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원래 의미나 동음이의어,rd1=메타트론)] [목차] == 개요 == [[SHIKI]]가 작곡한 [[BMS]] 곡. BMS 이벤트 BOFU2015 참가곡이다. == [[BMS]] == ||||||||||<#ff8a00><:>'''< [[BOF]] 역대 개인전 스코어 우승·준우승·3위 곡 >''' || ||<:> G2R2014 || → ||<:> 2015 || → ||<:> 2016 || ||||||||||<:>'''우승''' || ||<:> [[Altale]] || → ||<:> '''[[DataErr0r]]''' || → ||<:> [[Aleph-0]] || ||||||||||<:>'''준우승''' || ||<:> [[Aragami]] || → ||<:> '''[[Dreadnought(BMS)|Dreadnought]]''' || → ||<:> [[Black Lotus(BMS)|Black Lotus]] || ||||||||||<:>'''3위''' || ||<:> [[ELECTRiCiTY]] || → ||<:> '''METATRON''' || → ||<:> [[CO5M1C R4ILR0AD]] || ||||||||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참고 || || YHWH || ★12 || || |||||||||| [[발광 BMS]] DP 7단 || ||스테이지|| 곡명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참고 || || 1 || [[METATRON|Metatron]] || sub black another14 || ☆12 || || || 2 || [[雪解け色フラワーズ]] || Spring Ephemeral || ★7 || || || 3 || [[CO5M1C R4ILR0AD]] || DP || ☆12 || || || 4 || [[Hazy moon]] || DP Another || ★7 || || [youtube(iiN3MR4BDhE)] BGA 영상 [youtube(5Me9I4MWEaA)] ANOTHER 패턴 오토플레이 ||<#FFFFAA><:> '''곡명''' ||<:> [[METATRON]] || ||<#FFAAFF><:> '''[[장르]]''' ||<:> '''TRANCE CORE''' || ||<#AAFFAA><:> '''[[BPM]]''' ||<:> '''190''' || ||<#FFAAAA><:> '''[[작곡가]]''' ||<:> '''[[SHIKI]]''' || ||<#AAFFFF><:> '''[[BGA]]''' ||<:> '''GLUON(Photonskyto)''' || ||<#AAAAFF><:> '''BGA 형식''' ||<:> '''BPGM BGA''' || ||<#AAAAAA><:> '''Extended''' ||<:> '''LuciaRize''' (3:44) || BOF2011의 [[Qliphoth]] 이후 SHIKI의 복귀 BMS이자 마지막 오리지널 BMS[* 이후 나머지 3개의 BMS는 전부 앨범 수록곡이다.]. SHIKI는 BOFU2015 시작 전부터 BOFU2015의 참가 결정을 알렸고, 곡의 BGA 담당을 맡는 사람을 찾고 있다는 글로 모든 BOF 유저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과연 BOF계의 수령이라 불리는 SHIKI가 BOF에 복귀하여 오는 파란이 어떨지에 대한 초미의 관심사가 쏠려져 있는 상태였다. 하지만 곡은 여전한 SHIKI식 트랜스 코어. 특히 [[maimai 시리즈]]에 제공한 [[Death Scythe]]와 흡사한데, 사용한 음원은 거의 똑같다고 봐도 되고 일부 구간은 멜로디도 약간 비슷하다. 이는 제작자인 SHIKI가 Death Scythe + [[Pure Ruby]] 같은 느낌을 생각하고 제작했기 때문이라고 BMS 폴더 내 동봉 된 텍스트 파일에 적어 놓았다. [[BGA]]는 GLUON 명의를 사용한 Photonskyto가 제작했다. 이 조합은 BOF2011의 [[Qliphoth]]에서도 나왔던 조합이다. BGA 자체는 고퀄리티였지만, 지나친 오브젝트 우려먹기와 그로 인해 일치하지 못하는 오브젝트가 많다는 이유로 상당히 애매한 평을 받았다. 같은 대회에 낸 작품인 [[DataErr0r]]는 깔끔한 그래픽과 정결된 오브젝트로 호평을 받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곡의 분위기나 BGA 등이 잘 살펴보면 [[BABYLON]]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많다. 곡에서는 곡의 전개 부분이나, 하이라이트 부분에 나오는 피아노 구간, 현악기의 멜로디가 돋보인다는 점 등 BABYLON과 비슷한 점이 많다. 이 때문에 곡의 장르인 트랜스 스타일 보단, BABYLON에서 보였던 르네상스 하드코어 스타일이 더 돋보이는 편. BGA에서도 BABYLON에서 썼던 땅에 꽂혀진 깃발과 검이 지나가는 장면도 쓰였고, BGA중 시계가 떨어지고 난 후 드럼에 맞춰서 벽지를 보여주는 부분은 BABYLON 하이라이트 구간 전에 드럼에 맞춰서 문구를 보여주는 장면의 오마주인듯 하다. 