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VLS_MK41_%D0%A1G-70_Lake_Erie20080218.jpg|width=72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Open_VLS_hatches_on_USS_Hue_City_%28CG-66%29.jpg|width=72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HLS.jpg]] [youtube(cqmLIAKYcIw)] '''Mk.41 Vertical Launching System''' [목차] == 개요 == [[미 해군]]이 운용하는 수직발사시스템([[VLS]]). == 상세 == 1970년대까지 [[미 해군]]은 Mk.10이나 Mk.26 따위의 2연장 발사대나 Mk.13 등의 단장 발사대를 사용했다. Mk.10은 [[SM-2]]ER이나 [[RIM-2]] 테리어, Mk.13은 [[SM-1]]MR 혹은 [[RIM-24]] 타터를 탑재했고 Mk.26은 [[SM-2]] MR를 주로 사용했는데, 이들은 자동장전되는 Mk.13도 1발 발사 후 재장전 완료까지 8초가 소요되어 다수의 대함미사일이 쏟아지면 함정에 아무리 미사일을 많이 가지고 있어도 몇 발 쓰지 못하고 명중당할 우려가 있었다. 그나마 개함방공용인 시스패로용 Mk.29는 8연장이었지만 이것도 인력으로 재장전하니 지속전투능력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공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 모든 미사일이 발사준비 태세로 대기하고 있는 [[VLS]]가 개발되었다. Mk.41은 1978년 첫 번째 테스트 진행 후, 1986년 [[타이콘데로가급]] CG-52 USS 벙커힐에 처음으로 설치됐다. 지금까지 개발된 VLS 가운데 가장 성공적이며 현재까지도 아주 잘 써먹고 있는 똘똘한 물건이다. Mk.48은 크기가 작아 시스패로밖에 넣지 못하지만 Mk.41은 제법 크기가 커서 온갖 종류의 함상발사 무기를 밀어넣을 수 있다. 애초에는 RIM-66 스탠다드 계열의 미사일만 심어보려고 했는데, 차후 개발되는 [[SM-3]]나 [[SM-6]], [[ESSM]] 등의 함대공 무장은 아예 Mk.41의 사이즈에 맞게 재단[* 사실 ESSM을 제외하곤 모두 [[SM-2]] 스탠다드의 발전형이기 때문에 알맹이만 바꾸고 기본적인 탄체 사이즈는 거의 그대로라... 스탠다드의 설계가 워낙 훌륭하기도 하고. 물론 안정익 등은 상당히 바뀌긴 했다.]돼서 나왔고, [[BGM-109 토마호크|토마호크]]와 [[VL-ASROC]] 등의 대지/대잠무기도 마찬가지로 Mk.41에 수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무장들의 런처나 캐니스터가 함정에서 따로따로 놀고 다닌다면 함정의 공간이나 운용인력의 효율이 절대 좋을 리가 없으니까. 이 무장들을 VLS에 그냥 쑤셔넣는 것이 아니라, 무장마다 각각의 고유한 캐니스터 안에 먼저 집어넣고 그 캐니스터를 크레인으로 들어다가 VLS에 꽂아넣어야 장전이 완료된다. VLS 자체도 목적에 따라서 규격이 다르다. 해상에서도 보급함을 통해 이 작업을 하자면 할 수 있기는 한데, 기상이 안 좋거나 파도가 높으면 하면 너무 위험하고 무장이 파손될 우려도 있어서 자제한다고 한다. 덕분에 초기형 이지스함들은 64셀 중 3셀 공간에 접이식 재장전 크레인을 내장하고 있었지만 곧 치우고 세 발 더 넣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러니까 VLS 자체는 물리적으로 겉껍데기라 봐야하고, 그 속의 캐니스터가 발사 시 나오는 화염과 배기가스를 다 뒤집어 쓰는 속껍데기인데, 이미 엄청 뜨거운 불을 한 번 경험했기 때문에 캐니스터는 그냥 1회용이나 다름없다. 캐니스터 안의 네트워크/제어장비는 이미 다 불에 타서 없어졌을 것이고... 물론 금속 자체의 구조 진단과 [[오버홀]]을 받으면 재사용도 가능하긴 하다. VLS 자체에 모든 시스템을 갖추고 재사용을 할 수 있게 하려면 비교적 저온 저압의 가스나 아예 발사판으로 탄체를 사출한 뒤 공중에서 점화하여 비행하는 콜드런치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데 기술적으로 이래저래 까다로워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몇 가지 단점도 있다. 