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뱀파이어 위켄드)]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Modern Vampires of the City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이즘 선정 2013 올해의 팝 앨범)] ---- [include(틀:피치포크/올해의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2000~201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2000년~2019년))] ---- [Include(틀:피치포크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5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20,순위=32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24)]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2010년대 101대 명반, 순위=9)]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5)]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8)]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42)]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64)]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 ---- [include(틀:Pop & Shot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49)] ----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59)] ----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스테레오검 선정, 항목=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6)] ---- [include(틀:AllMusic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Northern Transmissions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0)]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4,순위=495,연도2=2015,순위2=357,연도3=2016,순위3=236,연도4=2017,순위4=320)]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Modern Vampires of the City)] ---- ||||<-5> [[파일:Grammys.svg|width=20]] {{{+1 '''그래미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 || || 2013 || || 2014 || || 2015 || || ''Making Mirrors'' [[고티에|{{{-2 {{{#8086a0 Gotye}}}}}}]] || {{{+1 →}}} || ''' ''Modern Vampires of the City''[br]{{{-2 [[뱀파이어 위켄드|{{{#8086a0 Vampire Weekend}}}]]}}}''' || {{{+1 →}}} || ''St. Vincent'' [[세인트 빈센트|{{{-2 {{{#8086a0 St. Vincent}}}}}}]] || ---- ||||<-5><#fff,#404040>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앨범 차트]] {{{#b2a529 '''역대 1위'''}}}}}} || || ''Golden'' {{{-2 [[레이디 에이|{{{#8086a0 Lady Antebellum}}}]]}}} || {{{+1 →}}} || ''' ''Modern Vampires of the City''[br]{{{-2 [[뱀파이어 위켄드|{{{#8086a0 Vampire Weekend}}}]]}}}''' || {{{+1 →}}} || ''[[Random Access Memories]]'' {{{-2 [[다프트 펑크|{{{#8086a0 Daft Punk}}}]]}}} || ---- }}} || ---- ||<-2>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929292,#fff 99%,#fff 35%,#fff)" '''{{{+1 {{{#000 ''Modern Vampires of the Ci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뱀파이어 위켄드 3집..jpg|width=100%]]}}} || || '''발매일''' ||[[2013년]] [[5월 14일]] || || '''장르''' ||[[인디 팝]], [[아트 팝]], [[챔버 팝]], [[바로크 팝]] || || '''재생 시간''' ||42:54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로스탐 배트매글리즈, 에리얼 렉트샤이드 || || '''레이블''' ||[[XL Recordings|XL]] || [목차][clearfix] == 개요 == [[2013년]] 발매한 [[뱀파이어 위켄드]]의 정규 3집 앨범. == 상세 == 이전 음반들의 아프리카 음악의 영향을 받은 인디 팝 스타일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한 앨범이며, 전반적으로 50~60년대 스탠다드 팝 성향의 멜로디를 자신들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해내며 복고풍이지만 세련된 멜로디가 특징이다. 주제는 어른의 책임을 지닌 인물들, 나이가 드는 것에 대한 성찰, 사망률, 종교적 믿음에 대한 것이다. 주니어 리드의 노래 "One Blood"의 가사를 따서 이 음반의 제목을 지었다. 앨범커버는 환경보호국 설립 전 공해가 심했던 1966년 뉴욕의 스모그 사태 때 사진을 썼다. [[https://en.m.wikipedia.org/wiki/1966_New_York_City_smog|#]]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modern-vampires-of-the-city,artist=vampire-weekend,critic=84,user=8.9)] 대부분의 매체에서 만장일치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롤링 스톤]], [[피치포크]] 등 수많은 매체들이 올해의 앨범으로 꼽았으며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7위에 선정되는 등 2013년을 넘어 2010년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미국의 1세대 락 평론가인 [[로버트 크리스트가우]]가 2013년의 최고의 앨범으로 뽑았다. 2014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상을 수상했다. == 트랙리스트 == === Obvious Bicycle === [youtube(MrVkKAylpF8)] === Unbelievers === [youtube(aJd5EMB9im0)] === Step === [youtube(JBjwW5iwXkk)] === Diane Young === [youtube(LjMrAYQwx1Y)] === Don't Lie === [youtube(lIetMfuG8aE)] === Hannah Hunt === [youtube(Td7VQnWWWzI)] === Everlasting Arms === [youtube(DAD64E6_RoY)] === Finger Back === [youtube(GEVYyIMDxYo)] === Worship You === [youtube(f5KLYx9jsBA)] === Ya Hey === [youtube(P6A-vhsSERE)] === Hudson === [youtube(7ReMsZ1OYhg)] === Young Lion === [youtube(AhkP3it3vaM)] [[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2013년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인디 팝]][[분류:빌보드 1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