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샤오미 시리즈)] [목차] == 샤오미 Mi 5 == ||<-3> [[파일:Xiaomi_MI5_1.jpg|width=100%]] || || {{{#ffffff '''블랙'''}}} || {{{#c0c0c0 '''화이트'''}}} || {{{#ffffff '''골드'''}}} || ||<-3> [[http://www.mi.com/mi5/|{{{#ffffff 중국 샤오미 Mi 5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샤오미]]가 2016년 2월, [[MWC]] 2016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 Xiaomi Mi 5 Standard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Lite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MP2 1.8 GHz + MP2 1.4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510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메모리]]||3 GB LPDDR4 SDRAM, 32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1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28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2CA]]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NFC]] ||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Ultra Pixel 4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30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8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Nougat) → 8.0 (Oreo)[br][[MIUI]] 7 → 8 → 9 → 10 || ||규격||69.2 x 144.6 x 7.3 mm, 129 g || ||색상[*A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화이트''', '''골드''', 퍼플 ||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 || }}} ==== Xiaomi Mi 5 {{{#ff7f00 Prime}}}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MP2 2.2 GHz + MP2 1.6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624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메모리]]||3 GB LPDDR4 SDRAM, 64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1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28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2CA]]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NFC]] ||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Ultra Pixel 4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30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8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Nougat) → 8.0 (Oreo)[br][[MIUI]] 7 → 8 → 9 → 10|| ||규격||69.2 x 144.6 x 7.3 mm, 129 g || ||색상[*A]||'''블랙''', '''화이트''', '''골드''', 퍼플 ||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 || }}} ==== Xiaomi Mi 5 {{{#3f00ff,#3f00ff Ceramic Edition}}}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MP2 2.2 GHz + MP2 1.6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624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메모리]]||4 GB LPDDR4 SDRAM,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1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28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2CA]]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NFC]] ||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Ultra Pixel 4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내장형 Li-Polymer 30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8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Nougat) → 8.0 (Oreo)[br][[MIUI]] 7 → 8 → 9 → 10 || ||규격||69.2 x 144.6 x 7.3 mm, 138 g || ||색상[*A]||'''블랙''' ||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 || }}} === 이동통신 주파수 === __스탠다드 모델__, {{{#ff7f00 프라임 모델}}} 그리고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 모두 공통된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mi.com/en/mi5/specs/|글로벌 모델 기준]](한국 미 출시) * 4G [[LTE]]-FDD Band 1, 3, 5, 7 / 4G [[LTE-TDD]] Band 38, 39, 40, 41 * 3G [[WCDMA]] 850, 900, 1900, 2100 MHz / 3G [[TD-SCDMA]] 1900, 20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CDMA]] 계열 네트워크 800 MHz === 상세 === 약 1년 6개월 만에 공개된 Mi 4의 후속작이며 [[샤오미]] 창사 이래로 최초로 참가한 [[MWC]] 2016에서 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Mi 4c와 유사한 [[갤럭시 노트5|후면 엣지]] [[갤럭시 S7|디자인]]을 적용했다. 후면 엣지 디자인을 위한 소재로 세라믹 소재를 사용한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도 존재한다. 기본 색상은 __스탠다드 모델__과 {{{#ff7f00 프라임 모델}}}이 블랙, 화이트, 골드로 총 3종이며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은 블랙 단일 색상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을 사용한다. [[Qualcomm Kryo]]를 듀얼코어 [[CPU]]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서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리틀 클러스터 형태를 만들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530 [[GPU]]를 사용한다. 다만, 여기서 __스탠다드 모델__은 CPU 클럭, GPU 클럭, 메모리 클럭까지 모조리 다운클럭해 사용한다. 특이 사항으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를 탑재한 [[스마트폰]] 중 스로틀링 현상이 상대적으로 억제되었다고 한다. 즉, 동일한 모바일 AP를 탑재한 기기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고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__스탠다드 모델__과 {{{#ff7f00 프라임 모델}}}이 3 GB고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이 4 GB다. 