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샤오미 한국 출시 스마트폰)] [include(틀:샤오미 시리즈)] ||<-3> [[파일:Xiaomi_Mi_A1_All_MIcn.png|width=100%]] || || {{{#9c9b9f '''블랙'''}}} || {{{#ffffff '''골드'''}}} || {{{#ffffff '''로즈 골드'''}}} || ||<-3> [[http://www.g-mobikorea.com/a1|{{{#ffffff 지모비코리아 샤오미 Mi A1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샤오미]]가 2017년 7월과 9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6XX 라인업#s-3.5|퀄컴 스냅드래곤 625 MSM8953]]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Octa-Core 2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06 65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546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9 LTE Modem]] ||}}}}}}|| ||[[메모리]]||4 GB LPDDR3 SDRAM, 64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256 G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0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Tianma]], EBBG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br][[고릴라 글래스]] 3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7 F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 1,200만 화소|| F/2.2|| [[위상차 검출 AF]]||<|2>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망원 || 1,200만 화소|| F/2.6|| ||}}}||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308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 (10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7.1 (Nougat) → 8.0 → 8.1 (Oreo) → 9.0 (Pie)|| ||규격||75.8 x 155.4 x 7.3 mm, 165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골드'''||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하이브리드 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FM#s-2]] [[라디오]] 지원[*P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이후 추가 지원.]|| ||<-2> '''한국 출시 모델인 MDG2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SoC|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 6]]25 MSM8953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Octa-Core 2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06 65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546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9 LTE Modem]] ||}}}}}} || ||<-2>[[메모리]] ||4 GB LPDDR3 SDRAM, 32 / 64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128 GB 공식 지원) || ||<-2>[[디스플레이]] ||5.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0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br][[고릴라 글래스]] 3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2>[[네트워크]]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7 FDD & [[TD-LTE|TDD]]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2>근접통신 ||[[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 ||<-2>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Beidou]] || ||<-2>[[카메라]] ||전면 500만 화소[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기본 || 1,200만 화소|| F/2.2|| [[위상차 검출 AF]]||<|2>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보조 || 1,200만 화소|| F/2.6|| ||}}} || ||<-2>[[배터리]] ||내장형 Li-Polymer 308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 (10 W) ||}}}}}} || ||<|2>[[운영체제|운영[br]체제]] || '''{{{#ffffff 5X}}}''' ||[[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7.1 (Nougat) → 8 → 8.1 (Oreo) / [[MIUI]] 8 → 9 → 10 → 11 || || '''{{{#ffffff A1}}}''' ||[[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7.1 (Nougat) → 8.0 → 8.1 (Oreo) → 9.0 (Pie) || ||<-2>규격 ||75.8 x 155.4 x 7.3 mm, 165 g || ||<-2>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블랙''', '''골드''', '''로즈 골드''', 레드 || ||<-2>단자정보 ||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2>생체인식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2>기타 ||[[FM#s-2]] [[라디오]] 지원[*P] || }}}}}}}}}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g-mobikorea.com/a1|안드로이드 원 글로벌 듀얼심 모델 MDG2 기준]](한국 출시 모델) * 4G [[LTE]]-FDD Band 1, 3, 5, 7, 8, 20 * 3G [[WCDMA]] 850, 900, 1900, 21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상세 == [[샤오미 Mi 5 시리즈|Mi 5]]의 리비전 모델이다. 