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0년 모바일 게임]][[분류:어드벤처 게임]][[분류:비주얼 노벨]][[분류:일제강점기/창작물]][[분류:한국 게임]] [Include(틀:자라나는 씨앗 게임 목록)] ||<-2>
'''{{{+1 MazM: 페치카}}}[br]{{{-2 ''MazM: Петьк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zM 페치카.png|width=100%]]}}} || || '''개발''' ||[[자라나는 씨앗|[[파일:자라나는씨앗.png|height=28]]]] || || '''유통''' ||[[자라나는 씨앗|[[파일:자라나는씨앗.png|height=28]]]] || ||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height=16]]]] | [[iOS|[[파일:iOS 로고.svg|height=16]]]]}}} || || '''ES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Google Play|[[파일:Google Play 로고.svg|height=16]]]] | [[App Store|[[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16]]]]}}} || || '''장르''' ||[[어드벤처 게임|스토리 어드벤처]] || || '''출시''' ||[[2020년]] [[7월 29일]] || || '''엔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20]]]]}}} || || '''한국어 지원''' ||지원 || || '''관련 페이지''' ||[[https://cafe.naver.com/mazm/|[[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height=25]]]] [[https://twitter.com/gseeds_mazm|[[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5&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장 추운 곳에서 펼쳐지는 가장 뜨거운 이야기![*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올라왔을 처음 올린 게임 소개글. 현재는 바뀌었다.] [[2020년]] [[7월 29일]]에 출시한 [[어드벤처 게임]]. 20세기 초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배경으로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소설이나 동화를 원작으로 만든 MazM의 다른 작품하고는 다르게 실제 역사를 다룬다.[* 때문에 MazM 게임 인트로에 History(역사) 라는 단어도 같이 붙는다. 이에 걸맞게 실존 인물도 등장한다.] 잡학사전을 얻으면 [[러시아인]]의 호칭이나 러시아인과 [[한국인]]의 관계, [[러일전쟁]] 등 역사적 사건들과 관계들에 대해서 볼 수도 있다. 전작들하고는 다르게 웹툰처럼 스토리를 연재하며, 캐릭터 친밀도가 존재한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실존 인물은 ☆ 표시. === 표트르 === ||[[파일:표트르(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표트르 세르게예비치 벨로프(Петр Сергеевич Белов)[* 참고로 '표트르(Петр)' 라는 이름은 자신을 구해준 은인 [[최재형(독립운동가)|최재형]]의 러시아 이름을 따온 것이다. 벨로프(Белов)라는 성은 신문을 보고 스스로 지은 것.] 또는 백규영.[* 하지만 작중에서 백규영으로 불린 적은 없다. 다들 페챠(표트르의 애칭), 표트르, 벨로프 등 러시아 이름으로 부를 뿐이다. 사실 본인도 스스로를 백규영이라고 소개한 적이 없다.] 본작의 주인공. [[1888년]] [[11월 17일]]생. 러시아 국적의 조선인 남성이다. 표면적인 직업은 통역사.[* 일단 표면적인 직업이 통역사인 만큼 [[한국어|조선어]]를 비롯해 [[러시아어]], [[일본어]],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 특기도 여러 언어를 빨리 익히고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직업은 [[일본]] 총영사관 소속의 비밀 요원이다. 친아버지[* 표트르의 악몽 겸 과거 회상에서 나온 바에 따르면 직업은 통역사이며 [[한국어|조선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를 할 줄 안다.]를 죽였다는 누명 때문에 [[1905년]]부터 일본 총영사관에서 일하게 되었다. 