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마이 차일드 레벤스보른}}}'''[br]'''My Child Lebensbor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y Child Lebensborn.jpg|width=100%]]}}} || || '''개발''' ||Teknopilot, Sarepta Studio || || '''유통''' ||Sarepta Studio, East2west Games || ||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height=16]]]] | [[iOS|[[파일:iOS 로고.svg|height=16]]]] |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 '''ES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험블 번들|[[파일:험블 번들 로고.svg|height=16]]]] | [[Google Play|[[파일:Google Play 로고.svg|height=16]]]] | [[App Store|[[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16]]]] |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 '''장르''' ||[[육성 시뮬레이션]] || || '''출시''' ||'''Android'''[br][[2018년]] [[5월 8일]][br]'''iOS'''[br][[2018년]] [[5월 18일]][br]'''PC / PS4 / XBO / NS'''[br][[2021년]] [[6월 1일]] || || '''엔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20]]]]}}} || || '''한국어 지원''' ||지원[* 이 게임이 나왔을 때 한국에서 뉴스 기사가 나와 관심을 받게 되면서 개발사에서 감사 메시지를 보냈고, 추가 로컬라이제이션 언어 중 한국어가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2/?n=82740|최우선 순위]]로 오르게 되었다. 2019년 2월 26일 한국어 패치가 [[https://www.thisisgame.com/webzine/game/nboard/225/?n=91647|적용]]되었다.]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 ||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Teen.svg|width=16]] '''{{{#000000,#dddddd ESRB T}}}''']][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2.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2}}}''']][br][[소프트웨어 심의 등급 기관|[[파일:USK 12 로고.svg|width=16]] '''{{{#000000,#dddddd USK 12}}}''']] || || '''관련 페이지''' ||[[https://mychildlebensbor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1DluhKM-bd6SmMGiHzoHQ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arepta.MyChildLebensborn|[[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height=22]]]] [[https://apps.apple.com/kr/app/my-child-lebensborn/id1298544927|[[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22]]]]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114070/My_Child_Lebensborn|[[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의 테크노필롯(Teknopilot)과 사렙타 스튜디오(Sarepta Studio)[* [[https://en.wikipedia.org/wiki/My_Child_Lebensborn|위키백과]]에는 테크노필롯이라고만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알 수 없다.]