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돈나(가수)]][[분류:2019년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 ||||<#fff,#191919><-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Happiness Begins'' {{{-2 [[조나스 브라더스|{{{#8086a0 Jonas Brothers}}}]]}}} || {{{+1 →}}} || ''[[Madame X]]'' '''{{{-2 [[마돈나(가수)|{{{#8086a0 Madonna}}}]]}}}''' || {{{+1 →}}} || ''Help Us Stranger'' {{{-2 {{{#8086a0 The Raconteurs}}}}}} || [include(틀:마돈나(가수))] {{{#!wiki style="word-break:keep-all" ||<-2> '''{{{+2 ''Madame X''}}}[br]{{{-2 The 14th Studio Album by Madonn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dame-X-2.jpg|width=100%]]}}}|| || '''발매일''' ||2019년 6월 14일|| || '''녹음''' ||2018년~2019년|| || '''스튜디오''' ||리스본, 런던, 로스앤젤레스, 뉴욕|| || '''장르''' ||팝, 라틴|| || '''레이블''' ||Interscope|| || '''프로듀서''' ||Madonna, Mirwais, Mike Dean, Diplo, Billboard, Jason Evigan, Jeff Bhasker, Pharell Williams, Sunamy||}}}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Albumism 선정 2010년대 110대 명반)] [[마돈나(가수)|마돈나]]의 열네 번째 앨범. 이번 앨범에서는 라틴/스페인어권 음악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차용하였다. 마돈나는 이전에도 , 등 라틴 분위기를 담은 곡을 여럿 발표했지만, 특히 앨범 이후 [[포르투갈]] [[리스본]]에 거주하면서 파두 음악에 심취하였다. 전작들이 대체로 메인스트림 EDM-팝의 흐름을 따라갔던 것과는 달리, 파두와 팝을 결합한 색다른 음악을 만들어냈다. 가사에 스페인어, 포르투갈어가 나오는 곡이 많은 것도 특징. 또한 라틴 아메리카를 공략하여 라틴권에서 인기를 끈 곡 를 커버해서 수록하였다. 이 앨범의 또 하나의 주제는 사회 참여성. 마돈나는 의 실패 이후 사회성보다는 개인적인 주제를 다룬 곡을 주로 발표하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하고 미국 사회의 보수성이 강해지는 상황에서 마돈나는 사회적인 현안에 목소리를 내고자 하였고, 소수자 문제나 총기 규제 문제를 직접적으로 건드리는 곡과 뮤직비디오를 내세웠다. 의 성공과 의 실패를 이끈 프로듀서 미르와이스 아마드자이(Mirwais)와 10년 만에 다시금 작업하였다. 미르와이스를 기용한 데에는 이번 앨범을 와 같이 사회성이 강한 앨범으로 만드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 앨범 이후 언제나 그랬듯이 에어플레이로 인해 싱글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지만, 리드 싱글 의 AR 기술을 사용한 시상식 무대는 큰 화제를 모았다. 뮤직비디오에도 힘을 쏟아, 싱글 컷을 하지 않은 , , 에도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공개하였다. 소동 이후로 퍼포먼스/댄스 위주의 뮤직비디오를 주로 발표해왔지만 이번 앨범에서는 사회성 강한 뮤직비디오를 여러 개 투하하여 다시금 찬반양론을 이끄는 등 화제가 되었다. 피지컬/디지털 합산 9만 5천여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판매량 자체는 에 비해 떨어졌지만 다시금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거머쥐었다. 2주차 이후로는 피지컬 판매량과는 별개로 스트리밍 위주로 재편된 차트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77위로 떨어지고 말았다. 나름대로 피처링도 기용하고 싱글용으로 힙합풍의 Crave, Future 등을 수록하는 등 근래의 트렌드를 따라가보려고 한 흔적이 보이나 아쉽게도 성적이 따라주지는 못했다. == 평가 == 여러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메타크리틱 점수 70점으로 준수한 평가를 받으며, 2010년대 발표한 앨범 중 가장 좋은 평을 거두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굉장히 평이 좋으며 Music-American Life 시절의 아티스틱한 느낌으로 돌아왔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한편 부정적인 평은 주로 마돈나의 보컬과 통일성이 떨어지는 트랙 구성을 지적하는 평이 많다. 