이미 Mi 5의 후속작인 [[샤오미 Mi 6 시리즈|Mi 6]]가 공개된 상황에서 뜬금없이 공개되었기 때문에 [[샤오미]]의 오프라인 판매 전략을 실험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출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2017년 7월에 [[MIUI]] 모델인 Mi 5X가 공개되었고, 2017년 9월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i A1이 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Mi 5보다는 Mi 6과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으며 [[Apple|애플]]의 [[iPhone 7 Plus|아이폰 7 Plus]]와 유사해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기본 색상은 블랙, 골드, 로즈 골드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6]]25 MSM8953을 사용한다. [[ARM Cortex-A53]]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506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4 GB다. 내장 메모리는 32 GB와 64 GB로 이원화되었다. 또한, mirc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단, 하이브리드 듀얼심 방식이기 때문에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는 5.5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7로 다운로드 최대 300 Mbps, 업로드 최대 10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VoLTE]]를 지원하고, Full Netcom 3.0의 듀얼심 솔루션을 지원하며 두 개의 [[SIM]] 카드로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08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3,030 mAh이다. 또한, 퀄컴 퀵 차지 1.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1,200만 화소 [[카메라]]를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로 1,200만 화소 [[카메라]]를 보조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그리고 기본 카메라는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또한, 조리개값은 기본 카메라가 F/2.2이고 보조 카메라가 F/2.6이다. 이는 Mi 6와 동일한 카메라 사양이지만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은 탑재되지 않았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중앙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7.1 누가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MIUI]] 모델은 이를 기반으로한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9를 탑재했으며 [[안드로이드 원]] 모델은 순정 안드로이드를 탑재했다. === 기능 === * 카메라 성능 강화 [[안드로이드 원]] 모델 한정으로 [[샤오미]]가 직접 개발한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었다. 이는 듀얼 렌즈 구성의 [[카메라]]를 안드로이드 순정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동일한 하드웨어에 [[샤오미]]의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MIUI]] 모델과 비교할 때 기본적으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차이로 인해 카메라 성능은 [[안드로이드 원]] 모델이 더 개선되어 보인다는 평가도 있다. == 출시 == === 한국 시장 === 2017년 10월 9일, [[안드로이드 원]] 모델이 한국 시장에 [[http://www.etnews.com/20171009000006|출시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20만 원 후반대로 출고가가 책정될 것으로 보이며 [[갤럭시 J 시리즈/2017년]] 및 [[LG Q6|Q6]] 등과 경쟁을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샤오미 Mi MIX|Mi MIX]]와 동일하게 [[샤오미]]와 총판 계약을 진행한 지모비코리아에서 한국 출시 절차를 밟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A/S는 [[아이나비]]로 위탁되어 실시된다고 한다. 2017년 12월 5일,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92699|구체적인 출시 일정]] 소식이 전해졌다. 동년 12월 14일에 출시되며 출고가는 299,900 원으로 책정되었다고 한다. 또한, [[소니 모바일]]처럼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하면서 이동통신사에 위탁 유통을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아이나비]] 카내비 대리점과 인터넷 쇼핑몰 그리고 [[MVNO]] 통신사를 통한 [[단말기 자급제]] 유통 방식을 실시한다고 한다. 2017년 12월 6일, 국립전파연구원에서 한국 출시 모델로 추정되는 기기인 MDG2가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1717210000262959|전파인증을 통과]]했다. 