에서 만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https://www.thisisgame.com/webzine/game/nboard/16/?n=82530|기사]] == 발매 전 정보 == 엘린 페스퇴이(Elin Festøy)가 [[레벤스보른]]에서 태어난 아이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준비하던 중 2015년 초 이 게임에 대해 구상을 시작했고, 이후 이미 [[육성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있던 지인인 카타리나 듀 뵐러(Catharina Due Bøhler)를 만나 이 게임을 만들게 되었다. 다큐멘터리 말고 게임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게임이 젊은 층에게 다가가기 쉬웠기 때문이다.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1/?n=72097|기사]],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1/?n=82723|기사 2]] [[레벤스보른]] 관련 단체의 지원을 받아 이 게임이 만들어졌다. 레벤스보른에서 태어났다가 전쟁 당시나 종전 후에 [[독일]]로 입양되지 못하고 [[노르웨이]]에 남겨져 멸시와 인종차별의 대상이 되었던, 현 노르웨이 소속의 레벤스보른 출신 사람들의 경험담을 참고했다고 한다. == 특징 == 실제 [[나치 독일]]의 [[레벤스보른]] 피해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스토리가 어둡고 슬픈 내용이 위주로 진행되며, 일반인이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소재들이 많이 있는데다가[* 현실에서도 흔하게 벌어지는 일 중 하나인 [[학교폭력]], [[한부모 가정]]과 [[미혼모]], [[저소득층]]에 대해 현대 사회에서 알게 모르게 행해지는 비난과 멸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침략으로 식민지배를 받게 된 [[노르웨이]]에서 시행된 [[레벤스보른]] 프로젝트를 통해 [[원하지 않는 임신]]으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난 뒤 [[식민지]] 상태를 벗어나 해방된 국가에서 자신의 [[출생의 비밀]]도 모른 채 하루아침에 [[고아]]가 된 이 아이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플레이어에게 게임 도중 던지며 생각해 볼 거리를 제공한다.] 엔딩 역시 다른 [[육아물]] 게임과 다르게 [[새드 엔딩|절대 해피 엔딩으로 끝나지 않는다]]. 실화를 바탕으로 해서 그런지 끝까지 암울한 분위기이다. 전쟁 이후 [[노르웨이]]에서 주인공은 [[레벤스보른]]으로 태어난 아이(아버지는 독일 군인, 어머니는 노르웨이 여자)를 입양해 기르게 된다. 이로 인해 아이는 [[학교]] 등지에서 심각한 [[집단괴롭힘|따돌림]]에 시달리는데,[* [[학교폭력]]과 [[왕따|따돌림]]에 시달리는 아이의 불안한 정신상태를 표현하는 그림들이 종종 나올 정도이다.] 플레이어는 이런 선택들에 맞서 현명한 처신으로 아이를 길러 나가야 한다. 실제 경험담을 참고하여 만들어진 게임인데다 부정적인 전쟁의 이면을 반영한 게임이기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육아물]] 계열의 게임과는 분위기가 전혀 다르며[* 일단 주변 사회와 학교에서의 소외와 사회적 폭력에 시달리는 아이를 돌보는 게임이다보니(…) 선술했듯이 분위기가 여타 [[육아물]] 게임과 달리 우중충한 편이다. 심지어 [[학교폭력]]을 당하고 온 아이가 '왜 사람들이 절 싫어하는 거에요?' 라고 울면서 진지하게 물어보는 장면도 나온다.] 말 그대로 가볍게 육아물 게임을 진행하듯 플레이하기엔 꽤 힘든 게임이기도 하다.[* 아이에게 돌려줘야 하는 플레이어의 반응 하나하나에 아이들의 반응이 다양하게 갈리는데 여기서 선택을 잘못하면 소위 말하는 지뢰 루트를 타기가 쉽다. 근데 선택지들(특히 아이가 [[학교폭력]] 당한 후의 선택지들)이 그냥 다음 장면 보겠답시고 마구잡이로 택하기엔 조심스러운 내용이 제법 있기에 (가령 [[집단괴롭힘]]에 시달려 등교를 거부하는 아이에게 해줄 말을 선택지로 고를 때도 선택지 하나하나마다 어조나 분위기가 확연히 차이난다) 잘 선택해야 한다.] 이 게임을 플레이한 사람들이나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들에 의하면 중반부에 갈수록 분위기가 어두워져서 눈물이 나와 도저히 못 하겠다는 평이 많다. [[학교]]에서의 친구들의 [[왕따]]와 특히 후반부에서 친척들에게 욕을 먹는 장면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안타까움과 여운을 느끼게 하며 [[부모]]의 보살핌 없이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슬픈 일인지 알 수 있다. 