그럼에도 여러 매체의 2019년 연말 결산에 이름을 올리며 마돈나가 여전히 음악적인 감각과 영향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빌보드 [[https://www.billboard.com/articles/news/list/8545657/best-albums-of-2019-top-50|The Top Best Albums of 2019]] 46위 * NME [[https://www.nme.com/features/the-greatest-albums-of-2019-2586777|Best Albums of 2019]] 45위 * 슬랜트 매거진 [[https://www.slantmagazine.com/features/the-25-best-albums-of-2019/3/|The 25 Best Albums of 2019]] 12위 * 모조 [[https://www.yearendlists.com/2019/11/mojo-75-best-albums-of-2019|75 Best Albums of 2019]] 67위 * 굿 모닝 아메리카 [[https://www.goodmorningamerica.com/culture/story/50-best-albums-2019-67812514|50 of the Best Albums of 2019]] 49위 * AOTY [[https://www.albumoftheyear.org/genre/15-pop/2019/|Best Pop Albums of 2019]] 17위 * 싱글 "I Don't Search I Find" * 뉴욕 포스트 [[https://nypost.com/2019/12/26/best-and-worst-songs-of-2019-from-lizzo-madonna-lil-nas-x-and-more/|Best Songs of 2019]] 8위 다만 평단과는 별개로, 차트에서는 전혀 재미를 보지 못했다. 오히려 기존에 마돈나가 가지고 있던 대중성은 완전히 내려놨나 싶을 정도로 매우 난해한 구성이 특징. 싱글컷 된 노래들조차 일반적인 빌보드 히트곡의 작법과 완전히 벗어나 있고, 러닝타임이 5분 ~ 6분에 달하는 등 요즘 노래들과는 동떨어져 있다. == 수록곡 == ||<-3><:>'''Madame X''' || ||<:>#||<:>곡명||<:>길이|| ||<:>1||Medellín (with [[말루마|Maluma]])||<:>4:58|| ||<:>2||Dark Ballet||<:>4:14|| ||<:>3||God Control||<:>6:19|| ||<:>4||Future (with [[Quavo]])||<:>3:53|| ||<:>5||Batuka||<:>4:57|| ||<:>6||Killers Who Are Partying||<:>5:28|| ||<:>7||Crave (with [[스웨이 리|Swae Lee]])||<:>3:21|| ||<:>8||Crazy||<:>4:02|| ||<:>9||Come Alive||<:>4:02|| ||<:>10||Faz Gostoso (feat. [[아니타|Anitta]])||<:>4:05|| ||<:>11||Bitch I'm Loca (feat. Maluma)||<:>2:50|| ||<:>12||I Don't Search I Find||<:>4:08|| ||<:>13||I Rise||<:>3:44|| ||<-3><:>'''Madame X (Deluxe Edition)''' || ||<:>10||Extreme Occident||<:>3:14|| ||<:>14||Looking For Mercy||<:>4:50|| ||<-5><:>'''Madame X (Deluxe 2-CD)''' || ||<:>1||Funana||<:>3:42|| ||<:>2||Back That Up To The Beat||<:>3:50|| ||<:>3||Ciao Bella||<:>5:36|| === 1. Medellin === 라틴 음악계에서 핫한 스타 [[말루마]]와 함께한 리드 싱글. === 2. Dark Ballet === 2018년 멧 갈라에서 공개된 'Beautiful Game'이라는 곡을 바탕으로 완성되었다. 뮤직비디오는 [[잔 다르크]]의 화형을 모티브로, 흑인 퀴어 래퍼 미키 블랑코가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3. God Control === 총기 규제에 대한 목소리를 낸 곡. 제목은 'Gun Control'과의 중의적인 효과를 의도하였다. 무려 6분이나 되는 규모로 합창단의 합창으로 시작하여 80년대풍 디스코로 분위기가 반전된다. 6월 말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는데 클럽의 총기 난사 현장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총기 규제를 역설하는 영상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가장 논란이 큰 마돈나의 뮤직비디오가 되었다. === 10. I Don't Search I Find === 90년대풍 하우스 악곡으로 이번 앨범의 수록곡들 중 마돈나의 팬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곡이다. == 싱글 성적 == || '''싱글''' || Hot[br]100 || Hot[br]Dance || UK || || Medellín || ㅡ || 1 || 87 || || Crave || ㅡ || ㅡ || ㅡ || || I Rise || ㅡ || 4 || ㅡ || || '''프로모션 싱글''' || Hot[br]100 || Hot[br]Dance || UK || || Future || ㅡ || ㅡ || ㅡ || || Dark Ballet || ㅡ || ㅡ || ㅡ || == 주요 공연 == ||[youtube(P2vt4YvwOQg)]|| ||'''Billboard Music Awards의 "Medellín" 공연'''|| ||[youtube(VG3WkiL0d_U)]||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9]]의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