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cW5QZfWhpc)]}}} || || {{{-1 '''수록 정보'''}}} ||{{{-1 [[DJMAX RAY]]}}} {{{-3 (2012)}}} || || {{{-1 '''장르'''}}} ||{{{-1 Hybrid Rock}}} || || {{{-1 '''BPM'''}}} ||{{{-1 114}}} || || {{{-1 '''작사/작곡'''}}} ||{{{-1 [[NieN]]}}} || || {{{-1 '''보컬'''}}} ||{{{-1 Zim}}} || || {{{-1 '''BGA'''}}} ||{{{-1 AJ}}} || ||<-2> {{{#!folding [ 가사 보기 ] Oh, It's time to go 익숙하면 그래 그만하고 move it! Oh, It's time up now 한심한 듯 only 매일 같은 말만 하네 멈춰있지 말고 do it, do it, do it, 뛰어봐 실수해도 좋아 이건 너의 드라마 Oh, oh, oh, Let it go! Mr. Lonely Lonely Lonely 오늘이 지나가 숨을 쉬기조차 힘들지만 Lonely Lonely Lonely 그대의 진짜를 믿어봐 Mr. Lonely! 멈춰있지 말고 do it, do it, do it, 뛰어봐 실수해도 좋아 이건 너의 드라마 Oh, oh, oh, Let it go! Mr. Lonely Lonely Lonely 오늘이 지나가 숨을 쉬기조차 힘들지만 Lonely Lonely Lonely 그대의 진짜를 믿어봐 Mr. Lonely!}}} || == 개요 == [[DJMAX RAY]] 오리지널 신곡으로, 작곡가는 [[NieN]]. 시원한 기타 리프와 보컬이 어우러지는 곡으로 RAY 신곡 가운데서도 유저들 사이의 평가가 좋은 곡이다. RAY의 아이캐치는 [[Xeus]]의 비주얼을 담당한 Ukyo의 작품. 이후 [[DJMAX TECHNIKA Q]]에도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0065|수록]]되었고, 기존의 아이캐치와는 달리 새로운 BGA가 제작되었다. 비주얼 제작자는 [[RockSTAR(TAPSONIC)|RockSTAR]], [[Take on Me(DJMAX)|take on me]]등의 BGA를 제작한 AJ의 작품. 다만 BGA의 평은 그다지 좋지 않은데, 곡 자체가 워낙 화끈하다 보니 화려한 BGA를 기대했던 유저들의 바람과는 달리 두드러지는 부분이 없는 평범한 BGA라 곡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 오히려 느긋한 재즈 음악에 더 어울릴 BGA라는 의견도 있다. 기이하게도 BGA 내에 나오는 드러머가 드럼 스틱을 쥐고있는 그립도 주로 재즈 계열에서 많이 쓰는 그립이다. == [[DJMAX RAY]] == |||||||||| [[DJMAX RAY]]의 Metal Black 팩 수록곡 || || [[STALKER]] || [[OBLIVION ~Rockin' Night Style~]] || [[Mind Control(DJMAX)|Mind Control]] || [[If (시간탐험대)|IF]] || '''Mr.Lonely'''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5 || ||<#0000FF> {{{#white HD}}} || 6 || ||<#FF0000> MX || 8 || Metal Black 팩의 히든곡으로 수록되었다. 이 팩의 다른 곡들에 비하면 그나마 좀 밝은 분위기의 곡이다. 특이한 점은, 노말 난이도도 롱노트가 많아 8단계 피버가 2번까지 터지는 진풍경(...)을 목격할 수 있다는 점. 특히 하드 난이도는 노말 난이도에서 롱노트로 처리하던 노트를 일반 노트로 처리해서, '''하드 풀콤이 노말 풀콤보다 300콤보정도 더 낮다'''(...) 맥시멈 패턴은 상위곡들에 비하면 평범한 정도의 난이도지만, 불규칙적인 롱노트 긁기를 조심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롱노트 패턴이 비슷한 부분이 거의 없어, 대부분의 패턴을 암기하는 편이 좋다. == [[DJMAX TECHNIKA Q]] == ||||||||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4 수록곡 || || [[영원(DJMAX)|영원]] || [[Out Law|Out Law : Reborn]] || [[Gone Astray]] || '''Mr.Lonely''' || |||||||||||| [[DJMAX TECHNIKA Q]] 난이도 체계 || |||| 2라인 |||| 3라인 || || 패턴 || 난이도 || 패턴 || 난이도 || ||<#FFFF00> NORMAL ||43 ||<#FFFF00> NORMAL || 5 || ||<#0000FF> {{{#white HARD}}} || 5 ||<#0000FF> {{{#white HARD}}} || 7 || ||<#FF0000> EXPERT || 8 ||<#FF0000> EXPERT || 9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r.Lonely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Mr.Lonely}}}'''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3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4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764}}}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86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2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1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