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클 잭슨)] ||<-5><#FFFFFF,#888888> '''[[마이클 잭슨|{{{#000 마이클 잭슨}}}]][[마이클 잭슨/음반 목록|{{{#000 의 음반 순서}}}]] ''' || || 컴필레이션 앨범 || || '''11집''' || || 7집 {{{-2 (25주년 기념판)}}} || || ''[[마이클 잭슨의 디스 이즈 잇|{{{#000000,#FFFFFF This Is It}}}]]'' (2009) || {{{+1 →}}} || '''''Michael''[br](2010)''' || {{{+1 →}}} || ''[[Bad 25|{{{#000000,#FFFFFF Bad 25}}}]]'' (2012) || ||<-2> '''{{{#D3AB6D {{{+1 Michael}}}[br]The 11th Albu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ichael Jackson MICHAEL.jpg|width=100%]]}}} || ||<-2><:> '''{{{#D3AB6D 마이클 잭슨 정규 11집}}}''' || || {{{#D3AB6D '''발매일'''}}} || [[2010년]] [[12월 10일]] || || {{{#D3AB6D '''녹음 기간'''}}} || '''^^생전 녹음^^''' [[1982년]] ~ [[2009년]][br]'''^^사후 프로듀싱 및 믹싱^^''' [[2010년]] || || {{{#D3AB6D '''장르'''}}} || [[팝 음악|팝]], [[컨템퍼러리 R&B|R&B]], [[소울 음악|소울]] || || {{{#D3AB6D '''레이블'''}}} || [[에픽 레코드|[[파일:에픽 레코드 로고.svg|width=40]]]] || || {{{#D3AB6D '''곡 수'''}}} || 10곡 || || {{{#D3AB6D '''재생 시간'''}}} || 42:13 || || {{{#D3AB6D '''프로듀서'''}}} || [[마이클 잭슨]], [[에이콘(가수)|에이콘]], 브래드 벅서,[br]에디 캐시오, 테론 핌스터,[br][[레니 크래비츠]], 존 맥클레인,[br][[테디 라일리]], 트리키 스튜어트,[br]조르조 튜인포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0년]] [[12월 10일]]에 발매된 [[마이클 잭슨]]의 열 한 번째 정규 앨범이자 사후에 발매된 첫 번째 앨범. == 소개 == [[유작]]이냐 신작이냐 의견이 분분한데, 신작으로 봤을 때는 9년 만의 정규앨범이 된다.[* 팬들은 이 앨범을 정규앨범으로 보지 않는다. 마이클 잭슨 사후에 제작된 앨범이라는 것과 더불어 마이클 잭슨이 제작에 관여하지 않은 앨범이기 때문이다. 본다면 미공개곡들이 담긴 앨범 정도.] 마이클 잭슨 사후에 미공개/미발표곡들을 모아 발매한 앨범으로 잭슨 사후에 유산 관리 재단과 ~~악덕~~ [[소니 뮤직]]이 다시 손을 잡고 발매한 것이다. 원래 잭슨은 생전에도 미공개곡이 유출되는 것을 '''굉장히 싫어했다고 한다.''' 자신이 [[완벽주의|엄격하게 선별하고 완성된 곡이 아니면 공개되길 싫어하는 편]]이었는데[* 잭슨이 앨범을 내는 주기가 매우 긴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래서 이 앨범이 발매된다는 발표가 있고 나서 팬들 사이에서 [[보이콧|불매 운동]]을 벌이는 등 시끌시끌했다. [[에이콘(가수)|에이콘]]과 작업한 〈Hold My Hand〉가 첫 싱글로 나오고 뒤이어 〈Breaking News〉, 〈Hollywood Tonight〉, 〈Behind the Mask〉가 싱글컷이 되었고, 이 중 〈(I Like) the Way You Love Me〉는 한국에서 2011년 1월 18일에 디지털 싱글로 선공개되었다. 공개되었을 당시에 이 곡 인트로 부분에 잭슨이 전화통화로 곡을 설명하면서 중간에 '여보세요'하는 [[몬더그린|한국어가 들리는 것 같다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각각 《[[Thriller]]》, 《[[Invincible]]》 쯤에 누락된 곡들인데 2005~2007년 쯤에 다시 작업한 것들도 있다. 〈Best of Joy〉는 가장 최근에 작업한 곡.[* 이곡의 데모곡인 The Toy는 1981년에 작업된 곡이다.] == 트랙리스트 == ||'''{{{#D3AB6D #}}}''' ||<(> '''{{{#D3AB6D 곡명}}}''' || '''{{{#D3AB6D 작사/작곡}}}''' || '''{{{#D3AB6D 프로듀서}}}''' || '''{{{#D3AB6D 길이}}}''' || ||<|2> 1 ||<(> Hold My Hand || [* [[에이콘(가수)|에이콘]], 조르조 튜인포트, 클라우드 켈리] || [* 마이클 잭슨, 에이콘, 조르조 튜인포트] || 3:32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oCCnxBos10)]}}} || ||<|2> 2 ||<(> Hollywood Tonight || [* 마이클 잭슨, 브래드 벅서, [[테디 라일리]]] || [* 마이클 잭슨, [[테디 라일리]], 테론 핌스터 ] || 4:30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zjGtTUfPcI4)]}}} || ||<|2> 3 ||<(> --Keep Your Head Up-- || [* 마이클 잭슨, 에디 캐시오, 제임스 포트] || [* 마이클 잭슨, 트리키 스튜어트, 애인절릭슨] || 4:49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hghaMWPq3I)]}}} || ||<|2> 4 ||<(> (I