대회 초반에는 많은 임프레를 받으며 1위 자리를 꿰찼지만 결국 매너리즘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평가[* + 기존 곡들을 과도하게 오마주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평점이 점점 떨어지다 대회 중반에는 [[DataErr0r]]에게 총점 선두를 빼앗기고 대회 후반에 치고 올라오던 [[Dreadnought]]에게도 밀려 총점 3위로 대회를 마치게 된다. === 대회 결과 === 총점 : '''{{{#Red 202120}}}''' (220 임프레션)[* 에이스 적용시 252650] 중앙값 : '''970''' / 1000.00 평점 : '''918.7'''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3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62위''' === 코멘트 === > BOFよ!私は帰ってきた!4年ぶりに! > > こんにちはスゴくお久しぶりですSHIKIと申します。 > 自分の中の音ゲーを詰め込んでみました。 > > BGA制作して頂きましたGLUONさん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 ニコ動の高画質版もよろしければ是非ご覧ください。 > ---- > BOF여! 내가 돌아왔다! 4년 만에! > > 안녕하세요. 굉장히 오랜만입니다. SHIKI라고 합니다. > 내 안의 음악 게임을 담아 보았습니다. > > BGA 제작 해 주신 GLUON님 감사합니다. > 니코동의 고화질 버전도 괜찮으시면 꼭 참조해 주십시오.. === 여담 === * 2009년 이후로 대회 첫 날 1위 곡이 끝까지 1위를 수성하지 못한 두 번째 곡이다. 첫 사례는 [[DRAGONLADY]]에게 마지막날 역전을 허용한 [[Jack-the-Ripper◆]] 다만, 잭더리퍼는 예상치 못했다는 반응이 대다수였으나, 메타트론은 네임밸류만 따지면 [[Lunatic Sounds|외국인 우승자]]와 [[xi|준우승 2번째 독재시도자]]+[[nora2r|독재시도자와 준우승곡을 합작한 중고 스타]]를 대놓고 듣보잡 취급할 수 있는 네임드지만, 그 둘과는 다르게 변한 게 전혀 없고, 곡의 성향은 너무 한결같아서 시간이 지나면 평가가 떨어질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 그래도 총점은 상당해서 BOF에서 몇 안되는 20만점 초과곡이자 처음으로 우승, 준우승이 아닌 곡이 20만을 초과했다.[* 2년 후 [[もぺもぺ]]가 두번째로 3위면서 20만을 초과했다. --그리고 그 곡은 이 곡 이상으로 중앙값, 평점이 가관이다.--] 하지만 총점 20만 초과곡들의 평점은 최소 950점 이상이다. 메타트론은 이에 한참 못미치는 918점. 이는 평가에 있어서 순수한 작품만의 평가가 아닌 네임밸류가 상당히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반대로 보면 아직 BMS계에서 SHIKI의 입지가 매우 강하고, 후에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면 [[-45|과거 전성기를 같이한 팀 동료]]보다도 성공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 위안점이다. ~~트랜스 하드코어좀 그만 만들고, 새로운 스타일을 찾아보세요. 사실 [[Qliphoth|프로그레시브 DnB를 시도하기는 했는데]] 성적이 영 좋지 않았다..[* SHIKI의 BOF역사상 총점 최저 순위 달성곡이 클리포트다. 다만 이때 최저순위는 당시 대회에서 낸 오리지널 곡이 아닌 앨범곡의 bms화라는 것이 BOF에 있어 무성의하단 경향으로 다가온게 큰 타격이었다.]~~ 당장 이 곡이 나온 2015년 시점에서 2012년 [[EOS]], [[Oriens]]로 첫 출전만에 유명 작곡가로 올라섰다가 BOF2013에서 매너리즘 소리를 듣고 중위권으로 떨어진 다음 두번 다시 2012년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는 ginkiha나, 동시대의 고참 작곡가에 매너리즘 소리도 듣지 않는데도 최상위권과는 거리가 먼 [[Yamajet]]를 생각해보면 4년만의 복귀로 관심이 매우 뜨거웠다는 점을 감안해도 네임밸류만 따지면 BOFU2015 다른 아티스트의 인지도는 대놓고 "SHIKI 미만잡"이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SHIKI의 위상은 아직도 대단한 것이다. * 여러모로 작년 우승곡인 [[Altale]]과 비교되는 편인데, 대형 [[BMS]] 제작자의 복귀작이라는 점에서 [[Altale]]은 앞서 출품했던 작품들에 비해 완전히 다른 스타일의 곡을 들고 나와서 당당히 우승했으나 METATRON의 경우 앞서 서술했듯이 매너리즘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행사 후반부 곡의 평가가 급격히 하락했다. 이는 복귀작의 곡 스타일을 완전히 바꾸자는 의미는 아니지만 곡의 차이가 별로 없고 비슷비슷해보이면 나쁜 평가를 받을 수도 있음의 예가 될 법 하다. * 간혹 G2R2014의 2위곡인 [[xi]]의 [[Aragami]]와도 비교하는 경우가 있는데, [[Aragami]]의 경우는 스타일은 비슷해 보일지언정 장르 안에서는 적지 않은 변화를 주었으며, 곡의 컨셉만큼은 확실히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원래 이 곡의 BPM은 182이였지만, BMS을 만들 때 BGA 제작자에게 전달해야 할 음원을 프로토 타입인 BPM 190버전으로 전달해 버리고 "BPM이 잘못 되어 있으니 다시 만들어 달라"라는 말을 말하지 못해 그대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 작곡가 본인이 밝히길 이 곡은 [[https://twitter.com/shiki_maidguy/status/1163430425030606848|사볼 공모전에서 낙선한 곡이라고 한다.]] 