이 역시 [[샤오미 Mi MIX|Mi MIX]]와 동일하게 지모비코리아에서 [[샤오미]] 대신 절차를 밟은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한국 시장에 최초로 출시된 [[안드로이드 원]] 탑재 [[스마트폰]]이며 2017년 기준 [[넥서스 5X]] & [[넥서스 6P]] 이후로는 처음으로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된 [[스마트폰]] 중 구글이 직접 소프트웨어 지원을 보장하는 [[스마트폰]]이다. 보장 기간은 2년이며 매 월 마다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역시 지속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박스 패키징에 번들 이어폰이 포함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보호 필름이 한 장 제공된다. 그리고 충전기가 프리 볼트가 아닌 [[http://underkg.co.kr/unboxing/2021928|220 V 전용]]이라고 한다. === 한국 시장 이외 === [[샤오미]]가 진출한 국가 및 지역에 적절하게 출시되었다. 또한, 구글과 정식으로 협력한 것이기 때문에 [[샤오미]]가 직접적으로 진출하기 어려운 국가 및 지역 시장에도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안드로이드 원]] 플랫폼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구글]]의 조건에 따라 제조사인 [[샤오미]]의 OS 업그레이드 지원이 출시 기준 18개월 동안 보장된다. ==== [[안드로이드 누가|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 ==== 2017년 11월 경,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TTA-[[VoLTE]]를 지원하게 되었다. 즉, 한국 내에서의 [[VoLTE]] 사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LG U+]]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 8.1 오레오]] ==== 2017년 말까지 [[안드로이드 원]] 모델에 대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관련 문의에 대해 [[샤오미]]는 2018년 1월 1일에 [[https://forum.xda-developers.com/mi-a1/how-to/oreo-stable-t3727003|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그런데 2017년 12월 31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OTA 방식으로만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OS 업그레이드 알림이 날라오지 않을 경우, 기기를 재부팅하거나 [[구글 플레이]] 서비스 및 구글 프레임워크의 데이터를 지우고 강제 종료한 다음 OS 업그레이드 알림을 확인하면 OS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있다. 2018년 5월 초,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베타 펌웨어가 [[https://forum.xda-developers.com/showpost.php?p=76374082&postcount=95|유출]]되었다. 2018년 6월 16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https://www.gizchina.com/2018/06/16/xiaomi-mi-a1-to-get-android-8-1-by-june-ending-starts-beta-testing/|동년 6월 말 내지 7월 초에 진행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6월 1일로 준비 중이며 이외에도 안드로이드 P 업그레이드 역시 [[샤오미]] 스마트폰 중에서는 가장 빠르게 실시될 것이라고 한다. 2018년 6월 30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다. 그런데, [[VoLTE]]가 비활성화되고[* 특히, 한국 시장에서 음성 통화는 LTE유심이동성 제도로 인해 기본적으로 [[VoLTE]]를 이용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문제는 3G [[WCDMA]]가 4G [[LTE]]를 백업해주지 못하는 [[LG U+]]로, 이 경우에는 아예 셀룰러 통신이 불가능해진다.] 저장되어 있던 문자메시지가 전부 삭제되어버리는 [[https://www.xda-developers.com/xiaomi-mi-a1-android-8-1-oreo-june-security-patches/|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다만, 기본 통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용 코드를 입력[* *#*#86583#*#*라고 한다. 입력하면 'Volte carrier check was disabled'라는 팝업이 뜨면서 [[VoLTE]]와 관련된 이동통신사 검사를 비활성화시켜 강제로 [[VoLTE]]를 활성화시킨다.]하면 [[VoLTE]]가 다시 활성화된다고 한다.[* 이는 펌웨어 내부에서 [[VoLTE]]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사 목록에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가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SIM]] 카드를 장착해도 [[VoLTE]] 미지원 이동통신사로 분류되어서 기기가 [[VoLTE]]를 비활성화시킨 것이다. 이는 샤오미가 의도적으로 진행했다기 보다는 펌웨어 개발 도중 한국 출시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고 누락시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8년 7월 17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특히,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중단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해당 펌웨어 업데이트로 사실상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재개되었다. 