Like) The Way You Love Me || [*A 마이클 잭슨] || [* 마이클 잭슨, 네프-U] || 4:33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RD7MrAoH8gY)]}}} || ||<|2> 5 ||<(> --Monster-- || [* 마이클 잭슨, [[50 센트]], 에디 캐시오, 제임스 포트] || [* 마이클 잭슨, 테디 라일리, 애인절릭슨] || 5:04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DpUMqmptSk0)]}}} || ||<|2> 6 ||<(> Best of Joy || [*A] || [* 마이클 잭슨, 네프-U, 브래드 벅서] || 3:02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kNFFSqLWDs8)]}}} || ||<|2> 7 ||<(> --Breaking News-- || [* 마이클 잭슨, 에디 캐시오, 제임스 포트] || [* 마이클 잭슨, 테디 라일리, 애인절릭슨, 마이클 르페브어] || 4:14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BlWszoY5nLM)]}}} || ||<|2> 8 ||<(> (I Can't Make It) Another Day || [* [[레니 크래비츠]]] || [* 마이클 잭슨, [[레니 크레비츠]]] || 3:54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GFkmX7YIfnM)]}}} || ||<|2> 9 ||<(> Behind The Mask || [* 마이클 잭슨, [[사카모토 류이치]], 크리스 모스델] || [*B 마이클 잭슨, 존 맥클레인] || 5:01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5bOkWTprifg)]}}} || ||<|2> 10 ||<(> Much Too Soon || [*A] || [*B] || 2:48 || ||<-4><(><#FFFFFF> {{{#!folding 곡 정보 (펼치기 · 접기) ---- [youtube(rLkXnJj9Fa0)]}}} || == 수록곡 == === Hold My Hand === ||<-2> {{{#D3AB6D {{{+1 '''Hold My Hand'''}}}}}} || || '''작사/작곡''' || {{{-1 [[에이콘(가수)|에이콘]], 조르조 튜인포트, 클라우드 켈리}}}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에이콘(가수)|에이콘]], 조르조 튜인포트}}} || ||<|2> '''작업 시기''' || [[2007년]] || || [[2010년]] || || '''싱글 발매''' || [[2010년]] [[11월 15일]] ||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1C407A,#1C407A 20%,#1C407A 80%,#1C407A)" {{{#D3AB6D {{{+1 '''Hold My Hand'''}}}[br]'''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CCnxBos10)]}}} || === Hollywood Tonight === ||<-2>
{{{#D3AB6D {{{+1 '''Hollywood Tonight'''}}}}}} || || '''작사/작곡''' || {{{-1 [[마이클 잭슨]], 브래드 벅서, [[테디 라일리]]}}}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테디 라일리]], 테론 핌스터}}} || ||<|3> '''작업 시기''' || [[1999년]] - [[2000년]][br]{{{-2 ([[Invincible]] 세션 당시)}}} || || [[2007년]] - [[2008년]] || || [[2010년]] || || '''싱글 발매''' || [[2011년]] [[1월 11일]] ||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1C407A,#1C407A 20%,#1C407A 80%,#1C407A)" {{{#D3AB6D {{{+1 '''Hollywood Tonight'''}}}[br]'''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jGtTUfPcI4)]}}} || [[소피아 부텔라]]가 뮤직 비디오의 주연으로 등장한다. === (I Like) The Way You Love Me === ||<-2>
{{{#D3AB6D {{{+1 '''(I Like) The Way You Love Me'''}}}[br]{{{-2 원제 : The Way You Love Me}}}}}} || || '''작사/작곡''' || {{{-1 [[마이클 잭슨]]}}}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네프-U}}} || ||<|3> '''작업 시기''' || [[1998년]] - [[2004년]][br]{{{-2 ([[Invincible]] 세션 당시)}}} || || [[2007년]] - [[2008년]] || || [[2010년]] || || '''최초 수록''' || [[The Ultimate Collection]] {{{-2 (2004년)}}} || || '''싱글 발매''' || [[2011년]] [[7월 8일]] || * [[Invincible]] 세션 당시에 작업된 곡으로 2004년 '[[The Ultimate Collection]]'에 최초 수록되었고 재편곡을 거친 버전이 'Michael' 앨범에 수록되었다. === Best Of Joy === ||<-2>
