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엘튼 존)] ||<-2>
[[파일:external/www.music-bazaar.com/Rare-Masters-CD2-cover.jpg|width=100%]] || ||'''수록 앨범'''||[[Rare Masters]]|| ||'''발매일'''||[[1992년]] [[10월 20일]] (US)[br][[1993년]] [[12월 31일]] (UK)|| ||'''녹음일'''||[[1970년]] [[5월 18일]]|| ||'''녹음 장소'''||[[영국]] [[런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장르'''||[[록 음악|록]], [[포크송|포크 록]], [[프로그레시브 록]]|| ||'''재생시간'''||8:50|| ||'''작곡가'''||[[엘튼 존]]|| ||'''작사가'''||[[버니 토핀]]||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Polydor|| [목차] [clearfix] == 개요 == [[엘튼 존]]의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 작업 중 녹음된 곡이자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의 타이틀 트랙이다. == 1970년판 == [youtube(SwzSFwUNO_Y)] 어쿠스틱 기타로 조용히 시작하다가 점점 거세지며, 간주로 이어지면서 다시 반복하는 구성을 가진 대곡이다. [[데이비드 보위]]와 협업을 가진 기타리스트 믹 론슨과 마이클 채프먼이 참여하여 기타를 연주했다.[* [[https://daily.bandcamp.com/features/michael-chapman-feature|The Half-Century Road to Michael Chapman’s “50”]]][* [[https://web.archive.org/web/20150119212528/http://www.mickronson.com/mrsessions.shtml|믹 록슨 세션들 목록]]] 가사는 굉장히 추상적인 내용을 담았는데, 한때 이 곡이 1972년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하야한 [[리처드 닉슨]]을 가리킨다는 주장이 있었다. 가사를 쓴 버니 토핀은 그런 주장을 부정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4 페이지] 해당 사건이 생기기 2년 전에 이미 만들어진 곡이다. 《Tumbleweed Connection》 작업 때 녹음되었지만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에 새로 녹음된 곡이 대신 수록되었고, 1970년 원곡은 1992년 컴필레이션 앨범 [[Rare Masters]], 《Tumbleweed Connection》의 1996/2001년 리마스터반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1973년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 같은 메들리 곡들을 제외하고 단일 곡으로서 가장 긴 엘튼 존 곡이다. 1970년 녹음된 피아노 데모가 존재하는데 이 데모는 2020년 발매된 박스 세트 [[Elton: Jewel Box]]에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YbRJ5DaJAk|1970년 피아노 데모]]]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일렉트릭 기타 - 믹 론슨 * 어쿠스틱 기타 - 마이클 채프먼 * 베이스 - 허비 플라워스 * 드럼 - 배리 모건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1971년판 == ||<-2>
[[파일:external/tworoomslive.com/Madman-Across-the-Water.jpg|width=100%]] || ||'''수록 앨범'''||[[Madman Across The Water]]|| ||'''앨범 발매일'''||[[1971년]] [[11월 5일]]|| ||'''녹음일'''||[[1971년]] [[8월 14일]]|| ||'''녹음 장소'''||[[영국]] [[런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장르'''||[[록 음악|록]], [[포크송|포크 록]], [[프로그레시브 록]], 심포니 록|| ||'''재생시간'''||5:56|| ||'''작곡가'''||[[엘튼 존]]|| ||'''작사가'''||[[버니 토핀]]||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DJM (UK), Uni (US)|| [youtube(nq4J_n6vMYo)] 1970년 녹음한 원곡을 폐기한 대신,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를 작업하던 시기에 재녹음했고 앨범 제목도 이 곡에서 가져왔다. 9분이나 하는 원곡과 달리, 재녹음된 곡은 6분 정도 단축하고 역동적인 현악을 넣으며 새롭게 편곡했다.[* [[http://albumlinernotes.com/Madman_Across_The_Water.html|Madman Across The Water 라이너 노트]]] 1971년 녹음된 피아노 데모도 존재한다. 1970년 피아노 데모와 달리, 이 데모은 어느 음반에도 수록되지 않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g3igjkD7wpU|1971년 피아노 데모]]]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브루스 혼스비가 1991년에 커버했다. 