내장 메모리는 __스탠다드 모델__이 32 GB 단일 모델, {{{#ff7f00 프라임 모델}}}이 64 GB 단일 모델 그리고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이 128 GB 단일 모델이며 공통적으로 [[UFS]] 2.0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한다. 다만, mirc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15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12·13로 다운로드는 Cat.12를 적용해 최대 600 M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또한 [[VoLTE]]를 지원하며 __스탠다드 모델__은 2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며 {{{#ff7f00 프라임 모델}}}과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은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한다. 여기에 Full Netcom 3.0의 듀얼심 솔루션을 지원하며 두 개의 [[SIM]] 카드로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국 내부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첫 번째 [[SIM]] 카드에 [[MVNO]]의 [[SIM]] 카드를 장착하고 두 번째 [[SIM]] 카드에 [[OPMD]] [[SIM]] 카드를 장착하거나 첫 번째 [[SIM]] 카드에 개인용 [[SIM]] 카드를 장착하고 두 번째 [[SIM]] 카드에 업무용 [[SIM]] 카드를 장착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0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2,910 mAh이다. 또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의 탑재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소니 엑스모어 IMX298 센서의 1,6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 성능을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잡은 것으로 보이지만 평가는 좋지 않은 편이다. 특히, 4축 OIS 기술을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영상 촬영 시 경쟁사의 경쟁 기기보다 결과물이 열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면 [[카메라]]는 Ultra Pixel 기술이 적용된 4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하단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7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초기 출고가는 __스탠다드 모델__이 1,999 위안, {{{#ff7f00 프라임 모델}}}이 2,299 위안,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이 2,699 위안으로 책정되었다. 2016년 3월 8일에 중국에서 출시되었다. 이후 동년 8월 16일, 출고가가 200 위안 씩 인하되어 __스탠다드 모델__이 1,799 위안, {{{#ff7f00 프라임 모델}}}이 2,099 위안,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이 2,499 위안으로 재책정되었다. 약 1개월 뒤인 동년 9월 29일에도 추가적인 출고가 인하로 __스탠다드 모델__이 1,599 위안, {{{#ff7f00 프라임 모델}}}이 1,799 위안, {{{#3f00ff,#3f00ff 세라믹 에디션}}}이 2,399 위안으로 재책정되었다. 2018년 9월 20일, [[MIUI]] 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 기타 === * 2016년 9월, 샤오미가 드디어 기기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면서 커스텀 롬 및 커스텀 커널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CPU 클럭과 GPU 클럭, 그리고 메모리 클럭이 모두 다운클럭된 __스탠다드 모델__을 원상복구 시켜주는 커스텀 커널 개발이 속속 나오고 있다. 여기에 2016년 10월 22일부터는 [[CyanogenMod]]의 공식 지원 기기 명단에 올라오면서 [[CyanogenMod]]를 정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CyanogenMod]]이 중단되고 정신적 후속작인 [[Lineage OS]]가 공개되면서도 공식 지원 기기 명단에서 제외되지 않았으며 2018년 9월 기준, 안드로이드 8.1 오레오 기반 커스텀 롬인 [[Lineage OS]] 15.1까지 정식으로 지원한다. * [[샤오미]]의 [[스마트폰]] 중에서는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가장 빠르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수용 펌웨어는 2016년 12월 10일 기준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국 내수용 펌웨어를 기반으로 빌드를하는 각종 커스텀 롬도 안드로이드 7.0 누가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한다. 이후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역시 가장 빠르게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안드로이드 9 파이의 경우, 중국 내수용 펌웨어는 2018년 9월 2일 기준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후 안드로이드 9 파이 기반으로도 개발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 2018년 3월 10일, [[xda-developers]]를 통해 [[https://source.android.com/devices/architecture/treble|Treble]]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 Xiaomi Mi 5s == || [[파일:Xiaomi_Mi5s_1_MIcn.jpg|width=100%]] || || [[http://www.mi.com/mi5s/|{{{#ffffff 중국 샤오미 Mi 5s 공식 사이트}}}]] || === 개요 === [[샤오미]]가 2016년 9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MP2 2.2 GHz + MP2 1.6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653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2>[[메모리]]||3 GB LPDDR4 SDRAM, 64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4 GB LPDDR4 SDRAM,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1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28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2>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및 [[Force Touch]]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3CA]]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Ultra Pixel 400만 화소, 후면 1,23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32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18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Nougat) → 8.0 (Oreo)[br][[MIUI]] 8 → 9 → 10 → 11|| ||규격||70.3 x 145.6 x 8.25 mm, 145 g|| ||색상[*A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라이트 그레이''', '''골드''', '''실버''', '''로즈 골드'''||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생체인식||[[지문인식]] - 초음파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mi.com/mi5s/specs/|중국 출시 모델 기준]](2016년 10월 15일 기준 / 한국 미 출시, 글로벌 시장 미 출시) * 4G [[LTE]]-FDD Band 1, 3, 5, 7, 8 / 4G [[LTE-TDD]] Band 38, 39, 40, 41 * 3G [[WCDMA]] 850, 900, 1900, 2100 MHz / 3G [[TD-SCDMA]] 1900, 20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CDMA]] 계열 네트워크 800 MHz === 상세 === [[샤오미]]가 Mi 5 공개 약 7개월 만에 공개한 Mi 5의 리비전 모델이다. 