{{{#D3AB6D {{{+1 '''Best Of Joy'''}}}}}} || || '''작사/작곡''' || {{{-1 [[마이클 잭슨]]}}}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네프-U, 브래드 벅서}}} || || '''작업 시기''' || [[2008년]] || * 마이클이 사후에 가장 마지막에 녹음한 곡으로 알려져 있다. * This Is It 월드 투어 마지막 콘서트에서 공개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 Thriller 시기부터 작업한 노래였는데, 원곡은 "The Toy"였다. [[Thriller 40]]에서 초창기 버전이 공개되었다. === (I Can't Make It) Another Day === ||<-2>
{{{#D3AB6D {{{+1 '''(I Can't Make It) Another Day'''}}}[br]{{{-2 원제 : Another Day}}}}}} || || '''작사/작곡''' || {{{-1 [[레니 크래비츠]]}}}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레니 크래비츠]]}}} || ||<|2> '''작업 시기''' || [[1999년]] - [[2001년]][br]{{{-2 ([[Invincible]] 세션 당시)}}} || || [[2010년]] || === Behind The Mask === ||<-2>
{{{#D3AB6D {{{+1 '''Behind The Mask'''}}}}}} || || '''작사/작곡''' || {{{-1 [[마이클 잭슨]], [[사카모토 류이치]], 크리스 모스델}}}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존 맥클레인}}} || ||<|2> '''작업 시기''' || [[1982년]] {{{-2 ([[Thriller]] 세션 당시)}}} || || [[2010년]] || * Thriller 세션 당시, Yellow Magic Orchestra의 곡에 가사와 멜로디를 추가하여 녹음한 곡이다. 당시에 YMO와의 저작권 분쟁으로 결국 앨범에 수록되지 못하고 미공개곡으로 남아있다 Michael 앨범을 통해 사후에 재편곡된 버전으로 공개되었다. * 이 곡의 오리지널 버전은 2022년에 발매된 [[Thriller 40]]을 통해 공개되었다.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1C407A,#1C407A 20%,#1C407A 80%,#1C407A)" {{{#D3AB6D {{{+1 '''Behind the Mask'''}}}[br]'''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bOkWTprifg)]}}} || === Much Too Soon === ||<-2>
{{{#D3AB6D {{{+1 '''Much Too Soon'''}}}}}} || || '''작사/작곡''' || {{{-1 [[마이클 잭슨]]}}} || || '''프로듀서''' || {{{-1 [[마이클 잭슨]], 존 맥클레인}}} || ||<|2> '''작업 시기''' || [[1994년]] {{{-2 ([[HIStory: Past, Present and Future, Book I|HIStory]] 세션 당시)}}} || || [[2010년]] || == 삭제된 곡 == * 대리 녹음 의혹으로 인해 소니 측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중단시켰다. 그리고 CD도 앞으로는 이 곡들이 삭제된 채로 발매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문단 참고. === Keep Your Head Up === === Monster === === Breaking News === == 성적 == 9개국 앨범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고, [[빌보드 200]]에서 3위, R&B 앨범 차트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2020년 기준 현재 미국을 포함한 14개국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일본]]이 골드 인증을 받을 때 한국에서 플래티넘을 기록했다. [[런던]]에서 판매가 개시된 첫 주에는 《[[Dangerous]]》 이후 20년만에 영국 내에서의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 album=michael, artist=michael-jackson, critic=54, user=6.4)] == 논란 == === 대리 녹음 의혹 === 논란이 된 곡은 'Keep Your Head Up', 'Monster', 'Breaking News' 총 3곡으로, '''결론부터 말하면 가짜인지 진위여부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대리 녹음임이 기정 사실화되는 분위기이다.'''[* 이와 별개로 나머지 7곡은 모두 잭슨의 목소리가 맞다.] 발매가 된 후에도 〈Breaking News〉 같은 곡은 '''잭슨이 아니라 짝퉁 잭슨인 [[https://itunes.apple.com/us/artist/jason-malachi/348766556|제이슨 말라치(Jason Malachi)]]라는 가수가 불렀다'''는 루머가 돌면서 엄청나게 잡음이 끼었다.[* 제이슨은 짝퉁보다는 트리뷰트 가수에 가깝지만, 이러한 곡들이 제이슨의 앨범 발매 년도인 2007년과 제작 시기가 같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럴 듯하다. 