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c574f> '''Maggie May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연도=2010, 순위=131, 연도2=2021, 순위2=14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40)]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Go Away Little Girl, 전번_아티스트=도니 오스몬드,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Maggie May, 이번_아티스트=로드 스튜어트, 이번_1위_기간=6주 연속, 후번_곡=Gypsys, Tramps & Thieves, 후번_아티스트=셰어, 후번_1위_기간=2주 연속)] ---- }}} || ||<-2>
'''{{{+1 Maggie Ma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l7dh7a-6g, width=100%,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1971년 6월 || || '''싱글 A면''' ||Reason to Believe || || ''' 앨범 발매일''' ||1971년 5월 28일 || || '''녹음일''' ||1970년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c574f; font-size: .9em" [[Every Picture Tells a Story|{{{#ffcc88 '''Every Picture Tells a Story'''}}}]]}}} || || '''장르''' ||[[포크 록]], [[소프트 록]] || || '''재생 시간''' ||5:50(앨범 버전)[br]3:43(싱글 버전) || || '''작사/작곡''' ||[[로드 스튜어트]], 마틴 퀴튼턴 || || '''프로듀서''' ||[[로드 스튜어트]] || || '''스튜디오'''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 || '''레이블''' ||머큐리 || [목차][clearfix] == 개요 == [[1971년]] 발매된 [[로드 스튜어트]]의 싱글 곡. Reason to Believe의 B면에 실려 발매되었으며, [[Every Picture Tells a Story]] 앨범에 수록되었다. == 상세 == 로드 스튜어트를 대표하는 곡으로, 동시에 1970년대 최고의 포크 록 노래 중 하나로 꼽힌다. 보통 로드 스튜어트의 곡 중에서 대중적으로 히트한 곡을 언급할 때는 [[Da Ya Think I'm Sexy?]], Tonight's the Night (Gonna Be Alright) 등도 흔히 꼽히나, 비평가들과 로드 스튜어트의 골수 팬들에게는 가장 사랑받는 곡은 이 곡이라 봐도 무방하다.[* 사실 Da Ya Think I'm Sexy? 같은 경우는 상업적으로 크게 히트하기는 하였으나 곡 자체가 로드 스튜어트의 이미지와는 맞지 않는 디스코 성향의 곡이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는 팬들도 많다.] 상업적으로도 크게 흥해서 B사이드 곡인데도 불구하고 A사이드에 실린 Reason to Believe보다 훨씬 좋은 반응을 얻어[* Reason to Believe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 90위까지 오른 게 고작이었다.] [[빌보드 핫 100]], 영국, 캐나다 차트에서 1위에 올랐으며, 아일랜드에서 2위, 네덜란드에서는 3위에 올랐다. 동시에 로드 스튜어트의 첫 빌보드 1위 곡이기도 하다. 여러모로 로드 스튜어트에게 의미가 깊은 곡인 셈. 아이러니하게도 이 곡은 귀에 확 들어오는 후렴구가 없다는 이유로 레코드 사가 발매를 거부하였다가 여건상 결국 앨범에 수록하였다고 한다. [[1971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2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182위에 올랐다. 곡의 제목인 Maggie May는 리버풀 지역의 민요인 Maggie Mae에서 따온 것으로,[* [[비틀즈]]가 이 민요를 커버하여 [[Let It Be]] 앨범에 수록한 것으로 유명하다.] 가사의 내용은 나이 많은 여성과 사랑에 빠진 소년의 모순적인 감정을 다루고 있다. 이 가사는 로드 스튜어트 본인의 자전적인 경험에서 따온 것으로, 1961년[* 이 해에 로드 스튜어트의 나이는 고작 16세였다.] 보리유 재즈 페스티벌에서 로드 스튜어트가 첫경험을 함께 한 한 나이 많은 여성에서 모티브를 땄다. 곡의 모티브를 생각해보면 뭔가 핀트가 어긋난 일이긴 하나, "당신이 내 마음을 훔쳐갔어도 난 당신을 사랑하겠다"는 로맨틱한 가사 때문인지 결혼식장에서 축가로 많이 연주되기도 한다고. 곡 전체의 작사와 작곡, 프로듀싱은 모두 로드 스튜어트가 하였으나, 앨범 버전의 곡의 도입부에 나오는 어쿠스틱 기타 연주는 로드 스튜어트가 아닌 기타리스트 마틴 퀴튼턴이란 사람이 작곡한 것으로, 이 부분은 흔히 "Henry"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이때문에 마틴 퀴튼턴도 공동 작곡가로 인정되었다. 