0:49) 다음 노래로 연결되는 인트로 곡이다. * 07 [[Every Teardrop Is a Waterfall]] (4:00) ('''싱글''') * 08 Major Minus (3:30) 네가 하고 있는 행동들을 모두 지켜보고 있는 눈을 조심하라는 내용의 곡. Don't Let It Break Your Heart과 같이 앨범에서 롹킹한 분위기를 담당하고있다. Major Minus가 더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고, 노래 자체의 분위기도 더 무겁다. * 09 U.F.O. (2:17) 통기타 보컬 곡 * 10 Princess of China (3:59) ('''싱글''') 네 번째로 싱글컷되었으며, [[리한나]]가 피쳐링한 곡이다. 2012 제 54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콜드플레이는 이 곡을 공연했다. * 11 Up in Flames (5:19) ('''싱글''') 나머지 MX 앨범 수록곡들이 완전히 만들어 지고 난뒤, 가장 마지막에 녹음된 곡으로, MX의 분위기와는 다르게 엄청 서정적이다.~~보물찾은 기분~~ 라이브 공연때도 볼 수 있지만, 처음으로 전자드럼을 사용하였다. 크리스 마틴의 말로는 모든 것이 끝났을 때, 무언가를 잃은것과 같은 기분을 곡에 반영하였다고 한다. * 12 A Hopeful Transmission (0:33) 다음 트랙으로 연결되는 인트로 곡이다. 노래 이름에 Heart란 단어가 있어서 그런지, 심장박동 소리가 점점 커지면서 절정에 이르는 순간 노래가 넘어간다. * 13 Don't Let It Break Your Heart (3:54) 환상적이고 미래적인 느낌에 가득 젖어있는 곡이며 심장박동 소리로 끝이 난다. 골수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곡인 듯 하다. * 14 Up With the Birds (3:45) 이전 트랙에서 이어지는 곡. 발라드 마냥 잔잔한 분위기에서 갈수록 분위기가 고조되는 나름의 반전이 있는 곡이다. == Mylo Xyloto Tour == [[파일:external/lp4l.files.wordpress.com/mx1.jpg|width=60%]] 2011년 부터 2012년까지 진행됐으며, 3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해 대성공을 거두었다.[* 덕택에 콜플 멤버들은 2012년에 약 700억을 벌어들였다.] 라이브에 대한 평 역시 굉장히 좋았다. 콜드플레이 최고의 투어라고 평가되기도. [[파일:external/i.ytimg.com/298_med_20120907171927.jpg|width=60%]] [[파일:external/content.epixhd.com/Coldplay_Live_2012_wallpapers_183045.jpg|width=60%]] === Live 2012 === [[파일:external/image.melon.co.kr/2195609_org.jpg|width=250]] [[파일:external/www.freecovers.net/big.jpg]] 2012년 11월, 9년만에 [[블루레이]]버전과 [[DVD]]버전, 일반 CD 버전으로 나뉘어서 발매되었다. 주로 파리의 [[스타드 드 프랑스|Stade De France]]에서 했던 공연을 수록하였다. 모국인 영국에서 했던 공연은 Glastonbury에서 했던 공연만 실었다. 일부 팬들은 [[The Scientist]]가 수록되지 않아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The Scientist 라이브 버젼은 Don't let it break your heart 라이브 버젼과 함께 DVD에 포함되있다.] ==== 수록곡 목록 ==== * 01 Mylo Xyloto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5집에서도 그렇지만, 공연을 시작하는 오프닝에 이용되었다. * 02 Hurts Like Heaven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앞에서 공연했던 Mylo Xyloto와 이어진다.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앨범 버젼과는 달리 상당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덕택에 유튜브 댓글창에선 앨범 버젼을 들어내고 이 라이브 버젼을 넣으라는 팬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 03 [[In My Place]]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앞에서 공연했던 Mylo Xyloto, Hurts Like Heaven과 이어진다. * 04 Major Minus (Live At Plaza De Toros De Las Ventas, Madrid - Stade De France, Paris)[* DVD를 보지 않고 그냥 음원을 듣게 된다면 느끼지 못할 수도 있으나, 실제 DVD를 보게 되면 Major Minus 뒷 간주부분은 Plaza De Toros De Las Ventas에서 Stade De France로 넘어간다. 