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승환의 앨범)]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ystory.jpg|width=100%]]}}} || ||<-2><#16131e><:> {{{#c3212e '''이승환 3집[br]{{{+1 My Story }}}'''}}} || || '''발매일''' || [[1993년]] [[9월]] || || '''녹음''' || 서울스튜디오·BAY스튜디오 || || '''레이블''' || 우리기획, YBM서울음반 || || '''매니지먼트''' || 우리기획 || || '''프로듀서''' || '''[[이승환]]''' || == 개요 == 이승환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이다. 타이틀 "내게"보다는 "덩크 슛"이 더 인기를 끌었고, "화려하지 않은 고백"의 꾸준한 인기로, 100만장 넘게 판매되었다. == 상세 == 이승환이 어머니를 여읜 후 제작한 앨범으로 재킷 디자인과 트랙의 정서에서 이전의 이승환보다 무겁고 진중한 감성을 드러낸 앨범이다. 1, 2집은 전형적인 80년대~90년대 초반 스타일 발라드[* [[015B]]과 비슷한 풍 ]인 반면, 3집부터는 전형적인 아이돌식 발라드 + 락발라드가 특징. 음악적으로는 [[015B]]의 [[정석원(음악인)|정석원]]과 호흡을 맞추기 시작한 앨범으로 정석원은 특유의 도회적 세련미를 이승환의 음악에 더해 주었다. 또한 이듬해 이승환이 프로듀싱해서 데뷔시킨 [[더 클래식]]의 두 멤버([[김광진(가수)|김광진]], 박용준)를 처음으로 기용한 앨범이기도 하다. 그리고 시리어스한 록 넘버 '무너져 버린 믿음 앞에서'와 웅장한 마무리로 전개되는 '내게'와 'Radio Heaven' 등의 트랙에서 4집에서 이뤄지는 이승환의 변신의 전조를 느낄 수 있기도 하다. 마지막 트랙 '내 어머니'는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사모곡이다. == 트랙리스트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MY STORY || 이승환 || 박용준 || - || || 2 || '''[[내게]]'''^^{{{#red TITLE}}}^^ || [[김광진(가수)|김광진]] || 김광진 || [[김현철(가수)|김현철]] || || 3 || 잃어버린 건... 나 Part Ⅲ[* 파트 I과 II는 이오공감 앨범에 수록] || 이승환 ||<|2> 이승환 || 서재형 || || 4 || 남자는? 여자는?(feat. [[김문선]]) || 이승환, 김은선 || 박용준 || || 5 || 너의 기억 || [[정석원(음악인)|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6 || 무너져버린 믿음 앞에서 || 이승환 || 이승환 || [[조규만]] || || 7 || 사랑에 관한 충고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8 || [[덩크 슛(이승환)|Dunk Shot]] ||<|2> 김광진 ||<|2> 김광진 || 김현철 || || 9 || Radio Heaven || 박용준 || || 10 || [[화려하지 않은 고백]] || [[오태호]] || 오태호 || 손진태 || || 11 || 내 어머니 || 이승환 || 박용준 || 박용준 || [[분류:1993년 음반]][[분류:이승환/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