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류신의 항공기)] ||[[파일:73051.png |width=100%]]|| || '''이르쿠트, MC-21-300, 73051, MC-21의 프로토타입''' || ||[[파일:111111211.png|width=100%]]|| || '''MC-21-300의 조종석''' || Магистральный Самолёт 21 века Magistral'ny Samolët 21 veka Mainline Aircraft Of The 21st Century [목차] == 개요 == [youtube(LK80Qmfo24k)] [[러시아]]의 [[이르쿠트]], [[야코블레프]], [[일류신]]이 공동개발 중인 쌍발 여객기 == 제원 == || ||MC-21-200||MC-21-300(310)|| ||좌석수(2-Class)||132||163~211|| ||동체 길이||36.8m||42.3m|| ||날개 길이||||35.9m|| ||이륙최대중량||72,390kg||79,250kg|| ||항속거리||6,400km||6,000km|| ||순항속도||||마하 0.71|| ||엔진||||[[아비아드비가텔]] PD-14A / [[프랫 & 휘트니 PW1000G#s-2.3|PW1400G]]|| 현재까지는 MC-21-300도 아직 개발단계이지만 동체 길이를 늘려 250명까지 탑승이 가능한 MC-21-400도 같이 개발 진행 중이며 [[A321neo]], [[보잉 737 MAX#s-4.4|보잉 737 MAX 10]]과 맞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 상세 == [[수호이 수퍼제트 100]]보다 대형인 구형 [[Tu-154]]와 [[Tu-204]]를 대체하는게 목적이다. 그리고 협동형 여객기의 선두주자인 [[에어버스]]의 [[A320]]과 [[보잉]]의 [[보잉 737|737]] 대신 러시아 국내선 및 유럽이나 아메리카 대륙의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 개발하고 있다. 초기 개발 목표는 A320이나 737보다 15% 높은 연료 효율, 20% 낮은 가격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러시아의 루블화 폭락 등으로 인하여 개발이 계속 지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Tu-204|Tu-204SM]]의 생산 기간이 연장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러시아 정부의 보조금을 받아 연구에 가속화를 내고 있으며 2025년까지는 시장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까지 총 150대의 주문을 받았고 737 MAX의 사고의 영향으로 추가적으로 100대를 잠재적으로 주문받을 것으로 시장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자국산 여객기에 대한 불신으로 [[Tu-204]]를 한 대도 도입하지 않았던 [[아에로플로트]]도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의 압박으로 총 50대를 울며 겨자먹기로 주문했다. ||[[파일:MC-21-300_TASS.jpg|width=100%]]|| || '''이르쿠트 MC-21-300의 롤아웃 현장''' || 2016년 6월 8일 초도 기체인 73051이 롤아웃되었다. 2017년 5월 시험비행에 성공했다.[[http://m.news.naver.com/read.nhn?oid=001&aid=0009297539&sid1=104&mode=LSD|#]] 2022년 여름부터 [[로시야 항공]]에서 MC-21로 상업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으며, 2030년까지 대규모 민간 항공 산업 및 제조업 육성으로 MC-21 관련 사업에 집중 투자하기로 밝혔다. 2025년까지 연간 36대의 MC-21을 생산한다고 밝혔다. [[https://tass.ru/ekonomika/11910295|#]] 또한 이번 MAKS-2021에서 Sukhoi Superjet 100, IL-114-300과 더불어 민간 항공 부분에서 적지 않은 수의 계약이 체결되었다. 2021년 10월 5일, 산업통상부 장관 데니스 만투로프는 러시아-24 TV 채널에서 [[S7 항공]]이 MC-21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https://tass.ru/ekonomika/12586319|#]] 런치 커스터머는 이르아에로 항공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서방의 경제제재의 영향은 양면적이다. 서방과의 관계악화로 러시아제 민항기를 서방시장에 팔기는 어려워졌고 또 각종 서방제 부품 수입도 어려워져 러시아 국내조달을 위해 추가 자금과 기간이 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보잉 등 서방제 완제품 비행기도 수입할 수 없어 외산 수입금지 조치나 마찬가지로 러시아 국내 민항기 수요는 우수한 서방제들과 힘들게 경쟁하지 않고 러시아 제작사가 손쉽게 독점할 수 있게 되었다. 대형민항기도 수입할 수 없게 되자 외산에 밀려 생산 중단되었던 구소련제 광동체 대형 민항기 생산을 재개하거나 중국과 [[CR929]] 등을 공동개발 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 형식 == === MC-21-300 === ||[[파일:20230801_021520.png |width=100%]]|| || '''[[로시야 항공]], 73054''' || MC-21의 표준 모델. PW1400G 엔진을 장착했다. === MC-21-310 === || [[파일:1479718_1684443119.jpg|width=100%]] || || '''이르쿠트, 73056''' || 자국산 엔진인 [[아비아드비가텔]] PD-14를 장착한 형식. == 특징 == * [[플라이 바이 와이어]]나 [[탄소섬유]]를 이용한 날개 제작 등 최신 트렌드에 맞게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Tu-204]]처럼 러시아제 [[아비아드비가텔]] 엔진과 [[프랫 & 휘트니]]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 기체 명도 살짝 바뀌는데 MC21-300은 서방제 엔진을 MC21-310은 러시아제 엔진을 사용한 기체명이며 동체는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러시아제 [[아비아드비가텔]] 엔진은 PD-14A이며 이 기체를 위해 연비와 소음 오염배출등 서구제 엔진에 버금가는 고성능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의 영향으로 서방제 전자장비나 엔진을 사실상 사용할 수 없게 된 상황이라 실제 양산기는 전부 러시아제 엔진이나 부품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 [[A320 패밀리]]나 [[보잉 737]]보다 우위에 서는 것을 개발 목표로 삼은 만큼 두 기종보다 넓은 복도, 좌석넓이, 그리고 선반을 홍보하고 있다. * Магистральный Самолёт 21 века는 21세기의 주력 여객기라는 뜻이다. * 로마자 표기는 통상적인 러시아 기종의 전례에 따르면 MS-21이 되어야 할 것이나, 제조사인 [[통합항공기제작사]](UAC)가 MC-21을 정식 표기로 채택했다. [[키릴 문자]]의 С는 로마자의 S에 해당한다. 실제 [[안토노프]]의 Ан, [[투폴레프]]의 Ту 또한 모양이 같은 로마자로 써 버릴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분류:항공기]]