러시아의 육상용 수직발사 시스템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국산 지대공 미사일인 철매2에서도 콜드 런치 방식을 이용한다. 해상용으로는 크로탈NG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A_Crane_lifts_an_Evolved_Sea_Sparrow_Missile_%28ESSM%29_aboard_the_guided_missile_destroyer_USS_McCampbell.jpg|width=720]] * 캐니스터의 종류 || '''명칭''' || '''미사일''' || '''탑재 개수''' || '''용도''' || || Mk.13 || RIM-66 [[SM-2]]MR || 1 || 대공 || || Mk.21[* SM-3와 SM-2ER은 꽁무니에 로켓 부스터가 달려있어서 길이가 꽤 나가는 편이라 간당간당하게 들어간다.] || RIM-161 [[SM-3]] [br] RIM-156 SM-2ER || 1 || 탄도탄 방어 [br] 대공 || || Mk.25 || RIM-162 [[ESSM]] || 1 or 4[* 쿼드팩이라 불리는 이 캐니스터는 자체가 4개로 구분되어 있고 ESSM의 조종날개를 접어서 수납한다. 이렇게 4개가 수납된 캐니스터 1개를 VLS 구멍에 잘 심으면 되긴 하는데, 이 물건 자체도 그렇고 ESSM이 워낙 깡패같은 가격이라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A에도 ESSM이 아예 없는 함정이 있다. 게다가 VLS 통제시스템이나 [[이지스 시스템|이지스]] 체계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도 필요한데, 이거 역시 무식한 비용이 나오는 터라 알레이버크는 애초부터 업그레이드 된 소프트웨어를 지니고 건조한 함정이 아닌 이상 별로 큰 필요를 느끼지 않고 있다.] || 대공 || || Mk.22 || RIM-7 [[시스패로우]] || 1 || 대공 || || Mk.14 || RGM-109 [[BGM-109 토마호크|토마호크]] || 1 || 대지 || || Mk.15 || RUM-139 [[VL-ASROC]] || 1 || 대잠 || 함정에 설치하는 최소 단위는 가로 4 x 세로 2의 8셀이 한 모듈. 미국은 주력 함정에 모조리 도배함으로서 무장관리의 효율성과 잔고장 감소, 거기에 의도치 않았던 함정의 [[레이더 반사 면적|RCS]]까지 줄어들어 매우 만족하고 있다. 단점이라면 아무래도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보니 스탠더드와 토마호크 이상의 신무기 개발에 제약이 된다는 점으로, 때문에 차기 [[줌왈트급]]은 기존보다 39% 더 큰 미사일을 장비할 수 있는 Mk.57 VLS를 80셀 탑재하였다. 초기 설계안에서는 Mk.41 128셀이었으니 용적과 수량을 등가교환. == 지상형(Typhon Weapon System) == [[파일:message-editor_1634147112345-typhon-slide.webp]] [youtube(-zbEG989BKQ)] [[미 육군]]은 MRC(Medium Range Capability)라는 개발명으로 지상 TEL 방식으로 [[SM-6]]와 [[토마호크 미사일]]를 탑재한 Mk.41 VLS를 운용할 계획을 세웠다. 이 시스템은 공식적으로 타이폰 웨폰 시스템이라고 명명되었으며, 2022년 12월에 프로토타입이 납품되었다.[[https://breakingdefense.com/2022/12/lockheed-delivers-first-typhoon-missile-launcher-prototype-to-army/|#]] == MK.41 VLS를 장착한 함정들 == || '''국가''' || '''이름''' || '''개수''' || ||<|3>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 [[세종대왕급 구축함]] || 80셀[* 함미에 [[K-VLS]] 48셀 추가.] ||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32셀[* 