또한 곡의 기타 연주는 당시 로드 스튜어트가 소속된 밴드였던 페이시스의 기타리스트 [[로니 우드]][* 현재 [[롤링 스톤스]] 소속의 기타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가 맡았으며, 간주의 유명한 기타 솔로 연주 역시 로니 우드가 한 것이다. 후반부에 나오는 아름다운 [[만돌린]] 연주는 레이 잭슨이라는 사람이 녹음하였다. == 가사 == ||<:> ---- '''{{{+2 {{{#eb1433 '''Maggie May'''}}}}}}''' ---- Wake up, Maggie, I think I got somethin' to say to you 일어나요, 매기, 당신에게 할 말이 있는 것 같아요 It's late September and I really should be back at school 지금은 9월 말이고 난 정말 학교로 돌아가봐야 해요 I know I keep you amused, but I feel I'm being used 난 당신을 즐겁게 해주었지만, 난 이용당한 것 같은 기분이에요 Oh, Maggie, I couldn't have tried any more 오, 매기, 난 더 이상 안되겠어요 You led me away from home 당신은 저를 집에서 꾀어냈죠 Just to save you from being alone 그저 당신이 혼자 있지 않으려고 You stole my heart and that's what really hurts 당신은 내 마음을 훔쳤고 그래서 마음이 너무나 아파요 The mornin' sun when it's in your face really shows your age 아침 해가 당신의 얼굴을 비출 때면 당신의 나이를 드러내요 But that don't worry me none, in my eyes, you're everything 하지만 난 그런 건 걱정 안 해요, 제 눈에는 당신은 모든 것이니까 I laughed at all of your jokes, my love, you didn't need to coax 난 당신의 모든 농담에 웃음을 터트렸죠, 내 사랑, 당신은 날 구슬릴 필요가 없었어요 Oh, Maggie, I couldn't have tried any more 오, 매기, 난 더 이상 안되겠어요 You led me away from home 당신은 저를 집에서 꾀어냈죠 Just to save you from being alone 그저 당신이 혼자 있지 않으려고 You stole my soul, and that's a pain I can do without 당신은 내 영혼을 훔쳤고 그건 어쩔 수 없는 고통이에요 All I needed was a friend to lend a guiding hand 제가 오직 필요한 건 저를 이끌어 줄 친구 뿐이었어요 But you turned into a lover, and mother, what a lover, you wore me out 하지만 당신은 연인으로, 어머니로 변했고, 연인임에도 나를 지치게 만들었어요 All you did was wreck my bed, and in the morning, kick me in the head 당신은 제 침대를 부수거나 아침에 내 머리를 걷어차기나 했을 뿐이죠 Oh, Maggie, I couldn't have tried any more 오, 매기, 난 더 이상 안되겠어요 You led me away from home 당신은 저를 집에서 꾀어냈죠 'Cause you didn't wanna be alone 그저 당신이 혼자 있지 않으려고 You stole my heart, I couldn't leave you if I tried 당신은 내 마음을 훔쳤고 나는 당신을 떠나려해도 그러지 못할 거 같아요 I suppose I could collect my books and get on back to school 난 책을 모아서 학교로 되돌아 가봐야 할 것 같아요 Or steal my daddy's cue and make a living out of playin' pool 아니면 아빠의 큐대를 훔치고 풀장에서 일해야 할 것 같아요 Or find myself a rock and roll band that needs a helpin' hand 아니면 도움을 필요로 하는 로큰롤 밴드에 들어갈 수도 있겠죠 Oh, Maggie, I wished I'd never seen your face 오, 매기, 당신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좋았겠어요 You made a first-class fool out of me 당신은 나를 최고급의 바보로 만들었어요 But I'm as blind as a fool can be 난 정말 눈이 먼 바보 같았죠 You stole my heart, but I love you anyway 당신은 내 마음을 훔쳤지만, 어쨌든 난 당신을 사랑해요 Maggie, I wished I'd never seen your face 매기, 당신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좋았겠어요 I'll get on back home one of these days 난 며칠내에 집으로 돌아갈 거에요 ---- || [[분류:로드 스튜어트]][[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2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1971년 노래]][[분류:1971년 싱글]][[분류:포크 록]][[분류:소프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