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socialmedia-image.jpg|width=100%]] ||<-2>
'''{{{+2 {{{#000000 몬스터}}}}}}''' '''{{{+2 {{{#ff69b4 프롬}}}}}}'''[br]'''{{{#000000 Monster}}} {{{#ff69b4 Pro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onster prom logo.png|width=100%]]}}} || || '''{{{#000000 개발}}}''' ||Beautiful Glitch || || '''{{{#000000 유통}}}''' ||Those Awesome Guys || || '''{{{#000000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 | [[Linux|[[파일:Linux 로고.svg|height=16]]]] |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 |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 '''{{{#000000 ESD}}}'''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GOG.com|[[파일:GOG.com 로고.svg|height=16]]]] | [[험블 번들|[[파일:험블 번들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 '''{{{#000000 장르}}}''' ||[[연애 시뮬레이션]], [[비주얼 노벨]] || || '''{{{#000000 출시}}}''' ||'''PC'''[br][[2018년]] [[4월 27일]][br]'''NS'''[br][[2020년]] [[5월 21일]][br]'''PS4 / XBO'''[br][[2020년]] [[10월 14일]] || || '''{{{#000000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20]]]] || || '''{{{#000000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000000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000000 해외 등급}}}''' ||[[ESRB|[[파일:ESRB Mature.svg|width=16]] '''{{{#000000,#dddddd ESRB M}}}''']][br][[PEGI|[[파일:PEGI 16.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6}}}''']] || || '''{{{#000000 관련 페이지}}}''' ||[[http://monsterprom.pizz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https://store.steampowered.com/app/743450/Monster_Prom/|[[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5]]]] [[https://twitter.com/monsterprom|[[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5&theme=dark]]]] [[https://www.facebook.com/MonsterPromGam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rmJnmgJUPY)]}}} || || '''{{{#000000 트레일러 영상}}}''' || 몬스터 프롬은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비디오 게임]] 회사인 뷰티풀 글리치(Beautiful Glitch)에서 제작한 ~~[[인외]]덕을 자극하는~~시뮬레이션 게임이다. 게임의 목적은 심플하다. 공략 캐릭터의 호감도를 올려서 스푸키 고등학교 프롬 파티에 같이 갈 파트너를 3주 내로 구하는 것. 온갖 괴상한 이벤트와 상황 속에서 무슨 선택지를 선택하냐에 따라 엔딩이 달라진다. 졸업 파티에 같이 갈 상대를 구하는 게 목표라 그런지 연애보다는 시시덕거리는 느낌이 강하다. 아직 등급이 매겨지지 않았다고 하지만 텍스트를 보면 수위가 꽤 있는 편이다. 게임의 볼륨이 상당하다. 500가지가 넘는 이벤트가 있으며 각 공략 캐릭터의 굿엔딩과 배드엔딩을 제외해도 29가지의 시크릿 엔딩이 있다. DLC까지 포함하면 41가지가 넘는 시크릿 엔딩이 있다. 플레이 타임이 짧아 세이브 기능이 없다. [[멀티 플레이]]가 가능하다. 게임이 무명이라 한글 번역본이 없다. 스크립트 양이 상당해서 추후에도 나올지 의문. 그래도 캐릭터들의 성격이랑 영단어, 감탄사, 문장 부호, 욕만 대충 보면 쉽게 해석할 수 있다. 세컨드 텀을 기본적으로 포함한 XXL 버전으로 닌텐도 스위치, 엑스박스 원에서도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 == 게임 플레이 ==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은 각각의 [[디폴트]] 네임이 있으며 직접 정할 수도 있다. 시작할 때 이상한 질문들로 구성된 설문조사 같은 것을 하는데 뭘 선택했는냐에 따라 기본 스탯(매력,자본,재미 등)과 공략 캐릭터의 호감도가 달라진다. 도전과제들을 깨려면 사실상 엔딩은 포기해야 한다. 배경이 되는 스푸키 고등학교에서 매턴마다 갈 곳을 고를 수 있다. 장소마다 올려주는 스탯이 다르다. [[파일:SpookyHigh.png|width=100%]] * 강당: +2 CREATIVITY(창의성) * 교실: +2 SMART(영리함) * 도서관: +2 MONEY(자본) * 학교 밖: +2 FUN(재미) * 체육관: +2 CHARM(매력) * 화장실: +2 BOLDNESS(대담함) * 카페테리아: 유일하게 선택해서 갈 수 없는 장소. 정오가 되면 자동으로 카페테리아로 이동되어 다른 캐릭터들과 함께 앉아 식사할 수 있다.--그런데 여기서 뭘 먹는 장면은 거의 없다.-- == 등장인물 == 나레이션은 [[알렉산더 그로스]]가 맡았다.[* 2편에서는 몇몇 인물들의 음성이 해당 성우로 변경되었다.] === 플레이어블 캐릭터 === ||<-2>
