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영어 단어, rd1=모비 딕)] [[분류:Led Zeppelin II]][[분류:1969년 노래]][[분류:하드 록]][[분류:레드 제플린 노래]] [include(틀:Led Zeppelin II)]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6A4638><-2> '''{{{+1 Moby Di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N_xP67utPk?si=,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10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Led Zeppelin II|'''{{{#f5a276 Led }}} {{{#ea81c3 Zeppelin }}} {{{#000 II}}}''']]}}} || || '''장르''' ||[[하드 록]] || || '''러닝 타임''' ||4:20 || || '''작사/작곡''' ||[[지미 페이지]], [[존 본햄]], [[존 폴 존스]]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지미 페이지|{{{#D5CDA6 '''지미 페이지'''}}}]]}}}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존 폴 존스|{{{#D5CDA6 '''존 폴 존스'''}}}]]}}} 베이스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존 본햄|{{{#D5CDA6 '''존 본햄'''}}}]]}}} 드럼 }}}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Ob8otk7Y0U, height=250)]}}} || || '''1970년 라이브[br](로열 앨버트 홀)''' || [[영국]]의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2집 [[Led Zeppelin II]]에 수록된 곡. == 상세 == [[인스트루멘탈]] 트랙으로, [[존 본햄]]의 드럼 솔로 곡이다. '''그야말로 드럼계에 혁명을 가져온 곡'''으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드럼 솔로를 꼽으라고 하면 반드시 거론되는 곡이다.'''[* 마찬가지로 [[에디 밴 헤일런]]의 기타 솔로 곡이자 기타계에 똑같이 혁명을 가져온 [[Eruption]]과 유사한 면이 있다.] 당시 드럼계는 [[키스 문]]과 [[진저 베이커]]로 대표된, 탐의 개수를 엄청나게 늘리고 이른바 ‘드럼을 맛있게 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유행이었다. 그러나 존 본햄은 이러한 것은 단지 퍼포먼스만을 위한 것이라며, 기본 드럼 세트만으로도 충분히 모든 곡을 칠 수 있고, 퍼포먼스적인 면도 커버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자신의 주장을 '''기본 드럼 세트만으로 이 곡을 연주하면서''' 증명해냈다.[* 이미 존 본햄은 1집 시절에도 더블 베이스 드럼을 사용해야 하는 [[Good Times Bad Times]]에서 오로지 기본적인 드럼 세트로만 연주하는 괴물같은 면모를 보였다. 실제로 수많은 드러머들은 이 곡을 커버할 때 더블 베이스를 갖다 놓고 커버한다.] 트랙 길이는 4분 정도이지만, 보통 라이브에서는 15분까지 늘려서 엄청난 길이의 솔로를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라이브에서도 기본 드럼 세트만 사용하여 솔로를 해낸다. 라이브에서는 원곡 이상의 풍부한 사운드와 엄청난 속주나 더블킥 등 온갖 기교를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박자는 매우 정확한데, 이러한 연유로 앨범 버전보다 인기가 많으며 현재까지도 드럼 연주의 전설로 평가 받고 있다. 수많은 프로와 아마추어 드러머들에 의해 커버되는데, 보통 앨범 버전과 라이브 버전 두 개 모두 커버된다. 보통은 길이도 더 짧고 기교도 더 적어서 난이도가 더 낮은 앨범 버전을 주로 커버하는 편인데, 그래도 박자와 필인이 굉장히 난해하고 어려워서 앨범 버전도 쉽지 않은 편이다. 라이브 버전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여담 == 기타 리프가 바비 파커의 [[1961년]] 곡인 [[https://youtu.be/nC9UlURkGLI?si=GBVJYt8gBBYC6GAR|Watch Your Step]]과 흡사하여 표절 의혹이 제기되었었다.[* 그런데 Watch Your Step 역시 [[레이 찰스]]의 "[[What'd I Say]]"와 유사함이 지적된 바 있다.] [[지식채널e]]에서도 등장했다.[[https://youtu.be/awkVem1xJco?si=j-AnIfDSxo4rJnLV|#]]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드 제플린/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