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MiG기 계보'''}}} || || [[MiG-1]] || → || '''MiG-3''' || → || [[MiG-9]]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군 항공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wio.ru/mig3.jpg|width=100%]]}}} || || '''МиГ-3''' || [목차] == 개요 == || [youtube(tHwfb9LtZX4)] || || '''MiG-3 비행 영상''' || [[제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소련제 [[전투기]]로, [[미그]] 설계국에서 개발하였다. == 제원 == ||<-4> {{{#ffffff '''Микоян и Гуревич-3'''}}} || ||<-2> '''분류''' ||<-2> 전투기 || ||<-2> '''전장''' ||<-2> 8.25m || ||<-2> '''전폭''' ||<-2> 10.2m || ||<-2> '''전고''' ||<-2> 3.3m || ||<-2> '''승무원''' ||<-2> 1명 || ||<-2> '''익면적''' ||<-2> 17.44m² || ||<-2> '''자체중량''' ||<-2> 2,699kg || ||<-2> '''전비중량''' ||<-2> 3,355kg || ||<-2> '''최대이륙중량''' ||<-2> 3,402kg || ||<-2> '''엔진''' ||<-2> 미쿨린 AN-35A 12기통 수랭식 피스톤 엔진 1기, 1,332마력 || ||<-2> '''최고속도''' ||<-2> 505km/h[* 해수면], 640km/h[* 7,800m] || ||<-2> '''항속거리''' ||<-2> 820km || ||<-2> '''최고 고도''' ||<-2> 12,000m || ||<-2> '''상승률''' ||<-2> 12.96m/s || ||<-2> '''무장''' ||<-2> 엔진 카울링에 베레진 UBS 12.7mm 기관총 1정, 엔진 카울링에 [[ShKAS]] 7.62mm 기관총 2정[* 후기 모델들은 주익 하방에 베레진 UBK 12.7mm 기관총 2정을 추가장착했다.][br]RS-82 로켓 6발, 혹은 100kg 폭탄 2발 || == 개발 == [[MiG-1]]의 개량형으로, MiG-1은 [[Yak-1]], [[LaGG-3]]보다 고속에 고기동성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정작 실전에서는 빈약한 맷집에 신뢰성 부족으로 100여기 정도만 생산하고 퇴출당했다. MiG-3는 이런 문제점을 대대적으로 개선하게 되는데 시제기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 * 엔진을 전방으로 100mm 전진시켜서 종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 새로운 방열기를 장착 * 조종석 하단에 250L의 연료탱크를 장착한다 * 추가적인 연료탱크는 엔진 아래에 장착된다. * 조종석 후방은 8mm 장갑판을 장착한다. * 슈퍼차저 흡입구는 유선형으로 다듬는다. * 주 [[랜딩기어]]를 강화하고 바퀴의 크기 또한 증가시킨다. * 캐노피의 유리를 확장시켜서 후방 시야를 향상시키며 여기서 확보된 공간에 무전기를 설치한다. * 날개 아래에 220kg의 폭탄을 장착할 수 있는 2개의 [[파일런|하드포인트]]를 추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량은 MiG-1에 비해서 250kg가량 기체의 중량을 증가시켰고 운동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상승력과 상승한도가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항속거리는 1000km를 충족시켰으며 7,300m에서 640km/h의 속력을 뽑아내는등 나름대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기에 초기 단계에서 문제가 있었음에도 양산되게 된다. 640km/h의 속력은 비슷한 시기에 [[Bf109|Bf109F-2]]가 615km/h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스핏파이어 Mk.V]]가 603km/h의 속력을 가진 것과 비교하면 확실히 빠른 편이다. == 문제점 == MiG-3는 고고도 요격기로 설계된 기체임에도 고고도에서의 성능에 문제가 있었는데 산소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았으며 비행 안정성이 대단히 떨어져서 실속과 스핀 특성이 대단히 위험하였으며 이는 숙련되지 않은 조종사들에게 더 심각한 문제였다. 한마디로 속력'''만''' 빨랐다는 이야기이다. 게다가 그 빠른 속력도 어디까지다 고고도에서의 이야기지 저고도에서의 속력은 전혀 우수하지 못했다. 해수면에서 속력은 505km/h인데 Bf109F-2의 해수면에서의 속력은 515km/h으로 오히려 더 느려진다.[* 게다가 그 빠르다는 속도도 F-4부턴 Bf109한테 밀리게 된다.] 독일 공군의 [[Bf 109]]과 [[Fw-190]]는 물론이고 저고도에서 성능도 나쁜편이라 저고도에서 우수한 기동성을 지닌 다른 소련의 항공기와 비교해도 영 좋지가 못했다. 그래서 1년여간 약 3,300기 정도가 생산되었으나, 저공전투가 대부분인 [[독소전쟁]]에서는 그다지 쓸모가 없어 보다 저공비행성능이 우수한 [[Yak-3]], [[La-5]] 등의 신형 전투기가 등장하자 퇴출당했다. 미그 설계국에게는 불운이었지만, 당에서는 미그 설계국에게 새로운 전투기 개발을 지시하였다. 덕분에 전투기 양산에 정신없는 다른 항공기 설계국을 제치고 한 걸음 먼저 나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MiG 시리즈의 전설이 시작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래도 [[수호이]] 설계국보다는 낫다. Su-1/3은 기체결함으로 양산은 커녕 각기 1대씩밖에 생산되지 못했다. 스탈린이 수호이 설계국 설계진을 시베리아에 몇 년 정도 보낸 일에 비교한다면(...).] == 운용 == 독소전 초기 대부분 출격해보지 못하고 폭격을 맞아 MiG-1과 함께 지상에서 파괴됐으며 베세라비아에서 온전한 기체가 루마니아군에게 노획되어 루마니아 공군의 톱 에이스인 콘스탄틴 칸타쿠치노가 테스트 비행했다. 그러나, 일단 생산된 MiG-3은 계속 사용되었다. 당장 소련은 전투성능이 떨어진다고 멀쩡한 전투기를 버릴만한 상황이 아니었다. [[I-15]]같은 [[복엽기]]도 후방부대에서 사용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런 곳에 MiG-3 수준의 전투기면 감지덕지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고고도로 침투해오는 적의 정찰기를 격추하는데는 MiG-3밖에 대응수단이 없었다. 비록 동부전선의 항공전이 저고도에서 주로 이루어졌지만, 독일도 고고도를 나는 폭격기 개수형 정찰기를 자주 내보냈기 때문에, 이들을 막아야 할 필요는 충분했다. 그러나 MiG-3가 올린 요격 성과는 극히 미미했다. == 매체에서 == * [[워 썬더]]에서 소련 2랭크 요격기로 등장한다. 고고도에서 성능 저하가 없는 몇 안되는 소련 기체이지만, 기동성이 둔하기 때문에 선회전은 금물이다. 또한 요격기치고는 화력이 출중하지 않아 장갑이 두꺼운 폭격기를 상대로 고전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IL-2 Sturmovik]] 시리즈 * IL-2 Sturmovik: 1946 * [[IL-2 Sturmovik: Great Battles]] ||[[파일:mig3.jpg|width=1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L-2 Sturmovik: Great Battles/Mig3)]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군 항공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전투기]][[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분류:미그]][[분류:핀란드군/항공기]][[분류:1940년 공개]][[분류:1941년 출시]][[분류:194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