옆에 [[KVLS]] 24셀 추가.] || || [[정조대왕급 구축함]] || 48셀[* 보다 대형화된 [[KVLS|KVLS-2]] 40셀 추가.] || ||<|4> [[미국 해군|미국]] || [[스프루언스급 구축함]][* 개수한 24척만 운용] || 61셀 || ||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 122셀[* 초기형은 점검을 위한 빈 자리가 3셀 분량 있다.] || ||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 90~96셀[* 초기형은 점검을 위한 빈 자리가 3셀 분량 있다.] || ||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 || 32셀 || ||<|9> [[해상자위대|일본]] || [[아타고급 구축함]] || 96셀 || || [[공고급 구축함]] || 90셀[* 초기형은 점검을 위한 빈 자리가 3셀 분량 있다.] || || [[마야급 구축함]] || 96셀 || || [[아키즈키급 구축함]] || 32셀 || || [[아사히급 구축함]] || 32셀 || || [[다카나미급 구축함]] || 32셀 || || [[모가미급 호위함]] || 16셀[* 1~8번함의 경우 취역 시점에서 탑재가 보류되었다.] || || [[무라사메급 구축함]] || 16셀[* 나머지 16셀은 [[Mk.48 VLS|Mk.56 VLS]]] || || [[휴우가급 헬기구축함]] || 16셀 || ||<|2> [[스페인 해군|스페인]] || [[알바로 데 바잔급 호위함]] || 32셀: SM-2 x 32 [br] 16셀: ESSM x 64 || || [[F110급 호위함]] || 16셀 || ||<|3> [[독일 해군|독일]] || [[작센급 호위함]] || 24셀: SM-2 x 24 [br] 8셀 : ESSM x 32 || || [[브란덴부르크급 호위함]] || 16셀 || || [[F126급 호위함]] || 16셀 || ||<|4> [[호주 해군|호주]] || [[호바트급 구축함]] || 48셀 ||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애들레이드급 호위함]][* Mk.13 구형 런처에 SM-2 Block IIIA도 사용하고 있다. 런처 자체의 탄창에 SM-1 기준으로 40발이 들어간다.] || 8셀: ESSM x 32 || || [[앤잭급 호위함]] || 8셀 || || [[헌터급 호위함]] || 32셀 || ||<|2> [[터키 해군|터키]]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가비야급 호위함]][* 4척만 운용] || 8셀 || || [[바르바로스급 호위함]] || 16셀 || || [[덴마크 해군|덴마크]] || [[이베르 휘트펠트급 호위함]] || 32셀[* 나머지 12셀은 [[Mk.48 VLS|Mk.56 VLS]]] || || [[노르웨이 해군|노르웨이]] || [[프리드요프 난센급 호위함]] || 8셀 || || [[네덜란드 해군|네덜란드]] ||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호위함]] || 40셀 || || [[캐나다 해군|캐나다]] || [[26형 호위함|CSC]] || 32셀 || || [[영국 해군|영국]] || [[26형 호위함]] || 24셀[* 나머지 48셀은 CAMM VLS] || || [[핀란드군|핀란드]] || [[포흐얀마급 초계함]] || 16셀 || ||<|2> [[태국 해군|태국]] || [[푸미폰 아둔야뎃급 호위함]] || 8셀 || || [[나레수안급 호위함]] || 8셀 || == 관련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ark_41_Vertical_Launching_System|(영문 위키백과) Mk.41 Vertical Launching System]] == 관련 문서 == * [[미국 해군]] * [[해상 병기/현대전]] * [[대공 미사일]] * [[VLS]] * [[Mk.48 VLS]] [각주]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198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