이 커버곡은 1991년 발매된 엘튼 존/버니 토핀 헌정 앨범 [[Two Rooms]]에 수록되었다.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일렉트릭 기타 - 크리스 스피딩 * 어쿠스틱 기타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 허비 플라워스 * 드럼 - 테리 콕스 * 오르간 - 브라이언 디 * 퍼커션 - 레이 쿠퍼 * ARP 신시사이저 - 다이애나 루이스 * 현악 편곡 - 폴 벅마스터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가사 == >I can see very well >배면이 부서진 채 암초에 걸린 >There's a boat on the reef with a broken back >배 한 척이 뚜렷이 보여 >And I can see it very well >아주 똑똑히 보여 >There's a joke and I know it very well >내가 아주 잘 아는 농담이 하나 있어 >It's one of those that I told you long ago >오래전 내가 당신에게 해준 거지 >Take my word I'm a madman don't you know >진심으로 하는 말인데 내가 미쳤다는 걸 당신은 몰랐나 > >Once a fool had a good part in the play >바보가 연극에서 좋은 배역은 맡았는데 >If it's so would I still be here today >그렇다고 내가 오늘 아직 여기 있을까 >It's quite peculiar in a funny sort of way >우습게도 참 이상하지 >They think it's very funny everything I say >사람들은 내가 하는 말은 우습다고들 생각해 >Get a load of him, he's so insane >잘 봐, 그는 정신 나갔어 >You better get your coat dear >외투를 챙겨야 할 거야 >It looks like rain >비가 올 것 같거든 > >We'll come again next Thursday afternoon >다음 주 목요일 우린 다시 돌아올 거야 >The In-laws hope they'll see you very soon >친척들이 당신을 어서 보고 싶어 해 >But is it in your conscience that you're after >하지만 당신이 찾는 건 양심 안에 있는 걸까 >Another glimpse of the madman across the water >물 건너에 있는 저 광인을 좀 봐 > >I can see very well >배면이 부서진 채 암초에 걸린 >There's a boat on the reef with a broken back >배 한 척이 뚜렷이 보여 >And I can see it very well >아주 똑똑히 보여 >There's a joke and I know it very well >내가 아주 잘 아는 농담이 하나 있어 >It's one of those that I told you long ago >오래전 내가 당신에게 해준 거지 >Take my word I'm a madman don't you know >진심으로 하는 말인데 내가 미쳤다는 걸 당신은 몰랐나 > >The ground's a long way down but I need more >꿈속 깊이 빠져 있지만 난 더더욱 빠져들고 싶어 >Is the nightmare black >어두운 악몽인지 >or are the windows painted >혹은 칠해진 창문인지 >Will they come again next week >나의 정신을 완전히 앗아가버리는 >Can my mind really take it >그것들은 다음 주에 다시 나타날 거야 == 라이브 == 라이브에서는 1971년부터 2012년까지 가끔씩 불렀다. 1971년판과 동일하게 연주했으나 절-코러스 사이에 간주를 길게 넣어 1970년판처럼 길게 연주했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Madman+Across+the+Water|Madman Across The Water 라이브 기록]]] 1971년판처럼 6분 정도의 길이로 연주한 경우는 1986년, 2007년 등 손에 꼽힌다. * [[https://www.youtube.com/watch?v=E2LUWFptNCM|1971년 12월 8일 BBC]] * [[https://www.youtube.com/watch?v=6xZ6OBm5FlQ|1972년 2월 5일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 [[https://www.youtube.com/watch?v=ECsprVjpjSQ|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 [[https://www.youtube.com/watch?v=_5xOPV7ZCR4|2007년 3월 25일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 * [[https://www.youtube.com/watch?v=0D1yIIrjMEM|2009년 1월 17일 브라질 상파울루]] * [[https://www.youtube.com/watch?v=SwE06JjiXVU|2010년 5월 1일 미국 오하이오]] * [[https://www.youtube.com/watch?v=SN_WtzOPiR4|2011년 11월 14일 러시아 모스코]] * [[https://www.youtube.com/watch?v=jbNYqEEauOs|2012년 3월 16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분류:엘튼 존 노래]][[분류:1970년 노래]][[분류:1971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