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E4IcCql8QA)] [[오스트리아]]의 남자 가수 우도 위르겐스(Udo Jürgens)[* 1934년 9월 30일생으로, 1964년에 '''[[https://youtu.be/LQV0pm_fPv8?si=0aJ1dmSd0RSVl9kv|Warum nur, warum?]]'''이라는 노래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출전하여 6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듬해에 다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나가서 [[https://youtu.be/uZUz9Ndu7Vk?si=ojxpOOkg8lIg2iBD|Sag ihr, ich lass sie grüßen]]을 불러서 6위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 해인 1966년에 다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나가서 이 노래로 대상을 받았다. 2014년 12월 21일에 향년 80세로 작고.]가 1966년에 발표한 노래로 그 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출전하여 대상을 받은 곡이다. 제목은 [[프랑스어]]인데, 가사는 제목을 언급한 부분 및 Adieu를 제외하고 모두 [[독일어]]인 것이 특징이다. == 푸랑크 푸르셀의 편곡 == [youtube(xXViqkRv4O4?si=ccBrRI7IFXk2g4PB)] 노래 발표 몇 년 후에 프랑스의 음악가인 프랑크 푸르셀(Franck Pourcel)[* 1913년 8월 14일 생으로 많은 음악들을 작곡하고 편곡하고 지휘했다. 2000년 9월 12일에 향년 87세로 작고.]이 편곡한 연주곡이 발표된다. 이 연주곡은 [[문화방송|MBC]] 라디오 프로그램인 [[별이 빛나는 밤에]]의 시그널 음악으로 오랫동안 쓰이게 된다. 이 곡을 시그널 뮤직으로 고른 사람은 [[별이 빛나는 밤에]]의 진행 경력이 있었던 [[이종환(방송인)|이종환]]이었으며, 실제 시그널 음악으로 처음 쓰인 시기는 [[김기덕(DJ)|김기덕]]이 진행했던 시기였다. == 가사 == ||Merci, Merci, Merci, für die Stunden, Chérie, Chérie, Chérie Uns're Liebe war schön, so schön Merci, Chérie, Sei nicht traurig muss ich auch von dir gehen Adieu, Adieu, Adieu, Deine Tränen tun weh, So weh, So weh Unser Traum fliegt dahin, dahin, Merci, Chérie Weine nicht, Auch das hat so seinen Sinn Schau' nach vorn Nicht zurück Zwingen kann man kein Glück Denn kein Meer ist so wild wie die Liebe Die Liebe allein, Nur die kann so sein, So sein, So sein Merci, Merci, Merci für die Stunden, Chérie, Chérie, Chérie Uns're Liebe war schön, So schön Merci, Chérie, So schön, So schön Merci, Chérie So schön, So schön Merci, Chérie, Merci|| == 공연 영상 == ||[Youtube(Cr_2bhQY2H4)]|| || 1966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무대 영상 || ||[youtube(nIXrBV1idKc)]|| || 1969년 공연 || == 참고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611340?sid=110|DJ 이종환의 쉘부르[오후여담] - 문화일보 기사]] * [[https://hyunjiwoon.tistory.com/2173|#]] [[분류:오스트리아의 음악]][[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참가곡]][[분류:1966년 노래]][[분류:제목이 프랑스어인 문서]][[분류:별이 빛나는 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