하지만 계속해서 사람들에게 못할 짓을 저지르는 것[* 거짓말을 해서 상대방을 속여넘기는 것과, 자신을 믿는 사람들을 배신하는 일]에 대해 죄책감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앞으로 5명만 더 죽이면 자유를 주겠다는 총영사 니헤이 헤이지(二瓶兵二)[* 잡학사전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실존했던 인물로 추정된다. [[1883년]] [[3월]]생이며, [[1908년]]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 영법과를 졸업한 후, 외교관 및 영사관 시험에 합격하였다. 이후 [[1910년]] 영사관보에 임명되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근무했다. [[https://jahis.law.nagoya-u.ac.jp/who/docs/who8-16640|출처]] 다만, 작중의 처음 시점이 1908년 블라디보스토크였기 때문에, 게임 내의 니헤이는 모티브만 따온 다른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의 제안을 받는다. 하지만 그 다섯 명에는 옛 은인인 최재형과 자신을 동지 이상으로 여기는 아나스타시아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제안을 받아 든 표트르는 심한 양심의 가책을 겪지만, 다섯을 죽이고 자유를 얻으리라 다짐한다. 김두춘과 방 아나파시를 차례로 처리하고, 아나스타시아를 다음 목표로 삼았으나 아샤는 경찰들에게 끌려가기 전에 표트르의 모순을 지적하며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그러나 표트르는 거절했고 결국 아샤를 배신하고 만다. 잡학사전에 따르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중간 톤의 부드러운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칙칙하고 차가운 색을 좋아한다. 단 음식을 좋아하고 쓴 음식을 싫어한다. 또한 고양이를 좋아하지만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다.[* 직접 만지거나 하지 않는 이상은 괜찮다. 기를 생각은 없다고 한다.] 도박에 빠진 아버지가 빚을 갚으려 어린 표트르를 팔아 넘긴 후, 기적적으로 최재형을 만나 구해진다. 그래서 최재형을 은인으로 생각한다. === [[최재형(독립운동가)|최재형]]☆ === ||[[파일:최재형(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최재형 선생은 [[러시아 제국]]의 상인이자 사회사업가 및 관료였으며, 자신의 사회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항일 운동을 지원했다. 어릴 적 막 러시아 땅을 밟고 얼어죽을 뻔한 표트르를 구해준 은인으로 나오며, 주인공의 이름 표트르도 [[최재형(독립운동가)|최재형]]의 러시아 이름인 최 표트르 세묘노비치(Цой Петр Семенович)에서 따온 것이다. 니헤이의 암살 대상 5명에 포함되었다. 재러 한인들 사이에서 그는 '난로'라는 뜻을 갖는, '''페치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 아샤 === ||[[파일:아샤(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장발 || ||[[파일:아샤(단발).jpg|width=200&height=200]]|| || 단발 || 아나스타시아 바실리예브나 코르네바(Анастасиья Васильевна Корнева).[*스포일러 원래 이름은 김 아나스타시아 블라디미로브나(Ким Анастасиья Владимировна)였다. 아샤의 친아버지 김 블라디미르가 혁명 때 죽고, 친어머니가 코르네프 씨와 재혼하면서 지금의 이름이 된 것. 현재 아샤는 부모님과 오빠 한 명을 비롯한 가족과 모든 연을 끊은 상태다.] [[1888년]] [[7월 17일]]생.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이며, 러시아 국적의 조선인 여성. 지하 조직 붉은 늑대단의 수장이다. 표트르와 사적으로도 친분이 깊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러시아)|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겨울 궁전]]에 폭탄을 던졌지만 불발했고, 이 때문에 수배당해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로 왔다. 니헤이의 암살 대상 5명에 포함되었다. 맑고 높은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화가 나면 목소리에 쇳소리가 섞인다. 자라온 환경이 그리 좋지 않아 음식을 가리지 않는다.[* 대신 조금 투덜대는 편이다.] 또한 잡학사전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고양이를 좋아하는 표트르와는 달리 강아지를 좋아한다.[*약스포일러 후반부에서 아샤를 데리고 다닐 때, 강아지를 조사하면 얼굴까지 붉히며 좋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리자베타 === ||[[파일:리자베타.jpg|width=200&height=200]]|| 옐리자베타 스테파노브나 류(Елизавета Степановна Рю).