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Moog modular synthesizer.jpg]] [[http://www.synthmania.com/Famous%20Sounds/Lucky%20Man.mp3|ELP의 Lucky Man중 Moog Modular 솔로]] [목차] == 개요 == 최초로 양산된 신디사이저. [[moog]]사에서 1965년에 처음 나온 악기로 당시로선 아주 혁신적인 악기였다. 문제는 크고 아름다운 만큼 가격이 너무 비쌌고 엄청나게 무거웠다. 따라서 진입장벽이 매우 높을뿐더러 관리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복잡하게 생겼고 이 많은 연결선을 덕지덕지 연결해야하는 등 문제가 많은 편이다.[* 그래서 대부분 모듈러 신디사이저같은 신디사이저는 작업실에 놓는 경우가 많다.] 이 악기를 많이 사용한 뮤지션으로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의 [[키스 에머슨]]과,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가 있다.[* 키스 에머슨은 1970년 당시 이 무거운 악기를 '''무대로 들고 간''' 최초의 사람이다. 이후 YMO가 III-c와 각종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들을 무대에 들고 갔다. 아예 무대에 오를땐 키보디스트 마츠다케 히데키를 엔지니어로 뽑았을 정도이다.] == 대표 시리즈 == === 1st commercial Moog === [[파일:Moog 1st commercial.jpg]] [[1964년]]에 나온 '''최초의 Modular Synthesizer 시리즈.''' 사운드 모듈과 시퀀서가 탑재되어 있다. === Moog C1 === [[파일:Moog C1.jpg]] [[1968년]]에 나온 악기로, 시퀀서 기능이 빠져 있다. === Moog 3P === [[파일:Moog 3P.png]] 1968년에 나온 악기로 [[조르조 모로더]]가 쓰는걸로 유명하다. 그리고 2019년에 다시 재생산한다. === Moog 35 === [[파일:Moog 35.jpg]] [[1973년]]에 나온 악기. 무그 모듈러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키스 에머슨]]이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 Moog 55 === [[파일:Moog 55.jpg]] [[1973년]] 출시. 35랑 비교하면, 노브위치가 약간 다르다. === [[키스 에머슨|Emerson]] Moog Modular System === [[파일:Emerson Moog Modular System.jpg]] 로버트 무그 박사 사후 몇 년 뒤인 [[2014년]]에 이 시리즈의 유명한 사용자인 [[키스 에머슨]]이 제작을 요청하여 나온 악기이다.[* 왼쪽 상단의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에 음반인 Brain Salad Surgery 커버가 그려져 있다.] 해외에선 아직 $150,000로 판매중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oog, version=46)] [[분류:신디사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