이 게임이 왜 이렇게 만들어진 이유를 추론해보면 1939년에서 1945년까지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그 이후 현재에 살아가는 우리는 이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와 더불어 [[한부모 가족]]과 [[미혼모]]는 문제가 있는 게 아닌 그들도 엄연한 사회 구성원이자 인격을 가진 인간이기에 [[차별]]하거나 [[혐오]]하면 안된다라는 스토리 전체에 전반적으로 깔려 있는 주제의식이기도 하다. 배경년도가 [[1951년]]이라서 [[한반도]]에서 벌어진 [[6.25 전쟁]]이 나온다. [[https://www.thisisgame.com/webzine/game/nboard/16/?n=82530|기사]]. 직접적인 언급은 없고, [[미군]] 전투기가 한반도 하늘에서 [[중공]]군과 공중전을 벌였다는 식의 신문 기사로 짧게나마 다루었다. 2019년 4월 14일 2018 [[BAFTA]]에서 게임상을 수상했다.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25607|기사]] [[BAFTA]]에서 게임상을 수상한 이후 [[Google Play]]가 [[나치]]를 비판하는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나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는 이유로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랑스]]에서 게임을 내렸다. [[https://en.wikipedia.org/wiki/My_Child_Lebensborn|위키백과]],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63/?n=106273|기사]] 2022년 3월에 [[Google Play]]에서 기간 한정 무료 배포되었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주요 등장인물 === * 주인공 클라우스/카린을 입양해서 키우는 보호자. * 클라우스/카린 플레이어는 남자 아이인 [[클라우스]]와 여자 아이인 [[카린]] 둘 중 한 명을 선택해서 키우게 된다. [[나치 독일]]의 [[레벤스보른]] 프로젝트에 의해 태어난 아이. 1944년생이다. 아버지가 나치 독일의 군인이었다는 이유로 사는 곳에서 온갖 차별과 폭력을 당한다. 아이는 그런 환경 속에서 점점 세상을 믿지 못하게 된다. === 학교 === * 리브 클라우스/카린이 학교를 다니기 전까지는 클라우스/카린의 친구였으나 이후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의 [[집단괴롭힘|괴롭힘]]에 동조해 클라우스/카린과 절교한다.[* 그러나 게임 후반부에서 클라우스/카린에게 비밀 친구로 지내자고 한다.] * 한센 클라우스/카린의 담임[[교사]]. 클라우스/카린을 싫어하며, 반 아이들 전체에게 클라우스/카린이 '독일 아이'라고 말하거나, 역사 수업 시간에 클라우스/카린을 벌세우며 [[나치식 경례]]를 시킨다.[* 한글판에선 [[한센]]이 클라우스/카린에게 단순히 손을 들고 서 있게 했다고만 나와 의미를 완벽히 살리지 못했다.] 담임교사라는 인간이 이 모양이니 학교 아이들 역시 거리낌없이 클라우스/카린을 괴롭히는 듯하다. * 베르그(버그)[* 모바일판 공식 한글번역 기준 ‘버그’라는 영 좋지 못한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클라우스/카린이 다니는 학교의 임시 [[교사]]. 클라우스/카린이 다른 아이에게 괴롭힘을 받을 때 도와주고, 클라우스/카린이 공부에 열의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결국 임시 교사이기 때문에 학교를 떠나게 된다. * 솔헤임 클라우스/카린이 다니는 학교의 임시 [[교사]]. 클라우스/카린에게 [[아동 학대|폭력을 휘두르는]] 막장 교사.[* 게임의 최후반부에서 아이가 그린 그림에는 손 세 개가 그려진 솔하임이 [[아동 학대|아이를 해코지 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후 아이는 식사와 목욕, 공놀이 등 대부분의 활동을 거절하며 무슨 일이 있는지 물어보면 아무 일도 없었다고 말하며 자신을 내버려 두라고 말한다. 목욕을 거부한다는 점, 원래는 아이를 쓰다듬으면 안정감 수치가 올라가는데 솔하임과 있었던 어떤 사건 이후로는 머리를 쓰다듬는 것도 거부하고 오히려 억지로 만지려고 하면 안정감 수치가 떨어진다는 점, 그리고 결정적으로 제작자의 [[성폭력]]에 대해서는 묘사하기 정말 힘들었다는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25607|인터뷰]]를 보면 [[아동 성범죄|그가 한 짓은 아마도...]]] === 클라우스/카린의 가족 === * 하인츠 플라이셔 클라우스/카린의 아버지.