[* 결혼 전 성은 박 씨이다. 따라서 원래 이름은 옐리자베타 스테파노브나 박(Елизавета Степановна Пак).] [[1887년]] [[9월 5일]]생. 러시아 국적의 조선인 여성이며, 표트르와 아샤의 친구이자 박대진의 사촌 언니. 맑고 깔끔한 저음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원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 의과대학에 재학 중이었던 의대생이었으나, 부모의 결혼 강요에 의해 졸업을 2개월 앞두고 학교를 자퇴해야 했다. 독실한 [[정교회]] 신자이며, 게임 내에서 하느님께 기도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돈이 상당히 많으며, 배를 매우 좋아한다. 특히 전함, 상선같은 큰 배를 좋아한다. 정성이 들어간 음식이라면 감사해하며 먹으며, 신 것은 그다지 즐기지 않는다고 한다. 여담으로 [[https://www.mobiinside.co.kr/2019/06/25/tig-mazm/|초기 컨셉 아트]]에서는 이름이 클라라였고, 현재 게임상의 모습과도 다른 모습이었다. 동그란 안경, 보라색 퍼스널 컬러는 그대로 가지고 온 듯. === [[안중근]]☆ === ||[[파일:안중근(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작중에서는 주로 안응칠이라는 아명 및 가명으로 불린다. 동의회의 우영장. === 차규한 === ||[[파일:차규한.jpg|width=200&height=200]]|| [[1889년]] [[10월 2일]]생. 리자베타의 전 연인이자 항일 의병. 조금 낮은 편의 거친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평소 직업은 사냥꾼이다. 표트르에게 강한 적개심을 가지고 있다. 작중에서는 언급만 될 뿐 등장하지는 않지만 한 살 차이나는 누나가 있다. 누나의 이름은 차영한이며, 1부 시점에서 이미 결혼했다. 음식을 딱히 가리지는 않지만 고기를 매우 좋아한다. 지금 모습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지만 초기 컨셉은 양복을 입었고 굉장히 느끼하고, 허풍을 잘 떠는 듯한 인상이었다.[[https://mobile.twitter.com/StoryMazM/status/1382234669668651010/photo/1|링크]] === 박대진 === ||[[파일:박대진.jpg|width=200&height=200 ]]|| [[1892년]] [[1월 22일]]생. [[함경도]] [[경흥]] 출신. 리자베타의 사촌동생. 낮고 거칠며, 시비 거는 느낌이 나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 조선의 한 산골 마을에서 살았다. 가족들과 러시아로 이주하던 중 국경 수비대에 의해 가족들을 전부 잃고 말았으며, 이후 큰아버지(리자베타의 아버지) 집에 얹혀살게 되었다. 그러나 리자베타를 제외한 큰아버지 가족들에게 방치되다시피 자란 탓에 블라디보스토크 항구의 부랑아로 자라고 말았다. 이때 항구에서 불량배들과 마찰이 많았는지, 불량배들 사이에서 "미친년"으로 불리고 있다. 신체 능력이 좋지만 그와 반대로 머리가 그렇게 좋지는 않다. 다만 글을 읽을 줄 모른다 뿐이지, 의외로 [[러시아어]], [[한국어|조선어]]뿐만 아니라 [[중국어]]도 할 줄 아는 등 언어 능력과 이해력은 좋은 편이다. 사실상 학교에 다니지 못해 아는 게 적기 때문에 머리가 나빠 보이는 것. 여담으로 차규한과는 매우 친한 단짝 사이이며, 리자베타에게 차규한을 소개해준 사람도 박대진이다. 음식 취향은 달지 않은 음식을 좋아하며 단 음식을 싫어한다. === 키무라 마코토 === ||[[파일:키무라 마코토.jpg|width=200&height=200 ]]|| 木村 眞 [[1883년]] [[10월 31일]]생. 러시아 국적이 없는 괴짜 일본인 남성. 표트르의 정보원이다. 살랑거리는 콧소리가 섞인 중간 톤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일본어와 러시아어를 할 수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항구에서 길고양이들을 보살피며 살고 있다.[* 고양이들에게 대학교 다니던 시절 알던 교수들의 이름을 붙인다. --물론 당사자들에게 허락은 받지 않았다.--] 고양이에게 정말 진심인 건지 입고 있던 코트까지 고양이들에게 뺏겨줄 정도다. 항상 옷에 고양이 털을 묻히고 다닌다. 단 음식을 좋아하고 술을 싫어한다. === [[이위종]]☆ === ||[[파일:이위종(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가르마 || ||[[파일:이위종(MazM: 페치카)/올백.jpg|width=200&height=200]]|| || 올백 || 러시아 이름은 블라디미르 세르게예비치 리(Владимир Сергеевич Ли). 