다만, 여전히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가 [[VoLTE]] 미지원 이동통신사로 분류된 것이 수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2018년 8월 21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1.0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가 다시 [[VoLTE]] 지원 이동통신사로 분류되어서 [[VoLTE]] 사용이 정상화 되었다. ==== [[안드로이드 파이|9.0 파이]] ==== 2018년 12월 9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PKQ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5일이다. 네덜란드부터 실시되었으며 한국은 실시되지 않았다. 2018년 12월 23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FM#s-2]] [[라디오]]가 활성화 되었고 터치 동작에서 지연 현상이 발생하던 문제가 해결되었다.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는 한국에서 실시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동시에 실시되었다. 그러나 2018년 12월 25일 기준, 일부 기기들에서 [[VoLTE]] 관련 오류들이 발생하여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중단되었다. 이후 2019년 1월 9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재개되었다. 다만, 이번에도 일부 기기에서 통화 수신이 되지 않는 문제[* 한국에서는 [[LG U+]]를 사용할 때 발생한다고 한다. 상대방이 전화를 발신하면 바로 끊겨버린다고 한다. 이에 대해 [[SIM]] 카드를 [[SIM]] 2에 장착하면 임시방편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가 발생한다고 한다. 해당 문제로 인해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재차 중단되었다. 그리고 동년 2월 20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다시 재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LG U+]]를 통한 통화 수신 불가능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또 다시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중단되었다. 이후 동년 4월 27일, 한국 출시 모델이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인 MDG2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또 다시 재개되었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드디어 통화 수신이 되지 않는 문제가 해결되었다. === 커스터마이징 === [[MIUI]] 모델과 [[안드로이드 원]] 모델은 거의 동일한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원]] 모델의 출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MIUI]] 모델에도 [[안드로이드 원]] 모델 기반의 [[안드로이드 원]] [[커스텀 롬]]이 포팅되었다. == 논란 및 문제점 == * 3.5 mm 단자를 통해 유선 이어폰을 연결해 사용하는 경우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한다. 기기마다 편차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청음 환경이 조용한 곳에서는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들리는 편이라고 한다. 기기 하드웨어 문제로 추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저항 어댑터를 연결하거나 아예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다행히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 화이트 노이즈가 많이 줄어들었거나 발생하지 않는 수준으로 크게 개선되었다고 한다.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 홈 런처 애플리케이션과 백그라운드에서 작동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이 정지되고 갑작스럽게 기기가 재부팅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이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갑작스럽게 기기가 재부팅되는 현상이 해결되었고 홈 런처 애플리케이션의 프리징 현상 발생 빈도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 배터리 소모가 증가해 배터리 타임이 줄어들었다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이외에도 펌웨어에 고속충전 기술과 관련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가 있었으나 이후 실시된 마이너 업데이트를 통해 다시 제거되었다. *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따라 [[http://c.mi.com/thread-624851-1-0.html|디스플레이 색감에 차이]]가 있다고 한다. 비교적 시원한 톤은 Tianma에서 공급한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따뜻한 톤은 Ilitek(EBBG)에서 공급한 [[디스플레이]] 패널이라고 한다. 또한, 초기 불량인지는 알 수 없으나 Tianma에서 공급한 [[디스플레이]] 패널 중 일부는 잔상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디스플레이 제조사를 확인하는 방법은 기본 다이얼 [[애플리케이션]]에서 *#*#6484#*#*를 누르면 진입하는 version information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 [[GPS]] 동작에 문제가 발생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 실시간 위치를 잘 잡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한국 출시가 진행된 기기임에도 한국 시장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무관심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 의견이 있다. 