'''오즈'''[br]Oz || ||<-2> [[파일:Oz-default.png]] || || '''상징 색''' || [[노란색]] || || '''성별''' || 남자 || || '''나이''' || 불명 || || '''타입''' || 공포의 화신 || || '''성우''' || [[Cryaotic]] || [[그림자]] 같은 것들로 둘러싸여 있는 남자 캐릭터. 제작자 공인 [[성씨]]가 없다. 제작자의 말에 따르면 오즈는 시간보다 더 오래된 존재, 공포의 화신이라고 한다. 한편 이름은 늪지대 괴물(ooze monster)에서 따온 듯. 어깨에 있는 검은 덩어리는 [[공포증|포비아]]를 표현한 것이라고. 본인은 입이 없지만 같이 있는 검은 덩어리는 입이 있어서 본인 대신 의사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트레이드 카드에 따르면 수줍음이 많고 때때로 비관적인 성격. 하지만 낙천적인 사람들에게 둘러싸이는 걸 좋아한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들 중 제일 인기가 많다. 2차 창작에서는 [[데미엔 라베이|데미엔]]과 많이 엮인다. ||<-2>
{{{#ffffff '''아미라 라시드'''[br]Amira Rashid}}} || ||<-2> [[파일:Amira-default.png]] || || {{{#ffffff '''상징 색'''}}} || [[빨간색]] || || {{{#ffffff '''성별'''}}} || 여자 || || {{{#ffffff '''나이'''}}} || 20 || || {{{#ffffff '''타입'''}}} || [[지니]] || || {{{#ffffff '''성우'''}}} || [[대니엘 맥레이]] || 불타는 듯한 머리를 가진 여자 캐릭터. 제작자 트위터를 통해 성이 공개되었다. 불을 소환하거나 가지고 노는 이미지가 자주 보인다. ||<-2>
{{{#ffffff '''브라이언 유'''[br]Brian Yu}}} || ||<-2> [[파일:Brian-default.png]] || || {{{#ffffff '''상징 색'''}}} || [[초록색]] || || {{{#ffffff '''성별'''}}} || 남자 || || {{{#ffffff '''나이'''}}} || 21 || || {{{#ffffff '''타입'''}}} || [[좀비]] || || {{{#ffffff '''성우'''}}} || [[ProZD]] || 근육질 몸의 좀비인 남자 캐릭터. 디폴트 네임인 브라이언(Brian)은 뇌(Brain)의 [[아나그램]]이라고 한다. 성이 동아시아 느낌의 유씨이고 성우가 [[한국계 미국인]]임을 고려하면 이쪽은 '한국계 미국괴물'이라는 설정인 듯하다. ||<-2>
{{{#ffffff '''비키 슈미트'''[br]Vicky Schmidt}}} || ||<-2> [[파일:Vicky-default.png]] || || {{{#ffffff '''상징 색'''}}} || [[파란색]] || || {{{#ffffff '''성별'''}}} || 여자 || || {{{#ffffff '''나이'''}}} || 22 또는 23[* [[https://twitter.com/monsterprom/status/1026426812547694595]]] || || {{{#ffffff '''타입'''}}} || [[크리처(프랑켄슈타인)|프랑켄슈타인의 괴물]] || || {{{#ffffff '''성우'''}}} || [[세라 윌리엄스|세라 앤 윌리엄스]] || 밝고 활발해 보이는 여자 캐릭터. 플레이어블 캐릭터들 중 가장 먼저 성이 공개되었다. 이름은 프랑켄슈타인의 주인공 [[빅터 프랑켄슈타인]]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공략 캐릭터 === * [[데미엔 라베이]] * [[미란다 벤더빌트]] * [[베라 오벨린]] * [[폴리 가이스트]] * [[리암 드 라이언코트]] * [[스콧 하울]] === 그 외 === * [[발레리(몬스터 프롬)|발레리]](성우 [[에리카 이시이]]) * 블로버트(Blobert) * 슬레이어(The Slayer) * 늑대무리(The Wolfpack) * 마녀(The Coven) * 다차원 왕자(Interdimensional Prince) * 꼬마 라티노 마법고양이 후안(Juan the Small Magical Latino Cat) * 거대거미 교장(Principal Giant Spider) * 조이(성우 [[케이시 몬길로]][* 트랜스젠더 성우이다.]) == 여담 == 음악을 잘 썼다는 호평을 받았다. 엔딩곡은 마이크 크롤의 Fifteen Minutes. 실패하든 성공하든 갤러리에 러프 스케치, [[컨셉아트]], [[팬아트]] 등이 해금된다. 2019년 2월 15일 몬스터 프롬: 2학기(Monster Prom: Second Term)라는 이름의 DLC가 나왔다. 내용으로는 * 120개 이상의 새로운 이벤트 * 10개의 비밀엔딩 * 2명의 파트너 추가: 머리가 [[CRT]]인 [[안드로이드]]로 보이는 Calculester(칼큘레스터)와 본작 엔딩크레딧에 나왔던 [[엘드리치 호러]] Zoe(조이) * 10명 이상의 NPC 가 있다. 후속작인 Monster Prom 2: Holiday Season의 [[https://www.kickstarter.com/projects/corintio/monster-prom-2-holiday-season?ref=818920&token=46d5bbb4|크라우드 펀딩]]을 진행 중이다. 이후 계획이 변경돼 '몬스터 캠프'와 '몬스터 로드트립'으로 나눠서 발매됐다. 후속작 3편 몬스터 로드트립의 이벤트에서, 본작 배경 스푸키 고등학교에 대한 설정이 일부 풀렸다. ''''고등학교'인데도 왜 20대 학생들이 다니냐'''는 요지였는데, 그 이유는 몬스터들이 인간세계 영상매체 중 '''[[베이사이드 얄개들]]을 고등학교에 대한 다큐멘터리로 착각해 버려서 그걸 토대로 학교를 설립했기 때문이라고.''' 그게 다큐멘터리가 아닌 드라마란 걸 나중에야 알게 돼서, 3편 시점에선 '스푸키 아카데미'로 개칭된 상태라고 한다. [[분류:2018년 게임]][[분류:스페인 게임]][[분류:연애 시뮬레이션]][[분류:인디 게임]][[분류:비주얼 노벨]][[분류:Windows 게임]][[분류:macOS 게임]][[분류:Linux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