게임 내에서는 [[1884년]]~[[1924년]]으로 생몰년도가 나오기는 하지만 실제 이위종 선생의 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1924년 이후의 행적이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 이고르 === ||[[파일:이고르(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이고르 드미트리예비치 타라소프(Игорь Дмитриевич Тарасов). [[1872년]] [[4월 12일]]생. 낮고 살짝 울리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최재형 직속 부관이며, 최재형의 신변과 그 가족을 지키는 일도 한다. 여담으로 리자베타처럼 정교회 신자이며, 심지어 이쪽은 신학교 출신이다. 파인애플과 국물요리, 단 것을 좋아한다.[* 파인애플은 이고르가 특히나 아끼는 음식이다. 아무래도 그때 당시에는 파인애플이 비싼 음식이다 보니 더욱 아끼는 듯.][* 홍차도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홍차도 좋아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마실 자격이 없다고 판단한 손님에게는 홍차조차 내어주지 않는다. 인게임에서 스토리 진행 이외의 용무로 이고르에게 말을 걸면 "홍차는 마실 자격이 있는 사람만이 마셔야 합니다." 라는 말을 자주 한다.] === 이범윤☆ === || [[파일:이범윤(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 === 한병두 === || [[파일:한병두.jpg|width=200&height=200]] || [[1884년]] [[2월 27일]]생. [[평양]] 출신이며, 동의회 소속 의병. 낮고 거칠며 탁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자신의 아내와 딸을 정말 사랑하지만, 잘 챙겨주지 못하고 있다. 고기를 좋아하고 야채는 조금 덜 좋아하며, 러시아 음식보다는 조선 음식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 [[엄인섭]]☆ === || [[파일:엄인섭(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 동의회의 좌영장이며 안중근의 의형제. === 주용주 === || [[파일:주용주.jpg|width=200&height=200 ]] || 러시아 이름은 알리나 이바노브나 주(Алина Ивановна Чу).[* 본인은 주용주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을 선호한다. 자기가 조선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자신을 알리나 이바노브나라고 부르면 항상 "주용주라고요." 이렇게 말한다.] [[1885년]] [[7월 7일]]생. 얀치헤(Янчихе)[* 표트르 대제 만(블라디보스토크 일대 해역) 서부 해역인 포시예트 만에 접해 있는 러시아의 마을. 연해주의 대표적인 한인 마을이며, 20세기 초 동의회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 의병 본부가 위치해있던 곳으로 독립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마을이다. 현재는 추카노보(Цуканово) 및 크라스키노(Краскино)로 나뉘어 있다.] 출신이며 직업은 신문 기자이다. 나름 사명감을 가지고 기사를 쓰지만, 하는 짓은 영락없는 [[기레기]] 및 [[파파라치]]. 표트르의 아버지 건으로 표트르를 끊임없이 괴롭혔던 기자이다. 쨍쨍하고 높은 목소리이며 말이 굉장히 빠름과 동시에 정확하다. 고기와 빵을 좋아하며 채소는 가려 먹는다. [[편식|자기 입맛에만 맞는 것만을 골라먹으려는 경향]]이 있다. === [[이토 히로부미]]☆ === || [[파일:이토 히로부미(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 伊藤博文。 일본의 제1, 5, 7, 10대 [[내각총리대신]]이자 초대 [[대한제국]] [[통감]]. [[1910년]] [[10월 26일]] 아침 [[하얼빈역]]에서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안중근에 의해 저격당한다.]] === 김아려☆ === 안중근의 아내. === 키토 카츠미☆ === ||[[파일:키토 카츠미(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 木藤克己。 통역관으로 위장한 일본의 고등경찰. '''기토 가쓰미'''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에서 조선인들을 회유하여 밀정 조직을 확장해 조선인들의 항일 운동을 방해했던 인물이다. 게임 내의 실존 인물들 중, 정보가 가장 부족한 인물이다. 하다못해 잡학사전에 있지도 않은 니헤이 헤이지보다도 정보가 적다. 