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모바일 FPS 게임, rd1=모던 컴뱃 5)] ||<-2> [[파일:mc5 로고.png|height=5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C 5.jpg|width=100%]]}}}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2> '''결성''' ||[[1963년]] || ||[[미시건]] 링컨 파크 || || '''데뷔 앨범''' ||Back in the USA || || '''해체''' ||[[1972년]] || || '''장르''' ||[[하드 록]], [[개러지 록]] || || '''레이블''' ||[[엘렉트라 레코드]], [[애틀랜틱 레코드]], 라이노 ||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vfKhvzUdJoM)] 이들의 대표곡 '''[[Kick Out the Jams]]''' 미국 [[디트로이트]] 출신 [[개러지 록]] 밴드. == 상세 == 그야말로 록의 가장 원초성을 잘 재현한 밴드라 평가받으며, '''역대 최강의 라이브 밴드'''라는 평도 있다. [[하드록]]이나 [[메탈(음악)|메탈]], [[펑크 록]]을 듣는다면 한번쯤은 짚고 넘어가야 할 정도의 위치와 지명도를 가진 밴드. 거기다가 당시 [[68운동]]의 영향을 받은 과격한 사상까지 곁들여졌으니... 이런 밴드가 그렇듯 라이브 앨범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스튜디오 앨범은 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최근에는 리마스터링 된 이후로 두 스튜디오 앨범도 재평가 되어 평가가 많이 올랐다. ] 1969년에 발표한 명반 '''[[Kick Out the Jams]]'''가 그 대표적인 예. 저 앨범은 이 밴드의 첫 앨범이기도 했는데, 라이브 앨범은 스튜디오 앨범 내놓고 나중에 상황 봐가면서 내놓는 이 바닥의 암묵적인 규칙을 역으로 뒤집어놓고 시작해 충격을 던져주었다. "'And right now, right now, it's time to... Kick Out The Jams motherfuckers!!!"' 라는 록 역사의 불후의 명언을 남겼다. 심지어 Kick Out The Jams라는 문장은 "열정적으로 록을 연주하다"란 뜻으로 영어사전에 올라와 있다. 초창기 로큰롤이 흑인 음악에 영향을 많이 받았듯이, 이들도 흑인 R&B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이하게도 이들처럼 디트로이트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모타운 레이블이 아닌 멤피스 스택스 레이블의 R&B 및 소울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상대적으로 한국에서는 [[듣보잡]] 취급이지만, 공연 매너나 원초적인 로큰롤 등으로 후대 수많은 영향을 주었다. [[펑크 록]]하고도 연결되기도. 밴드 멤버 중 프레드 "소닉" 스미스는 후일 뉴욕 [[펑크]]의 대모인 [[패티 스미스]]와 결혼을 했다. (안타깝게도 프레드 "소닉" 스미스는 1994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떴다.) [[소닉 유스]]는 그의 별명에서 밴드 명을 만들었다. [[RATM]]이 이 밴드의 곡 Kick Out The Jams를 커버하기도 했다. 한국에서 이들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 밴드는 [[갤럭시 익스프레스]]이다. 밴드의 리드 기타리스트였던 웨인 크레이머는 현재 [[유튜브]]에 ~~공연 초반에 자신이 카메라를 향해 메롱하는 장면이 담긴~~ 미공개 영상을 포함한 MC5의 공연 실황 영상과 기타 레슨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 여담으로 네이밍 [[MC]](MIC Checker) 때문에 힙합 그룹으로 착각할법도 하지만, 이 MC는 'Motor City'의 약자다. ~~이들 활동하던 시기는 힙합 개념조차 없기도 했고~~ == 디스코그래피 == === 스튜디오 앨범 === * Back in the USA (1970) * High Time (1971) [[분류:미국의 록밴드]][[분류:프로토 펑크 밴드]][[분류:1963년 결성된 음악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