그러나 2020년 8월 27일 사운드 볼텍스 업데이트로 BMS 출신곡으로서 마침내 수록되었다. ~~명예 사볼 오리지널 곡~~ == [[리듬 게임]] 수록 == === [[maimai PiNK PLUS]] === 2016년 6월 30일 신곡으로 추가되었다. ||<-7> {{{#fff '''METATRON'''}}} || ||<-7> [[파일:METATRON(maimai).png|width=40%]] || ||<-2> 아티스트 ||<-5> [[SHIKI]] || ||<-2> 장르 ||<-5> maimai || ||<-2> BPM ||<-5> 190 || ||<-2> 버전 ||<-5> [[maimai PiNK PLUS|PiNK PLUS]] || ||<-2> 최초 수록일 ||<-5> 2016/06/30 || ||<-7> '''[[maimai DX|{{{#ffcc21 m}}}{{{#3182ff a}}}{{{#54C320 i}}}{{{#ffcc21 m}}}{{{#fd006b a}}}{{{#d0f i}}} {{{#ffe302 D}}}{{{#a0b036 X}}}]] {{{#373a3c,#ddd 난이도 체계}}}''' || ||<-7> {{{#fff '''STANDARD'''}}} || ||<-2> 난이도 || --EASY--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2> 레벨 || --3-- || 6 || 8 || 12+ || 13+ || ||<|6> 노트 수 || 총합[br](콤보 수) || --'''139'''-- || '''224''' || '''458''' || '''593''' || '''925''' || || TAP || --127-- || 197 || 420 || 508 || 807 || || HOLD || --74-- || 15 || 12 || 27 || 20 || || SLIDE || --4-- || 8 || 15 || 40 || 82 || || ~~TOUCH~~ || - || - || - || - || - || || BREAK || --1-- || 4 || 11 || 18 || 16 || [youtube(4FJm76pdlps)] EXPERT 난이도 보면 영상 [youtube(DxwCGhoFFDU)] MASTER 난이도 보면 영상 폭타위주의 패턴들로 무장한 체력곡으로 손 이동이 굉장히 많고 16비트 이상의 폭타들이 쉴새없이 등장한다. 특히 최후반부에 곡이 끝날때까지 이어지는 16비트 트릴이 상당히 까다롭다. 이후 가속 대회전도 백미. === [[사운드 볼텍스]] === 8월 27일에 마침내 수록되었다. 여담으로 음원은 BMS 원곡과도, LuciaRize 버전과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SDVX METATRON.jpg|width=150]] || [[파일:SDVX METATRON.jpg|width=150]] || [[파일:SDVX METATRON.jpg|width=150]] || [[파일:SDVX METATRON.jpg|width=150]] || || 레벨 || 06 || 13 || 16 || 18 || || 체인 수 || 0000 || 0000 || 1886 || 2050 || || 일러스트 담당 ||<-4> らんぷ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Jin Majima || || 수록 시기 ||<-4> {{{#FF1493 V 34 (2020.08.27)}}} || || [[BPM]] ||<-4> 190 || ==== 채보 상세 ==== [youtube(ZzQiGuvubs8, width=420, height=680)] MXM 채보 PUC 영상 원핸드와 사다리 형태의 지속 노브 위주의 채보로, 간간히 등장하는 낚시성 직각 노브에 주의해야 한다. 초반 광범위한 원핸드 및 따닥이와 FX 복합 계단 정도만 주의하면 킬링구간도 딱히 없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클리어와 스코어링 양면에서 18레벨 하위권. [youtube(y1XE-acHDT0, width=420, height=680)] EXH 채보 PUC 영상 전체적인 난이도 면에서는 EXH답게 열화가 가해진 반면 MXM에서도 까다로웠던 노브 패턴은 열화가 잘 안된 느낌이다. 개인차에 따라 노브 부분은 EXH가 훨씬 어려울 수도 있다. === [[EZ2ON REBOOT : R]] === [include(틀:EZ2ON REBOOT : R/2021)] ||<-1><#171d2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 '''[[EZ2ON REBOOT : R|{{{#01e7ff '''2021'''}}}]]'''}}}}}} ||<-4> {{{+2 '''METATRON'''}}} || || 장르 ||<-4> TRANCE CORE || || BPM ||<-4> 190 || || 작곡 ||<-4> [[SHIKI]] || || 배경 ||<-4> Photon-S || || 업데이트 날짜 ||<-4> 2021년 5월 15일 || ||<-5> '''[[EZ2ON REBOOT : R]]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EZ''' || '''NM''' || '''HD''' || '''SHD''' || || '''4 KEY''' || 4 || 8 || 12 || 15 || || '''5 KEY''' || 8 || 13 || 15 || 18 || || '''6 KEY''' || 8 || 13 || 15 || 18 || || '''8 KEY''' || 8 || 13 || 17 || 19 || ||<-5> {{{-2 레벨 표기는 STANDARD 모드 기준.