당장 [[위키백과]]에 문서가 따로 존재하는 인물도 아닐뿐더러, 생몰년도 알 수 없는 데다가, [[구글]]에 일본어로 그의 이름을 검색해봐도 본인의 사진은 물론 행적에 대한 정보조차 자세한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 게임 상의 키토의 외모는 사실상 키토의 역사적 행적을 토대로 전형적인 교활한 인물을 상상하여 재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그가 연해주 내의 조선인 밀정을 확장한 장본인이라는,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 검색되기는 하며, 게임 내에서 과거 그가 지폐 위조 사건을 일으켰던 적이 있다는 사실이 언급되기는 한다. 이외에도 최재형 사후 최재형의 유족들이 키토 카츠미에 대한 분노를 표하는 기록들이 남아있다. === 류드밀라 === || [[파일:류드밀라(MazM: 페치카).jpg|width=200&height=200 ]] ||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자이체바(Людмила Николаевна Зайцева). [[1868년]] [[6월 10일]]생, [[예카테린부르크]] 출신. 민중혁명당[* [[사회혁명당(러시아)|사회혁명당]]을 베이스로 한 가상의 정당이다.]의 내부혁명위원회 위원장. 아샤의 스승이다.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쓸 줄 안다. 허스키하면서도 부드러운 저음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보드카와 모피를 매우 좋아한다. === [[홍범도]]☆ === 홍범도 장군은 조선 말의 의병장이며,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및 군인이다. [[홍범도]] 항목 참조. === [[김알렉산드라|김 알렉산드라]]☆ === 풀네임은 김 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Ким Александра Петровна) 또는 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김(Александра Петровна Ким). 한국인 최초의 공산주의자이며, 공산주의를 통해 조선 독립을 지향했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다. === [[여운형]]☆ === 작중에서는 만주에서 온 쾌활하고 유쾌한 성격의 유학생이자 독립운동가로 묘사된다. === [[신채호]]☆ === 작중에서는 언급만 될뿐 등장하지는 않는다. === 이인섭☆ === === [[체코군#s-2.1.1.2.1|라돌라 가이다]]☆ === 3부에 등장하는 [[체코군]]의 사령관이다. 뜬금없이 체코군이 왜 등장하나 싶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 쪽의 체코군이 독일과 오스트리아 때문에 유럽 쪽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자 극동으로 오게 된 것.[* 페치카는 엔딩과 과거 회상을 제외하면 [[1908년]]부터 [[1920년]]까지의 러시아가 배경이다. 러시아는 참전국이었던 만큼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가 당연히 있었으므로 언급되지 않는 것이 이상한 셈.] == 기타 == * 2020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굿 게임상을 수상했다. * 전체적인 게임 분위기는 상당히 어둡고 무거우며 진지한 편. [[20세기]] 초반을 배경으로 해서 가뜩이나 어두운데[* [[제국주의]]의 절정과 몰락, [[제1차 세계 대전|두 차례에 걸친]] [[제2차 세계 대전|세계 대전]], [[대공황]], [[냉전]] 등의 사건이 있었던 때가 20세기다. 괜히 20세기는 '''폭력과 격변의 시대'''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세계사가 아니더라도 20세기 초반의 한국을 생각해보라. [[일제강점기|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의 식민지로 지내왔다.]]], 표트르의 과거부터가 암울하기 그지없다. 그렇다고 다른 캐릭터들의 과거가 밝은 편은 아니다.[* 비밀경찰에 의해 친구를 잃은 아샤, 연인과 이별하고 정략결혼을 해야 한 리자베타, 가족들을 모두 잃고 친척들한테 방치당해서 부랑아로 자란 박대진, 가족을 사랑하지만 일 때문에 제대로 챙겨주지 못하는 한병두 등등] * 비속어가 나오지 않던 전작들하고는 다르게 "개새끼", "미친년"[* 이 욕을 제외하면 다른 욕은 나오지 않는다.]이라는 욕이 검열 없이 대놓고 나오고, 총을 쏘는 장면[* 단, 사람이 총에 맞는 장면에서는 화면이 암전된 뒤 총을 쏘는 소리가 나온다.]이 나오기도 한다. * 이스터에그를 여기저기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전작의 자체 오마주가 심심찮게 나오는 편. 직접 찾아보거나, 못 찾겠으면 [[https://cafe.naver.com/mazm|MazM 팬카페]]를 참조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