16}}}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00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4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8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829}}}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96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8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1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33}}}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145}}}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RESPECT 5주년 기념 무료곡으로 선정되어 PS4에 먼저 수록한 이후 V에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검수 문제로 PS4쪽 업데이트가 늦어지면서 TECHNIKA & Q DLC가 추가되는 11월 중 양 측에 동시 수록한다고 밝혔고, 예정대로 11월 24일에 양 플랫폼에 동시 수록되었다. 모든 MX 패턴과 SC 패턴 공통적으로 중반부의 기타 속주 구간이 승부처이다. BPM이 느린 미드템포 락 곡인지라 다른 부분은 무난하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z2YblnXwB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2Lh48TzKgE)]}}}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vMX-HXy01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vp8XHcZKNc)]}}} || 4B SC는 다른 부분은 12레벨이라고 말하기 뭐할 정도로 허전하지만, 중반부 기타 속주 파트와 함께 등장하는 [[v o l d e n u i t]]과 극히 유사한 '''32비트 부등호 트릴 구간'''에서 난이도를 끌어올렸다. 상당히 빠른 손 속도가 요구되므로 못 치는 유저들은 넘어가기 상당히 힘든 패턴.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yfoCxs_XB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OL1FQoAhWs)]}}}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aEGNwbXCz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leV8yo7XrQ)]}}} || 5B SC는 기타 속주 구간에서 무난하게 계단 패턴을 채택했기에 속주 구간 처리는 타 버튼에 비해 편하다. 다만 속주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파트가 상당히 쉬운 타 버튼과는 달리, 12-23-34-45 형식의 겹동치 패턴이 나오는 등 살짝 까다로운 부분이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는 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_irbqb3Cw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UWp-flcjWU)]}}}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5bX66x65j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y1cCYU4oZ4)]}}} || 6B SC의 경우 기타 속주 구간에서 4B SC의 사례와 유사하게 부등호 패턴이 등장하지만 6버튼답게 '''한 손 부등호'''까지 나온다. 역시나 4버튼과 마찬가지로 속주 구간의 처리력이 중요하고 나머지는 무난하나, 롱노트가 상당히 많이 등장하는 편이라 롱노트 처리 및 마무리 구간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패턴까지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해주자. 상술했듯 롱노트가 많은 덕에 콤보 수가 상당히 높다. 후렴구에서 론리 론리 론리~하는 보컬 음에 맞게끔 롱노트를 넣은 구간도 치는 맛이 꽤나 찰진 편.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2oQ4ffHqj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VHeE29jWg)]}}}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3KsTSDgfq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iuDL-yW46s)]}}} || 8B SC 역시 기타 속주 구간이 관건인데, 14-46 동치가 섞인 고속 계단 및 [[Zero-Break]] 8B SC에서 등장했던 34 동치 섞인 부등호 계단이 속도만 낮아진 버전으로 그대로 등장한다. 웬만한 6버튼 처리력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맥스 콤보도 힘들 정도로 까다롭고 손이 꼬이기 십상인 패턴인지라 11레벨인 6B SC보다도 훨씬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실 난이도도 11레벨 상위권에 더 가까운 불렙 중 하나.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