제이슨은 앨범을 위해 많은 곡을 불렀고, 그 중 수록되지 못한 일부는 마이클 잭슨의 이름으로 인터넷에 노출되기도 했다.][* Keep Your Head Up, Monster, Breaking News는 2007년 Cascio 세션에서 녹음된 12가지 곡중 뽑힌 곡이다. 다른 9가지의 곡은 Black Widow, Water, All Right, Soldier Boy, All I Need, Ready 2 Win, Burn Tonight, Stay, Fall In Love가 있다. 인터넷 검색으로도 나온다.] 그러나 그의 메인 프로듀서였던 테디 라일리는 '''잭슨의 목소리를 스튜디오 작업하는 과정에서 비브라토 부분을 건드렸음을 인정했고, 그 목소리가 잭슨의 목소리임을 확실히 못박았다.''' 소니 또한 잭슨의 프로듀서들이 그의 목소리가 맞다고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 프로듀서들이 잭슨이라고 주장했다는 사실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하물며 토미 머톨라가 떠난 이후라고 해도 잭슨과 사이가 극도로 나빴던 '''소니의 주장'''이었기 때문에 팬들로서는 찝찝한 것이 사실.] 의심되는 부분은 [[Xscape]] 같이 더 좋은 노래들을 가지고서도 Cascio 세션의 노래를 3개나 넣었다는 것이다. Xscape의 수록곡 중 일부[* Chicago, Do You Know Where Your Children Are, Slave to the Rhythm]는 이 앨범을 위해 2010년에 믹스된 적이 있었고 유출되기도 했다. 2018년에 소니가 모창 가수가 불렀단 걸 인정했다는 기사가 돌았지만 오보였다. 정확하게는 잭슨의 팬이 소니가 가짜 목소리를 앨범에 실었다며 소니를 고소했지만 이러한 주장을 재판에서 소니가 부정했다고 한다. 2022년 7월에 논란이 된 3곡이 해외와 국내의 모든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라졌다. 마이클 잭슨 공식 유튜브 채널에도 해당 곡들이 내려갔다. 그렇지만 진위 여부와는 별개로 음원을 내린 것이라고 밝히며 소니와 재단은 여전히 진짜 마이클의 목소리라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음원을 내린 것은 대리 녹음이 맞다고 인정하는 꼴과 다름 없을 뿐더러, 만약 대리 녹음이 정말 아니었더라도 소니와 재단은 마이클의 곡을 무단으로 내리는 불명예적인 행위를 저지른 것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소니와 재단은 팬들의 마음과 믿음을 제대로 잃게 되었다. [[https://youtu.be/DQ2o2Aupdnw|#]] 8월에 양 측 합의를 가졌다.[[https://m.yna.co.kr/view/AKR20220811145500009?section=international/all|#]] 테디 라일리는 2022년 9월 인터뷰에서 당시 소니의 압박과 분위기 때문에 마이클 잭슨의 목소리였다고 주장했고, 현재는 '''마이클 잭슨의 목소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팬들에게 사과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MXP3o_XIluU|#]] == 기타 == * 전술된 글에서도 알 수 있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논쟁이 치열한 앨범이다. 생전에 미공개곡 유출을 극도로 싫어했던 마이클 잭슨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발매된 앨범이기도 하고, 사이가 나빴던 소속사 소니 뮤직이 마이클 잭슨 사후에 사골 우려먹듯이 마이클 잭슨 추모 앨범과 굿즈를 쏟아내고 있기 때문에 이 앨범을 그 상업성의 연장 선상으로 보는 안 좋은 시선들이 많다. 그럼에도 잭슨의 곡을 듣고 싶어하는 팬들의 바람도 강했기 때문에 기어이 발매되었다. * 가짜곡들은 현재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전부 내려갔고, CD도 노래들이 삭제되어 2022년에 재발매 되어서 만약 신경 쓰이면 신품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 곡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데 Hold my hand는 원래 [[휘트니 휴스턴]]에게 갈 곡이었다고 한다. Hollywood Tonight은 프로듀싱 팀 측에서 잭슨의 목소리를 이상하게 믹싱한 바람에 가짜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으나 99년에 이미 작업에 들어갔던 곡이며 데모 버전도 존재하여 실제 잭슨이 작업한 곡인 것으로 밝혀졌다.[* 앨범 버전의 경우 보컬 믹싱이 이상하게 되었지만, Throwback Mix 버전(뮤직비디오 버전)에서는 정상적으로 믹싱되었다.] (I Like) the Way You Love Me는 2004년에 발매된 The Ultimate Collection에도 수록되어 있는데 이 앨범에 있는 것은 그 곡의 리믹스 버전이다. 이 곡은 한국에서'''만'''(!) 디지털 싱글로 발매되었고 이탈리아와 중국에서 라디오로 송출되었다. [[분류:마이클 잭슨/디스코그래피]][[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미국의 팝 음반]][[분류:2010년 음반]][[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소울 음악]][[분류:빌보드 3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