당장 펌웨어 개발 과정 중 [[VoLTE]]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사 목록에서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가 제외되었음에도 약 2개월 가량 수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지도 못하여 사용자의 버그 리포트를 수개월간 무시하였고, 한국내 서비스센터에서는 통신사 코드가 삭제되기 전의 펌웨어가 담긴 메인보드로 교체하는 방식으로만 우회적으로 해당 문제를 해결할 뿐, 실질적으로 샤오미 본사와 소통하여 해당 펌웨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았다. 이는 샤오미의 한국 시장에 대한 무관심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 기타 == * [[블랙베리(기업)|블랙베리]]의 [[블랙베리 KEYone|KEYone]]과 [[화웨이]]의 [[화웨이 Be Y2|Be Y2]]의 출시 시기가 한국 시장에 2017년 12월로 잡히는 바람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06/2017120602554.html|셋이 묶여서 다뤄지는 경우]]가 많다. 세 기기가 공통적으로 중상급형 하드웨어 사양을 가지고 있고 중국 제조사의 [[스마트폰]][* [[블랙베리 KEYone|KEYone]]의 경우 [[블랙베리(기업)|블랙베리]]가 캐나다 제조사라는 반론이 나오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기기의 출시을 좌지우지하는 쪽은 기기를 생산하는 중국 제조사인 [[http://www.blackberrymobile.com/kr/about-us/|TCL]]이라 묶이고 있다. 실제로 [[블랙베리 KEYone|KEYone]]의 한국 시장 출시 절차는 [[블랙베리(기업)|블랙베리]]가 아닌 TCL 산하 브랜드인 알카텔이 주도하고 있다.]이라는 점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쪽만 이동통신사와 관계 없이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되었고 [[화웨이 Be Y2|Be Y2]]는 [[KT]] 단독으로 출시되었으며 [[블랙베리 KEYone|KEYone]]은 CJ [[헬로모바일]] 단독으로 출시되었다.] * [[샤오미]]는 대체적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 성능이 떨어지는 평가를 받아왔는데, 이번에도 딱 기기 출고가 만큼의 성능을 보인다고 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기존 [[샤오미 Mi 시리즈|Mi 시리즈]] [[스마트폰]]보다 나아지기는 했지만 [[샤오미 Mi 시리즈|Mi 시리즈]]가 [[샤오미]]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브랜드 임을 감안[* 단, [[샤오미]]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아니다. 정통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Mi 5이며 이쪽은 Mi 5의 파생 모델이기 때문이다.]하면 떨어지는 결과물을 보여준다고 한다. 주간 촬영 결과물는 준수[* 일상 기록용 및 [[SNS]] 업로드 용으로는 충분하지만 결과물을 확대하면 디테일이 뭉개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해도 저조도 환경의 야간 촬영 결과물은 기대하지 않는 편이 좋다는 의견이 많다. 특히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다른 설정 없이 촬영한다면 결과물에 노이즈가 굉장히 심하게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기준으로 HDR 촬영 시 결과물에 색감 왜곡 현상이 심하게 발생한다고 한다. * [[MIUI]] 모델과 [[안드로이드 원]] 모델은 거의 동일한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지만 출고가는 동일한 하드웨어 사양에 한해서 [[안드로이드 원]] 모델이 상대적으로 가격 대비 성능비가 좋다는 평가가 많다. * [[MIUI]] 모델과 [[안드로이드 원]] 모델 둘 다 [[NFC]]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NFC]]를 이용한 각종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제약이 있을 뿐더러 [[안드로이드 원]] 모델의 경우 [[구글 페이]]까지 사용할 수 없다. 더군다나 [[안드로이드 원]] 모델은 [[FM#s-2]] [[라디오]]도 지원하지 않는다.[* 하드웨어는 탑재되어 있으나 [[FM#s-2]] [[라디오]]를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없다. 이는 [[FM#s-2]] [[라디오]]를 지원하지 않는 구글의 정책에 의한 것으로 루팅 등을 통해 샤오미의 [[FM#s-2]] [[라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 [* 다만, 같은 [[안드로이드 원]]임에도 [[LG Q9 One]]은 FM 라디오를 지원한다.] 안드로이드 파이에서 [[FM#s-2]] [[라디오]]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면서 라디오 관련 논란은 과거의 이야기가 되었다. * 기기 최초 설정 시 시스템 언어 설정을 한국어(대한민국)로 설정하면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 셔터음이 강제적으로 나온다. 이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자체에 설정된 것이라 공식적인 방법으로는 해제할 수 없다. 한국어를 사용하면서 카메라 셔터음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은 최초 설정 시 시스템 언어 설정을 한국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로 하면 된다.(...) 단, 이 경우에는 [[구글 어시스턴트|어시스턴트]]를 사용할 수 없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샤오미 Mi 시리즈, version=428, paragraph=2.5.4)] [[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샤오미·BlackShark]][[분류:안드로이드 원]][[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