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디오헤드)] ---- [include(틀:The Bends)]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4510)] ---- ||<#000><-2> '''{{{+1 My Iron L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HK67LiMI8k,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94년]] [[9월 26일]] || || '''앨범 발매일''' ||[[1995년]] [[3월 13일]] || || '''녹음일''' ||[[1993년]] - [[1994년]]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메탈(음악)|메탈]] || || '''러닝 타임''' ||3:54 || ||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존 레키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em" [[The Bends|{{{#CF2E25 '''The Bends'''}}}]]}}}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yironlung.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RU-6vaKaf4,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7GZybBdYbA, height=200)]}}} || || '''공식 뮤직비디오''' || '''1994년 MTV 어쿠스틱 라이브''' || 1995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2집 [[The Bends]]의 여덟 번째 트랙으로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EP [[My Iron Lung]]의 1번 트랙으로 수록되기도 했다. == 상세 == 우울한 멜로디로 시작하여 자전적이고 시니컬함의 극치를 달리는 가사가 일품인 곡. [[Pablo Honey]]의 [[Creep]]으로 스타덤에 올랐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원 히트 원더]]의 취급을 받던 본인들에 대해 냉소적으로 묘사한 노래다. 라이브에서 녹음한 곡을 그대로 사용했고, 이후 보컬만 따로 녹음해서 합친 것이다. Iron Lung (철폐)은 인공호흡기가 개발되기 이전인 1950년대까지 쓰였던 호흡 보조 기구로[* 소아마비가 기승을 부리던 1950년대의 병원에는 이 기구들이 널려있었다. 현재 철 폐를 사용하는 경우는 더딘 치료 속도로 인해 사실상 없지만, 소아마비 호흡기 후유증을 앓는 극히 일부의 사람들이 여전히 사용한다. [[https://m.youtube.com/watch?v=gplA6pq9cOs&feature=youtu.be|#]] 또한 [[코로나19]] 환자 폭증으로 인한 인공호흡기의 부족으로 수요가 잠시 증가하었다.], [[MRI]]를 연상시키는 거대한 공기 탱크 속에 환자를 눕히면 탱크 내부의 기압 차를 이용해 폐를 강제로 부풀리면서 호흡하게 하는 보조기구이며, 한 번 사용하면 거대한 기구 부피의 특성상 환자의 호흡기가 회복되기 전에는 그 기구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를 토대로 해석하자면 [[Creep]]이 밴드를 (재정적으로) 살아있게 하는 동안에도 매우 제약이 심했고 그것이 특정 스타일의 음악을 연주하도록 강요한다는 것이다. == 가사 == ||<-2><#000000> ---- {{{+2 '''{{{#CF2E25 My Iron Lung}}}'''}}} ---- Faith, you're driving me away 믿음이여, 너는 나를 몰아내 You do it everyday 매일 그러더구나 You don't mean it 의도한 건 아니라지만 But it hurts like hell 끔찍하게 아파 My brain says I'm receiving pain 내 뇌는 아픔을 느끼고 있다고 말해 A lack of oxygen 산소가 부족한 From my life support 내 생명 유지 장치 My iron lung 내 강철 폐 We're too young to fall asleep 우린 잠들기엔 너무 어리고 Too cynical to speak 말하기엔 너무 시니컬해 We are losing it 우린 미쳐가고 있어 Can't you tell? 모르겠니? We scratch our eternal itch 우린 영원히 가려운 부위를 긁어 A twentieth century bitch 20세기의 개년 And we are grateful for 그리고 우린 감사해하지 Our iron lung 우리의 강철 폐에게 The headshrinkers, they want my everything 정신과 의사들, 그들은 내 모든 걸 원해 My uncle Bill, my Belisha beacon 나의 빌 삼촌, 벨리샤 신호등 The headshrinkers, they want my everything 정신과 의사들, 그들은 내 모든 걸 원해 My uncle Bill, my Belisha beacon 나의 빌 삼촌, 벨리샤 신호등 Suck, suck your teenage thumb 빨아, 너의 10대 엄지를 빨아 Toilet trained and dumb 대소변은 가리는 바보 When the power runs out 전원이 꺼지면 We'll just hum 우린 그냥 흥얼댈거야 This, this is our new song 이건, 이건 우리의 새 노래 Just like the last one 저번 노래랑 똑같이 A total waste of time 완벽한 시간 낭비지 My iron lung 나의 강철 폐 The headshrinkers, they want my everything 정신과 의사들, 그들은 내 모든 걸 원해 My uncle Bill, my Belisha beacon 나의 빌 삼촌, 벨리샤 신호등 The headshrinkers, they want my everything 정신과 의사들, 그들은 내 모든 걸 원해 My uncle Bill, my Belisha beacon 나의 빌 삼촌, 벨리샤 신호등 And if you're frightened 만약 겁을 먹었다면 You can be frightened 겁먹어도 돼 You can be, it's OK 그래도 괜찮아 And if you're frightened 만약 겁을 먹었다면 You can be frightened 겁먹어도 돼 You can be, it's OK 그래도 괜찮아 The headshrinkers, they want my everything 정신과 의사들, 그들은 내 모든 걸 원해 My uncle Bill, my Belisha beacon 나의 빌 삼촌, 벨리샤 신호등 The headshrinkers, they want my everything 정신과 의사들, 그들은 내 모든 걸 원해 My uncle Bill, my Belisha beacon 나의 빌 삼촌, 벨리샤 신호등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Bends.png|height=3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Bends, version=237)] [[분류:The Bends]][[분류:라디오헤드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