정황상 [[Apple|애플]]의 [[iPhone]] 시리즈와 비슷한 목적에서의 리비전으로 추정된다. 전작과 패밀리 룩을 이루고 있으나, 디자인 요소 및 기본 색상 구성이 [[Apple|애플]]의 [[iPhone]] 시리즈와 더욱 유사해졌다. 기본 색상은 라이트 그레이, 골드, 실버, 로즈 골드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를 사용한다. [[Qualcomm Kryo]]를 듀얼코어 [[CPU]]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서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리틀 클러스터 형태를 만들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530 [[GPU]]를 사용한다. 이는 [[퀄컴 스냅드래곤 8|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동일한 구성이며 [[CPU]] 및 [[GPU]] 클럭이 일부 상향된 리비전 AP이다. 하지만, [[CPU]] 클럭과 [[GPU]] 클럭 모두 다운클럭해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동일하게 맞춰서 사용한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3 GB와 4 GB로 이원화되었다. 내장 메모리는 [[UFS]] 2.0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3 GB RAM 모델의 내장 메모리는 64 GB 단일 모델이고 4 GB RAM 모델의 내장 메모리는 32 GB와 128 GB로 이원화되었다. 다만, mirc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15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TFT-LCD이다. 또한, [[포스 터치]]를 지원한다. 지원 [[LTE]] 레벨은 Cat.12·13로 다운로드는 Cat.12를 적용해 최대 600 M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고, Full Netcom 3.0의 듀얼심 솔루션을 지원하며 두 개의 [[SIM]] 카드로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2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3,100 mAh이다. 또한, [[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의 탑재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소니 엑스모어 IMX378 센서의 1,23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이는 [[넥서스 6P]]에 탑재된 카메라 센서인 소니 엑스모어 IMX377의 개선판이며 [[구글 픽셀|픽셀]]에 탑재된 카메라 센서와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다만, Mi 5에 탑재되었던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은 탑재되지 않았다. 전면 [[카메라]]는 Ultra Pixel 기술이 적용된 4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초음파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하단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8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 Xiaomi Mi 5s Plus == || [[파일:Xiaomi_Mi5sP_1_MIcn.jpg|width=100%]] || || [[http://www.mi.com/mi5splus/|{{{#ffffff 중국 샤오미 Mi 5s Plus 공식 사이트}}}]] || === 개요 === [[샤오미]]가 2016년 9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Qualcomm Kryo]] MP2 2.4 GHz + MP2 2 GHz [[CPU]] || || [[GPU]] ||[[퀄컴 Adreno]] 530 653 MHz [[GPU]] || ||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 Sensor Hub ||DSP 대체 || ||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2>[[메모리]]||4 GB LPDDR4 SDRAM, 64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6 GB LPDDR4 SDRAM,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7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386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3CA]] Cat.12·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TD-SCDMA]][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NFC]]||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Ultra Pixel 400만 화소[br]{{{#!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컬러 || 1,3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2>듀얼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흑백 || 1,300만 화소|| ||}}}|| ||[[배터리]]||내장형 Li-Ion 38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3.0 (-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Nougat) → 8.0 (Oreo)[br][[MIUI]] 8 → 9 → 10 → 11 || ||규격||77.7 x 154.6 x 7.95 mm, 168 g|| ||색상[*A]||'''라이트 그레이''', '''골드''', '''실버''', '''로즈 골드'''||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mi.com/mi5splus/specs/|중국 출시 모델 기준]](2016년 10월 15일 기준 / 한국 미 출시, 글로벌 시장 미 출시) * 4G [[LTE]]-FDD Band 1, 3, 5, 7 / 4G [[LTE-TDD]] Band 38, 39, 40, 41 * 3G [[WCDMA]] 850, 900, 1900, 2100 MHz / 3G [[TD-SCDMA]] 1900, 20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CDMA]] 계열 네트워크 800 MHz === 상세 === [[샤오미]]가 Mi 5 공개 약 7개월 만에 공개한 Mi 5의 리비전 모델인 Mi 5s의 대형화 형제 모델이다. 정황상 [[Apple|애플]]의 [[iPhone]] 시리즈와 비슷한 목적에서의 리비전으로 추정된다. 전작과 패밀리 룩을 이루고 있으나, 디자인 요소 및 기본 색상 구성이 [[Apple|애플]]의 [[iPhone]] 시리즈와 더욱 유사해졌다. 특히, [[아이폰 7 Plus]]보다 크기가 작다는 부분을 세일즈 포인트로 삼고 있다. 기본 색상은 라이트 그레이, 골드, 실버, 로즈 골드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를 사용한다. [[Qualcomm Kryo]]를 듀얼코어 [[CPU]]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서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리틀 클러스터 형태를 만들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530 [[GPU]]를 사용한다. 