뒷부분의 Yellow와 잘 이어지기 위해서 한 조치인듯 싶다. 여담이지만 Plaza De Toros De Las Ventas에서 한 이 공연은 2011년에 한 것이고, Stade De France에서 한 이 공연은 2012년에 한 것이다. ~~본격 시대를 초월하는 라이브~~] * 05 [[Yellow(Coldplay)|Yellow]]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앞의 Major Minus 끝 부분과 이어진다. 원곡과는 다르게 첫 부분을 피아노반주로 도입을 시작하여 곡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배가했다. 역대 Yellow의 라이브 중 가장 멋진 라이브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 (DVD Only) Violet Hill (Live At La Cigale, Paris) Live 2012 앨범 뒷면에도 표기되어 있지만, 이 음원은 오직 DVD에서만 볼 수 있다. * 06 God Put a Smile Upon Your Face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정적이고 잔잔한 원곡과 달리 파워메탈이 생각날만큼 음악이 스피디하고 헤비해졌다. 꽤 신난다. * 07 Princess of China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앞의 Got Put a Smile Upon Your Face에서 이어지며 리한나가 직접 공연에 참여한다. * 08 Up In Flames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앞 곡 Princess of China과는 이어지지 않는다. * 09 [[Viva la Vida(콜드플레이)|Viva La Vida]] (Live At Glastonbury Festival, England) 이 앨범에서 관객의 호응과 떼창이 가장 최고조에 이르렀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떼창이 장난이 아니다. ~~그 떼창을 유도하는 윌 챔피언은 죽을맛~~ BBC에서 중계했던 버젼은 무슨 이유에선지 크리스의 목소리가 초반에 잘 들리지 않아서 팬들이 꽤나 실망했었는데, 다행히 이 라이브 앨범에선 정상적인 상태로 수록되었다. * 10 [[Charlie Brown]]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 11 [[Paradise]]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기존 Paradise의 도입부와는 다르게 피아노 반주로 도입부를 시작하여 Charlie Brown의 마지막인 피아노 반주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곡이다. 역시 뮤비의 코끼리탈을 쓰고 온 사람이 존재하며, 후에 크리스 마틴이 마지막에 떼창을 유도하기도 한다. 그리고 유튜브에서 콜드플레이 라이브 영상 중 이 라이브 영상이 조회수가 가장 많다. * 12 Us Against the World (Live At Bell Centre, Montreal) 윌 챔피언의 생일때 했던 라이브로, 이때 DVD에서는 멤버들이 윌 챔피언을 위해 생일 축하 노래를 불러준다. 본 무대가 아니라 관객들이 붐빈 곳에 작은 공간을 만들어 부르는게 특징, 그래서 DVD에서는 멤버들이 전 곡을 끝내고 허겁지겁 차를 타고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13 [[Clocks]] (Live At Bell Centre, Montreal) 앞의 Us Against The World를 부르고 아래의 본무대로 내려와 한 공연이다. * 14 [[Fix You]]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마지막 부분의 떼창이 인상적인 곡. ~~곡 자체가 매우 좋은 것도 그렇지만~~ * 15 [[Every Teardrop Is a Waterfall]] (Live At Stade De France, Paris) Fix You 이후 바로 이어지며, MX 투어의 마지막을 장식한 곡이다. 사실 분위기상 클로징에 가장 적합한 곡이기도. [[분류:콜드플레이/음반]][[분류:2011년 음반]][[분류:영국의 일렉트로니카 음반]][[분류:팝 록]][[분류:빌보드 1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