[* [[독일]] 드레스덴 근처의 마을에 있는 아버지의 빵집에서 일하다 군대에 끌려가 [[노르웨이]]에 배치되었고, 그곳에서 시리(클라우스/카린의 어머니)를 만났다. 당시 19살이었으며, 엔(클라우스/카린의 이모)의 언급에 의하면 시리를 진심으로 아꼈다고 한다. 주인공이 클라우스/카린의 친조부모에게 보낸 편지에 답장하며, 자신은 결혼해 두 아들을 두었고 클라우스/카린이 자신의 가족에게 연락하지 않는다는 조건(아내와 두 아들은 클라우스/카린의 존재를 모르는 듯하다)으로 부모님이 클라우스/카린에게 남긴 유산을 전해준다.] * 시리 폘비크 세임 클라우스/카린의 어머니. 게임 초반부 주인공의 언급을 보면, 전쟁 후 레지스탕스 출신의 남자와 결혼했고 주인공에게 다시는 아이 관련으로 자신에게 연락하지 말라고 한 걸 보아 남편은 그녀의 과거와 클라우스/카린의 존재를 모르는 듯하다.[* 주인공의 편지에 처음에는 다시 편지를 보내지 말라고 하지만, 크리스마스 즈음에 마음이 누그러졌는지 부모님께 대신 연락해 보라는 편지를 보낸다.] * 친조부모 [[하인츠]]의 부모님. 이름은 [[빌리]]와 하넬로레 플라이셔이다.[* 클라우스/카린이 게임 초반에 나이든 여성을 그리며 이분이 'Oma(영어 버전에서는 Ommi)'고 자신에게 매우 잘 대해주었다고 하는데, Oma는 [[독일어]]로 할머니를 뜻하며 클라우스/카린이 아주 어릴 적 빌리와 하넬로레에게 키워진 적 있기 때문에 그들을 기억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게임 시점에는 두 분 다 죽었다고 하며, 클라우스/카린을 위해 유산을 남겨두었다.] * 외조부모 시리의 부모님.[* 게임 중반에 주인공와 클라우스/카린이 엔(클라우스/카린의 이모)의 초대로 외조부모의 집에 방문하는데, 클라우스/카린에게 폭언을 쏟아붓고 다시는 찾아오지 말라는 엄포와 함께 결국 주인공와 클라우스/카린을 쫓아낸다.] * 엔 클라우스/카린의 이모.[* 부모님과 반대로 그나마 클라우스/카린에게 친절하며, 아버지의 서재에서 발견한 클라우스/카린의 출생과 관련된 서류들을 주인공에게 전달해 준다.] == 설정 == === 시간 유닛 === 하루는 7유닛[* 아침 2유닛, 정오 2유닛, 저녁 2유닛, 밤 1유닛.]으로 나뉘어 있으며, 그동안 아이를 돌보고 각종 집안일을 해야 한다. 다양한 일에 드는 유닛의 수는 다음과 같다. * 유닛 필요없음: 아이 세수시키기, 아이 쓰다듬어주기,[* 아이가 웃으면서 안정감 수치가 올라간다.][* 솔하임과의 사건 이후 아이를 쓰다듬으면 제발 만지지 말라고 하며 안정감 수치가 오히려 내려간다.] 상점에서 물건 사오기, 아이 등교시키거나 공장까지 걸어가기, 앨범/일기장/문서 읽기, 아이의 질문 대답하기,[* 아이가 아무리 수다를 떨어도 시간 유닛이 소요되지 않는다.] 아이의 학교 과제 도와주기[* 아이가 학교에서 배운 것을 복습한다고 주인공에게 물어보는데, 아직 1학년이라 그런지 질문이 쉬운 편이다.] * 1유닛 소요: 대부분의 과제. 아이 목욕시키기, 아이 놀아주기,[* 초반부에 [[리브]]가 선물한 공으로 노는 것 말고도, 그림을 같이 그리거나 숨바꼭질을 할 수도 있다. 놀아주면 아이의 안정감 수치가 올라간다.] 잠들기 전 아이에게 동화책 읽어주기,[* 역시 아이의 안정감 수치가 올라간다.] 요리하기, 밥 먹이기,[* 단 1요리 먹이기 당 1유닛이 아니라, 1유닛 동안 원하는 만큼 아이를 먹일 수 있다.] 신문/편지 보기,[* 이 역시 제 아무리 많은 신문/편지가 쌓여도 1유닛 동안 다 볼 수 있다.] 숲이나 호수에서 먹을거리 채집,[* 호수에서는 낚싯대가 완성되어야 물고기를 낚을 수 있다. 숲에서 블루베리/버섯을 터치하면 그대로 채집되는 것에 비해, 낚시는 장화...가 걸리기도 하며, 장화를 낚더라도 1유닛이 소모된다. 여담으로 장화가 계속 걸리는 걸 보고 클라우스/카린이 물고기도 신발을 신냐는 드립을 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과제가 있다.[* 만약 주인공이 가방을 사준다면 얼마 후 학교 아이들이 가방을 찢어놓는데, 이를 고치는 데도 1유닛이 소모된다.] * 2유닛 소요: 공장 근무 후 칼퇴,[* 정확히 말하자면 정오 2유닛이 소모되는 거다. 가끔 아침부터 출근할 수 있을 때도 있지만, 그런다고 돈을 더 주진 않는다.] 옷 수선[* 옷감을 찢어진 부분에 대는 데 1유닛, 원상복귀시키는 데 1유닛으로 총 2유닛이 든다. 둘을 한꺼번에 하지 않고 첫번째 단계만 고쳤다가 나중에 마무리해도 된다.] * 3유닛 소요: 낚싯대 만들기[* 이 역시 옷 수선과 비슷한 원리로, 한꺼번에 세 단계를 하지 않아도 된다.] * 4유닛 소요: 목도리 뜨기, 크리스마스 선물로 여우 인형 떠주기, 클라우스/카린이 가져온 나뭇조각으로 나무배 만들어주기, 공장 야간근무[* 돈을 더 준다. 