이는 [[퀄컴 스냅드래곤 8|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동일한 구성이며 [[CPU]] 및 [[GPU]] 클럭이 일부 상향된 리비전 AP이다. 특히, 다운클럭 하는 경우가 많은 [[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의 [[CPU]] 클럭과 [[GPU]] 클럭을 온전히 사용하고 있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4 GB와 6 GB로 이원화되었다. 내장 메모리는 [[UFS]] 2.0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4 GB RAM 모델의 내장 메모리는 64 GB 단일 모델이고 6 GB RAM 모델의 내장 메모리는 128 GB 단일 모델이다. 다만, mirc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7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12·13로 다운로드는 Cat.12를 적용해 최대 600 M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고, Full Netcom 3.0의 듀얼심 솔루션을 지원하며 두 개의 [[SIM]] 카드로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8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3,700 mAh이다. 또한, [[퀄컴 스냅드래곤 8]]21 MSM8996 Pro의 탑재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를 RGB 컬러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로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흑백 모노크롬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그리고 RGB 컬러 카메라는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이 같은 방식은 [[화웨이]]의 [[화웨이 P9|P9]] 및 [[화웨이 P9 Plus|P9 Plus]]와 유사하게 서로 다른 렌즈로 동시에 촬영 후 하나의 결과물로 합성을 한다. 다만, Mi 5에 탑재되었던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은 탑재되지 않았다. 전면 [[카메라]]는 Ultra Pixel 기술이 적용된 4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 하단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8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각주] ----- == Xiaomi Mi 5c == ||<-3> [[파일:Xiaomi_Mi5c_All_MIcn.jpg|width=100%]] || || {{{#ffffff '''블랙'''}}} || {{{#ffffff '''골드'''}}} || {{{#ffffff '''로즈 골드'''}}} || ||<-3> [[http://www.mi.com/mi5c/|{{{#ffffff 중국 샤오미 Mi 5c 공식 사이트}}}]] || === 개요 === [[샤오미]]가 2017년 2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샤오미|Xiaomi]] Surge S1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53]] MP4 2.2 GHz [[CPU]] [[ARM Cortex-A53]] MP4 1.4 GHz [[CPU]] || || [[GPU]] ||[[ARM Mali]]-T860 MP4 800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파트넘버 불명) 내장 ||}}}}}}|| ||[[메모리]]||3 GB LPDDR3 SDRAM, 64 GB [[eMMC]] 5.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15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IPS TFT-LCD (428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 [[LTE]] Cat.6 [[TD-LTE|TDD]]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TD-SCDMA]][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a/b/g/n, [[블루투스]] 4.1, [[NFC]] ||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800만 화소, 후면 1,2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내장형 Li-Ion 286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고속충전 ||(명칭 불명) - 자체 규격 (18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7.1 (Nougat)[br][[MIUI]] 8 → 9 → 10 → 11 || ||규격||69.7 x 144.4 x 7.1 mm, 135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골드''', '''로즈 골드'''|| ||단자정보||USB 2.0 Type-C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 Full Netcom 3.0 ||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얼굴인식 지원여부 확인 필요 ||기타||[[FM#s-2]] [[라디오]] 지원||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mi.com/mi5c/specs/|중국 출시 모델 기준]](2017년 3월 11일 기준 / 한국 미 출시, 글로벌 시장 미 출시) * 4G [[LTE-TDD]] Band 38, 39, 40, 41 * 3G [[TD-SCDMA]] 1900, 2000 MHz * 2G [[GSM]] 850, 1800, 1900 MHz === 상세 === 2016년에 출시된 Mi 5의 리비전 모델이다. Mi 5와 패밀리 룩을 이루고 있으나, 기기 규격이 전방위적으로 축소되었다. 기본 색상은 블랙, 골드, 로즈 골드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자사의 [[샤오미]] Surge S1를 사용한다. [[ARM Cortex-A53]] 옥타코어 [[CPU]]와 [[ARM Mali]]-T860 쿼드코어 [[GPU]]를 사용하며 생산 공정은 [[TSMC]]의 28nm HPC+ 공정에서 생산된다. 이는 [[샤오미]] 자사 최초이자 마지막 자체 모바일 AP이다. RAM은 933 MHz로 작동하는 LPDDR3 SDRAM 방식이며 3 GB다. 내장 메모리는 64 GB 단일 모델로 mirc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15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TFT-LC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6로 다운로드 최대 30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VoLTE]]을 지원하고, Full Netcom 3.0의 듀얼심 솔루션을 지원하며 두 개의 [[SIM]] 카드로 4G 네트워크와 3G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86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2,810 mAh이다. 또한, [[샤오미]] 자체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1,2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7.1 누가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 8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 [[샤오미 Mi A1|Xiaomi Mi 5X & Mi A1]] == [[샤오미 Mi A1]] 문서 참조. 한국 출시가 진행되었다. [[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6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7년]][[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샤오미·BlackShark]]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샤오미 Mi 시리즈, version=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