[BR] BASIC 모드의 레벨은 위첨자로 별도 표기.}}} || * 코스 수록은 [[EZ2ON REBOOT : R/코스]]를 참고. * [[EZ2ON REBOOT : R/수록곡|EZ2ON REBOOT : R 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youtube(k_YIRmulEzc)] || || '''[[EZ2ON REBOOT : R]] BGA''' || 2021년 5월 15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EZ2 시리즈에 처음으로 들여온 SHIKI의 곡이며 이후 Air (EZ2ON Ver)가 들어오게 된다. BGA의 BMS OF FIGHTERS 부분이 EZ2ON REBOOT : R로 바뀌었고, 중반부 바이올린 키음도 묘하게 다르다. ==== 4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EZ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NM (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jliKIFhC2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NMhz6xIKPo)]}}}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HD (1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SHD (15)}}}'''}}}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7y6Q1bpq7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4D3rt4iCeQ)]}}} || ==== 5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EZ (8)}}}'''}}}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NM (1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_keIpU3t4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fey1A49UX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HD (1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SHD (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85tK3TO3s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HvgmknBewg)]}}} || ==== 6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EZ (8)}}}'''}}}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NM (1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fkTtcFSX3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IEBE8JvHv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HD (1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171a, #000b12, #00212e, #0b4862, #106489, #106489, #0b4862, #00212e, #000b12, #13171a); color: white;" '''{{{#!html SHD (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kIlenKUSH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Kk3uOQxSq8)]}}} || ==== 8 KEY ==== [youtube(g9Oa30RY7E8)] EZ (8) / NM (13) / HD (17) / SHD (19) SHD 패턴은 업데이트 당시에는 20레벨이었으나 쉽다는 의견이 많아서 2021년 9월 16일 패치로 19레벨로 하향 조정되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4+4가 아닌 BMS식인 S+7이라서 왼손이 쉽게 나오고, 곡도 정박 위주라서 19레벨로 하향 조정되었음에도 쉽다는 평가가 많다. [각주] [[분류:BOF/수록곡]] [[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의 수록곡]] [[분류:EZ2ON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