대신 밤에 퇴근하며 아이의 모든 수치가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 장소 === ==== 집 안 ==== * 거실 게임이 시작되는 장소.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창문이 있으며, 창문을 클릭하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편지가 놓이는 탁자가 왼쪽에 있다. 다른 곳에 있어도 스크린 우측 하단의 창문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거실로 바로 갈 수 있다. * 부엌 식탁과 조리대가 있다. 조리대에서는 채집한 재료나 상점에서 산 재료를 요리할 수 있다. 식탁에서는 아이에게 밥을 먹이거나 물건을 수선/제작할 수 있다. * 아이 방 옷장과 침대가 있으며, 아이는 이곳에서 잠을 자고, 그림을 그리거나 공부할 때도 이곳에서 한다. 게임에서 하루를 끝낼 때 아이 방의 침대 옆에 있는 램프의 불을 꺼야 저장된다. * 화장실 세숫대야와 욕조가 있고, 아이를 씻길 수 있다. 만약 빗을 구입한다면 빗으로 아이의 머리 모양을 바꿀 수 있다. * 서재 신문과 그 밖의 편지가 쌓이는 곳. 편지 외에도 일기장과 가족 앨범 등[* 엔이 전해준 클라우스/카린의 출생과 관련된 서류]이 있다. ==== 집 밖 ==== * 공장 주인공이 게임 초반부에 취직하여 출근하는 [[공장]]. 정오에만 근무 시 70코인의 임금을 받을 수 있으며, 초과근무 시 30코인을 더 준다. 그 대신 초과근무 시 아이의 모든 수치가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학교 클라우스/카린이 게임 초반부에 다니기 시작하는 [[학교]]. 클라우스/카린은 학교에 가는 것을 기대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못하다. * 상점 동네 가게. 식료품, 장난감, 가방 등 다양한 물건을 판다. 각 물건의 가격은 다음과 같다. * [[오트밀]] 죽: 15코인[* 죽이 제일 싸지만, 너무 죽만 사서 주다보면 클라우스/카린이 '아무 맛도 안나요' 라면서 불만을 표하고, 그래도 계속 죽만 주면 '다른 음식은 없나요?' 하면서 죽을 거부한다.] * 치즈가 얹어진 빵: 20코인 * 햄/블루베리 잼이 얹어진 빵: 25코인[* 처음에는 햄 빵이 없지만 겨울에는 블루베리 잼이 얹어진 빵을 구입할 수 없고 대신 햄 빵이 등장한다. 겨울이 지나면 두 가지 빵 모두 상점에 존재한다.] * 실레그린[* 절인 [[청어]]와 곡물, 감자, 양파, 당근, 양배추, 순무 등을 넣은 노르웨이 수프]: 25코인[*참고 이걸 바로 아이에게 먹일 수 있는 게 아니라, 집에서 요리를 해야 한다.] * [[대구(어류)|대구]]와 당근, 감자 요리: 45코인[*참고] * 청어와 당근, 감자 요리: 45코인[*참고] * 생선 푸딩과 당근, 감자 요리: 50코인[*참고] * 머리빗: 50코인 * 케이크 재료: 60코인[*참고] * 소시지와 콩, 감자 요리: 70코인[*참고] * 햄과 감자, 순무 요리:80코인[*참고][* 크리스마스에 특별 세일으로 50% 할인한다.] * 햄과 양배추, 감자 요리: 90코인[*참고] * 여우 인형 키트: 140코인[*참고2 키트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완성품이 아니라 집에서 제작을 완료해야 한다.] * 목도리 키트: 150코인[*참고2] * 트럭 장난감: 170코인 * 인형: 180코인 * 책가방: 200코인 * 숲 마을 근처의 [[숲]]으로, 블루베리나 버섯을 채집할 수 있다. 1개를 채집할 때마다 시간 1유닛이 소모된다. 겨울에는 아무것도 채집할 수 없으니 주의하자. * 호수 숲 옆의 [[호수]]로, 낚싯대가 있을 경우 낚시로 브라운송어라는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다만 낚시 성공은 복불복으로,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장화...나 낚고 아깝게 시간 유닛을 낭비할 수도 있다. 대신 숲과 다르게 겨울에도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 기차역[* 클라우스/카린의 외조부모를 방문하러 갈 때 딱 1번 외에는 가지 않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벤스보른, version=90)] [[분류:2018년 모바일 게임]][[분류:육성 시뮬레이션]][[분류:노르웨이 게임]][[분류:인디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